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서예 모습
국보 「훈민정음」
한글서예 국가무형유산155호
소 재 지; 전국
「한글서예(書藝)」는 는 ‘우리 고유의 문자인 한글을 먹과 붓을 사용하여 글로 쓰는 행위와 그에 담긴 전통지식’을 포괄한다. 「한글서예」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반포된 15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종이에 국한하지 않고 금석(金石), 섬유 등 다양한 재질의 매체에 한국인의 삶을 기록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전해져왔다. 왕실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한글로 쓴 문학작품의 필사본이나 일상적으로 주고받는 편지글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판본체(조선시대 중·후기까지 주로 인쇄를 목적으로 하는 판각본에 사용한 서체), 궁체(궁중에서 서사 상궁들이 붓으로 서사할 때 사용한 서체) 외에 개인화된 필체인 민체(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판본체·궁체와 구분되는 민간 서체)를 통해 다양한 서체와 필법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또한, 「한글서예」는 문자를 이용한 독창적인 조형예술로서 다양한 서예 작품을 통해 시대별로 변화하는 미적 감각과 사회상을 담고 있다. 특히, 「한글서예」의 예술적 의미와 기능은 최근 들어 문자 디자인의 요소가 강조된 멋글씨 예술(캘리그래피) 분야로도 그 저변을 확대해 가고 있다. 이처럼 「한글서예」는 한글 창제 시기부터 지금까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이어져 오고 있다는 점, 다양한 기록물(문학작품, 일상생활 실용서, 서간문)에 사용되어 민속사, 국어사, 음식사, 문화사, 서체사 분야의 연구에 기여한다는 점, 우리의 고유 문자인 한글을 사용하여 이웃나라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필법과 정제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 다양한 교육기관을 통해 전승되는 한편, 여러 예술 분야(캘리그래피, 미디어작품, 공연 등)로 그 영역을 확장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충분하다.
출처; 국가유산청
'우리나라 유산 > 국가무형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무형유산 154호 (1) | 2024.01.01 |
---|---|
국가무형유산 153호 (3) | 2023.12.31 |
국가무형유산 152호 (0) | 2023.12.29 |
국가무형유산 151호 (1) | 2023.12.28 |
국가무형유산 150호 (2)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