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기(厥氣)로 벙어리가 된 것[厥氣爲瘖]

궐기(厥氣)가 울대쪽으로 몰려 말을 잘하지 못하고 손발이 차며 대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는 족소음경맥의 침혈을 쓴다.
[註] 궐기(厥氣) : 기가 고르롭지 못해서 위로 치미는 것.
그리고 갑자기 소리를 내지 못할 때에는 어떻게 침을 놓아야 하는가고 물어보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족소음경맥이 위로는 혀와 연결되었고 설골[橫骨]을 통해서 회염(會厭)에 와서 끝났는데 이 혈맥의 좌우를 사혈(瀉血)하면 탁기(濁氣)가 곧 없어진다. 회염의 맥은 올라가서 임맥(任脈)과 통하였는데 천돌(天突, 혈이름)을 치료하면 회염이 곧 동한다”고 하였다[영추].
[註] 회염의 맥 : 회염에 임맥이 와서 얽힌 부위의 경맥이다.
○ 어떤 남자가 오랜 병으로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다가 갑자기 풍한에 감촉되고 술과 고기를 먹어서 궐기가 생겨 인후에 몰렸기 때문에 갑자기 말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좌우 풍륭(豊隆)혈에 뜸을 각각 3장씩 뜨고 좌우 조해(照海)혈에 각각 1장씩 떠주었는데 곧 말을 하였다. 그 다음 속썩은풀(황금)을 화를 내리기 위한 군약(君藥)으로 하고 살구씨(행인) ,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를 궐기(厥氣)를 사하기 위한 신약으로 하고 가자로 치미는 기운을 사하고 감초로 원기를 조화시키기 위하여 좌약으로 넣어 먹였는데 잘 나았다[강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