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권(券第四) 신라본기(新羅本紀) 진지왕(眞智王)
진지왕(眞智王)
진지왕(眞智王)198 신라의 제25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576~579년이다.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고, 이름은 사륜(舍輪) 또는 금륜(金輪)이다. 태자(太子)인 동륜(銅輪)이 일찍 죽었기 때문에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2 도화녀비형랑(桃花女鼻荊郞)조에는 ‘정치가 어지럽고 음란하다’는 이유로 국인(國人)들에게 폐위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진지왕(眞智王)의 아들은 용춘(龍春) 또는 용수(龍樹)인데, 그는 후에 무열왕(武烈王)으로 즉위하는 김춘추(金春秋)의 아버지이다. 진지왕에 대한 연구 성과는 김덕원, 《신라중고정치사연구》, 경인문화사, 2007 참조.닫기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사륜(舍輪)199 혹은 金輪이라고도 하였다. 轉輪聖王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舍’와 ‘金’은 음과 훈이 상통한다.닫기이고, 또는 금륜(金輪)200 진지왕(眞智王)의 이름인 ‘사(舍)’와 ‘금(金)’은 각각 그 발음이 ‘쇠’의 뜻이므로, 사륜 또는 금륜은 전륜성왕(轉輪聖王)의 하나인 철륜(鐵輪)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김철준, 「신라 상대사회의 Dual Organization」 (하), 《역사학보》 2, 1952 | 《한국고대사회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0, 148쪽).닫기이라고도 하였다. 진흥왕(眞興王)의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사도부인(思道夫人)이고, 왕비는 지도부인(知道夫人)201 《삼국유사》 권1, 왕력(王曆)1과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2 도화녀비형랑(桃花女鼻荊郞)조에는 ‘지도부인(知刀夫人)’으로 기록되었다. 성은 박씨이고, 기오공(起烏公)의 딸이다.닫기이다. 태자가 일찍 죽었으므로 202 진흥왕의 태자 銅輪은 진흥왕 33년(572) 3월에 죽었다.닫기진지(眞智)가 왕위에 올랐다.
원년에 이찬(伊湌) 거칠부(居柒夫)를 상대등(上大等)으로 삼아서 나라의 일을 맡겼다.
2년 봄 2월에 왕이 몸소 신궁(神宮)에 제사를 지내고 크게 사면을 하였다.
겨울 10월에 백제가 서쪽 변경(邊)의 주(州)와 군(郡)에 침입하였으므로203 《삼국사기》 권27 백제본기 威德王 24년 10월조에 동일한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닫기 이찬(伊湌) 세종(世宗)204 유력한 진골(眞骨) 귀족으로 추정되지만, 이외의 다른 곳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서 구체적인 행적은 알 수 없다. 579년(진평왕 원년)에 상대등(上大等)이 되었다가 588년(진평왕 10)에 죽은 노리부(弩里夫)와 같은 인물로 이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단양적성비(丹陽赤城碑)에 기록된 대아찬(大阿湌) 내례부지(內禮夫智)를 세종과 같은 인물로 보는 견해도 있다(이기백, 「단양적성비 발견의 의의와 적성비 왕교사부분의 검토」, 《사학지》 12, 1978 | 《한국고대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96, 237쪽).닫기에게 명하여 군사를 내어 일선(一善)의 북쪽에서 쳐서 깨뜨리고 3천 7백여 명의 목을 베었다.
내리서성(內利西城)을 쌓았다.
3년 가을 7월에 진(陳)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백제에게 알야산성(閼也山城)을 주었다.
4년 봄 2월에 백제(百濟)가 웅현성(熊峴城)과 송술성(松述城)을 쌓아 산산성(䔉山城) 206 지금의 함경남도 원산시 지역이다. 《삼국사기》 권35, 잡지(雜志)4 지리(地理)2 삭주(朔州) 정천군(井泉郡)조에 의하면 산산현(䔉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매시달현(買尸達縣)으로 경덕왕(景德王) 때 산산현으로 개명(改名)하였다고 기록되었다. 그러나 산산현이 산산성의 위치와 일치하는 지는 확실하지 않다(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 3 주석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26쪽).닫기마지현성(麻知峴城) 내리서성(內利西城)의 길을 막았다.
가을 7월 17일에 왕이 죽었다. 시호(諡號)를 진지(眞智)라 하고, 영경사(永敬寺)207 영경사(永敬寺)의 위치와 폐사(廢寺) 시기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닫기의 북쪽에 장사를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