한글 띄어쓰기와 헐버트
한글이 반포된 후 오랫동안 우리글은 띄어 쓰지 않았다. 흔히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라는 문장을 인용한다. 우리말을 아는 분이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라고 생각할 사람은 없다. 아버지께서 가방에 들어가실 일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말을 처음 배우는 외국인의 경우는 고개를 갸우뚱할 일이다.
중국어나 일본어는 특별한 경우를 빼고는 띄어 쓰지 않는다. 문장이 길어서 띄어쓰기가 필요할 때는 쉼표(,)나 마침표(.) 같은 문장부호를 쓴다. 처음 일본어를 접했을 때 띄어쓰기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어 경우는 많은 한자 단어를 혼용하기에 한자 단어가 띄어쓰기 역할을 하기도 한다.
띄어쓰기나 문장부호는 문장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것을 깨닫고 우리글에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를 처음 일깨운 이는 조선 사람이 아닌 외국인이었다. 우리글에 띄어쓰기와 문장부호 사용을 외국인이 처음 시도했다는 데는 모두가 의아해할 일이다. 미국인 Homer B. Hulbert(1863~1949, 한국명 ‘헐벗’(訖法)) 박사가 그 주인공이다.
헐버트 박사는 미국 다트머스대학교를 졸업했다. 1886년 23세의 나이로 대한제국 왕립 育英公院(육영공원) 교사로 입국하여 영어를 가르치고, 고종 황제의 외교자문을 맡았다.
헐버트 박사는 독학으로 3년 만에 우리말을 완벽하게 익히고, 한글 표기의 띄어쓰기와 쉼표, 마침표를 도입한 주인공이다. 그는 고종에게 건의해 ‘국문연구소’를 개설했다. 1989년 ‘선비와 백성 모두 알아야 할 지식’이라는 뜻의 『사민필지』(士民必知) 라는 책을 저술했다. 순 한글로 만들어진 조선 최초 세계 지리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조선전래동화를 아이들 수준에 맞는 어휘로 들려주는 형식의 조선 동화집 『OMJEE the Wizard』(마법사 엄지)도 썼다. 1896년에는 구전으로 내려오던 아리랑을 채보(採譜)해 악보로 기록했다.
‘문자의 단순성과 소리를 표현하는 방식의 일관성에서 한국의 소리글자와 견줄 문자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 세종은 어려움을 마다치 않고 한자를 변형하는 방식이 아닌 전혀 새로운 문자인 소리글자를 창제하여 한자로 인한 백성의 고충을 덜어준 첫 번째 인물이다.’라고 그의 저서 한국사에 기록했다.
한글 발전에 대한 공으로 2014년 정부는 헐버트 박사에게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2015년에는 (사)서울아리랑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제정한 제1회 서울 아리랑상의 주인공이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헐버트 박사는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의 물밑에서 활약했다. 이 사건으로 일제에 의해 강제 추방된 뒤에도 미국에서 여운형과 함께 ‘독립청원서’를 작성하는 등 조선 독립에 힘쓰는 등 우리 독립에도 힘썼다.
그는 1949년 광복절을 맞아 국빈으로 초대되어 40년 만에 배편으로 한 달 가까이 걸려 한국에 왔으나, 도착 일주일만인 8월 5일 기관지염으로 눈을 감았다. 정부는 1949년 8월 11일, 최초 외국인 사회장을 거행한 후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장했다. 그가 죽은 지 50년 되는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이 쓴 ‘헐버트 박사의 묘’ 일곱 글자가 기념비에 더해졌다.
정부는 1950년 외국인 최초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을 추서했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지난해 대한독립에 헌신한 외국인으로 Ernest Thomas Bethell(1872~1909, 한국명 ‘배설’)과 함께 헐버트 박사를 우표에 담았다.
저서: 《The Passing of Korea》(대한제국의 멸망사, 1906), 《History of Korea》(한국사, 1905), 《Comparatives Grammer of Korean and Dravidian》(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 《大東紀年》(대동기년, 1903) 등.
“I would rather be buried in Korea than in Westminster Abbey.” (나는 웨스트민스터 성당보다도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헐버트 묘비 문
문장에만 쉼표와 마침표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삶도 가끔 쉬었다가 다시 새 출발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 같다.
'우표이야기 > 시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가장 아름다운 점 (1) | 2023.11.21 |
---|---|
세계 손 씻기의 날 (2) | 2023.10.25 |
술래가 돈다 술래가 돌아 강강술래 (1) | 2023.10.01 |
한류, 이젠 K-Food다 (1) | 2023.09.22 |
짐이 이 나무에 공을 주노라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