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90882@hanmail.net 2021. 2. 17. 16:52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1843호

소 재 지; 전남 강진군 대구면 정수사길 403(용운리 52) 정수사

‘강진 정수사(淨水寺) 석가여래삼불좌상(釋迦如來三佛坐像)’은 목조좌대의 묵서(墨書, 먹물로 쓴 글씨)를 통해 우협시불상(右脇侍佛像)은 1561년에, 본존과 좌협시불상(左脇侍佛像)은 1645년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존과 좌협시불상에서 보이는 균형 잡힌 상호(相好, 부처가 갖추고 있는 신체의 크고 작은 특징)와 신체, 힘 있는 선 표현은 승일(勝日)의 조각 특징이 잘 표현되어 있으며, 우협시불상의 착의 형태 표현은 16세기 중․후반의 조각 경향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삼세불(三世佛)이란 법당에 불상 3구가 봉안되어 있을 때 사용된 용어로 양쪽에 보살상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불이란 용어와 대비되고 있다. 향좌상(1561년)은 상호가 길쭉하며 머리는 나발이며 법의는 통견이고 수인은 중품하생인을 취하고 있다. 중앙에 봉안된 본존상(1645년)은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으므로 석가여래불이다. 삼세불(三世佛) 가운데 가장 크고 건장한 신체에 넓은 무릎을 하여 안정되어 보인다. 상호는 사각형에 가까우며 근엄한 표정이며 목에는 삼도가 있고 법의는 통견이며 군의는 17세기에 유행한 앙련형을 이루고 있다. 향우상(1645년)은 본존불과 같은 형식이며 수인은 중품하생을 취하고 있다. 정수사(淨水寺) 삼세불(三世佛)은 대좌 윗면의 불상 받침 부분에 기록된 묵서(墨書) 조상기 내용에 따라 제작 시기와 중수 또는 중수 개금 시기가 조금씩 시차를 두고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향좌(向左)의 불상은 태보(太宝)와 사담(思淡)에 의해 1561년에 조성되었고 1648년에 화원 승일(勝日) 등 7인에 의해 중수되었다. 본존불은 화원 승일(勝一) 등 7인에 의해 1645년에 조성되었고 1722년에 화원 태원(太元) 등 5인이 개금하였다. 복장에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권종(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卷終)》과 「관세음보살보협수진언(觀世音菩薩寶篋手眞言)」, 《법화경(法華經)》등이 조사되었다. 향우(向右) 불상은 본존불과 같이 화원 승일(勝日) 등 7인에 의해 1645년에 조성되었다. 대법당 삼존불은 화원 계심(戒心)을 비롯해 16인의 장인들이 1779년 중수개금하였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