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2032호
전면
후면
모체판과 성좌판
혼개통헌의 보물2032호
소 재 지;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6(능내리 85-4) 실학박물관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는 해시계와 별시계를 하나의 원판형 의기(儀器, 천체의 운동을 관측하는 기구)에 통합해 표현한 천문 관측 도구로,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제작 사례이다. 중국을 통해 전래된 서양의 천문시계인 아스트롤라베(Astrolabe)를 실학자 유금(柳琴, 1741~1788)이 조선식으로 해석해 1787년(정조 11년)에 만든 과학 기구로서, 이 유물은 1930년대 일본인 토기야(磨谷)가 대구에서 구입해 일본으로 반출했으나, 2007년 전상운 교수(全相運)의 노력으로 국내에 환수된 문화유산이다. 혼개통헌(渾蓋通憲)은 클라비우스(Christoph Clavius, 1538~1612)의 아스토롤라베(Astrolabe) 해설서인 “Astrolabium”(1593)을 명나라 학자 이지조(李之藻, 1565~1630)가 1607년 『혼개통헌도설(渾蓋通憲圖說)』로 번역출간하면서 알려졌다.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는 천체를 관측하는 기구[儀器]라는 뜻이다. 유금(柳琴)은 조선 후기 실학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의 숙부로 당대 학술, 예술, 과학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긴 실학자이자 발명가이다. 아스트롤라베(Astrolabe)는 고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지역에서 기원한 단어이자 도구로, 천체를 관측하는 천문시계로, 처음 이슬람에서 고안되었고 이후 스페인 등 유럽사회로 널리 퍼져 활용되었다.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는 별의 위치와 시간을 확인하는 원반형의 모체판(母體板)과 별의 관측지점을 알려주는 여러 모양의 침을 가진 T자 모양의 ‘성좌판(星座板)’으로 구성되었다. 모체판(母體板) 앞뒷면에 걸쳐 ‘건륭 정미년에 약암 윤선생을 위해 만들다(乾隆 丁未 爲約菴 尹先生製)’라는 명문과 더불어 ‘유씨금(柳氏琴)’이라는 인장이 새겨져 있어 유금(柳琴)이 약암(約菴)이라는 호를 쓴 윤선생(尹先生)을 위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밤 시간에 특정한 별을 관찰하는 ‘규형(窺衡)’, 별의 고도(위치)를 확인하는 ‘정시척(定時尺)’도 함께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모체판(母體板)과 성좌판(星座板)만 남아 있다. 유금(柳琴)이 규형(窺衡)과 정시척(定時尺)을 만들었는지 알 수 없으나,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규형(窺衡)과 정시척(定時尺)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크다.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는 먼저 규형(窺衡)과 정시척(定時尺)을 이용해 별의 각도를 잰 다음 각도만큼 성좌판(星座板)을 돌려 별의 위치와 시각을 확인하는 원리이다. 모체판(母體板)은 앞면 중심에 하늘의 북극을 상징하는 구멍에 핀으로 성좌판(星座板)을 끼워 회전하도록 만들어졌다. 외곽을 24등분하여 맨 위에 시계방향으로 시각(時刻)을 새겼고 바깥쪽부터 남회귀선(南回歸線), 적도(赤道), 북회귀선(北回歸線)의 동심원, 위쪽에 지평좌표원(地坪座標圓, 천체의 위치를 표현하는데 쓰이는 좌표계)을 새겼다. 성좌판(星座板)은 하늘의 북극과 황도(黃道) 상의 춘분점(春分點)과 동지점(冬至點)을 연결하는 T자형으로, 축과 황도를 나타내는 황도원(黃道圓, 천구에서 태양의 궤도)을 한판으로 제작했으며, 특정별과 대조할 수 있도록 돌출시킨 지성침(指星針)이 11개가 있다. 뒷면의 윗부분에는 ‘북극출지 38도(北極出地三十八度)’란 위도를 새겼으며 이는 곧 서울(한양)의 위도 36.5도에 해당한다. 남회귀선(南回歸線)은 남반구에 위치한 회귀선으로, 남위 23°27’의 위선을 말하며, 북회귀선(北回歸線)은 북위 23°27’의 위도선을 말한다. 모체판(母體板)과 성좌판(星座板)에는 북극성, 직녀자리, 견우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뱀주인자리, 안드로메다(Andromeda), 오리온(Orion), 페가수스(Pegasus) 등 계절별 주요 별자리가 표시되었으며, 그밖에 알파드(Alphard, 바다뱀자리의 가장 밝은 별), 프로시온(Procyon, 작은개자리에 속한 별) 등 우리나라 하늘에서 주로 관측되는 별자리 사이에 있는 작은 별들의 위치도 표시했을 정도로 섬세하게 제작되었다. 이는 유금(柳琴)의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가 중국 혼개통헌도설(渾蓋通憲圖說)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가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조선식 천문시계를 만들었음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는 서양의 관측기기인 아스트롤라베(Astrolabe)를 받아들여 동아시아에서 제작된 유일무이한 천문 도구이자 서양 천문학과 기하학을 이해하고 소화한 조선 지식인들의 창의적인 성과를 보여주는 실례다. 또한, 제작 원리와 정밀도에 있어서도 18세기 조선의 수학과 천문학 수준을 알려주는 우리나라의 소중한 과학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