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문(跋文)

 

참고(叅考) 보문각수교(寶文閣修校) 문림랑(文林郞) 예빈승동정(禮賓丞同正) 신(臣) 김영온(金永溫)
참고(叅考) 서재장판관(西材場判官) 유림랑(儒林郞) 상의직장동정(尙衣直長同正) 신(臣) 최우보(崔祐甫)
참고(叅考) 문림랑(文林郞) 국학학유(國學學諭) 예빈승동정(禮賓丞同正) 신(臣) 이황중(李黃中)
참고(叅考) 유림랑(儒林郞) 전(前)국학학정(國學學正) 신(臣) 박동주(朴東柱)
참고(叅考) 유림랑(儒林郞) 금오위녹사참군사(金吾衛錄事軍事) 신(臣) 서안정(徐安貞)
참고(叅考) 문림랑(文林郞) 수궁서령(守宮署令) 겸(兼) 직사관(直史館) 신(臣) 허홍재(許㓋材)
참고(叅考) 장사랑(將仕郞) 분사사재주부(分司司宰注簿) 신(臣) 이온문(李溫文)
참고(叅考) 문림랑(文林郞) 시장야서령(試掌冶署令) 겸(兼) 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 최산보(崔山甫)
편수(編修) 수충정난정국찬화동덕공신(輸忠定難靖國贊化同德功臣)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검교(檢校) 태사(太師) 수태보(守太保)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상서이예부사(判尙書吏禮部事)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상주국(上柱國) 치사(致仕) 신(臣) 김부식(金富軾)
동관구(同管句) 내시(內侍) 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 장사랑(將仕郞) 상식직장동정(尙食直長同正) 김충효(金忠孝)
관구(管句) 우승선(右承宣) 상서공부시랑(尙書工部侍郞) 한림시강학사지제고(翰林侍講學士知制誥) 신(臣) 정습명(鄭襲明)

부사(府使) 가선대부(嘉善大夫) 겸(兼) 관내권농방어사(管內勸農防禦使) 신(臣) 김거두(金居斗)
권지(權知) 경력(經歷) 전(前)봉정대부(奉正大夫) 삼사좌자의(三司左咨議) 신(臣) 최득경(崔得冏)
가정대부(嘉靖大夫) 경상도도관찰출척사(慶尙道都觀察黜陟事) 겸(兼) 감창안집전수권농관(監倉安集轉輸勸農管) 학사제조(學事提調) 형옥병마공사(刑獄兵馬公事)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신(臣) 민개(閔開)

《삼국사기(三國史)》인본(印本)으로 계림(雞林)에 있던 것은 세월이 오래 지나 모두 없어지고 세간에는 사본(冩本)이 돌고 있었다. 안렴사(按廉使) 심효생(沈公孝生)이 한 본을 얻어서 전(前) 부사(府使) 진의귀(陳公義貴)와 함께 간행을 도모하고, 계유년(癸酉, 1393) 7월에 부(府)에 공문을 보내어 8월에 비로소 판각에 착수하였다. 그런데 얼마 안 있어 두 공(二公)이 갈리고 내가 그해 10월 부사(府使)로 부임하여 관찰사(觀察使) 민상공(閔相公)의 명을 받들었는데, 그의 뜻을 계승하고 힘써 도와 공인들의 손을 놀리지 않게 하였다. 그리하여 갑술년(甲戌, 1394) 여름 4월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 되었다. 아! 일을 잘 지휘하여 성공에 이른 것은 오직 삼공(三公)에게 힘입은 것이지 내가 무슨 힘이 있었겠는가. 다만 책 끝에 일의 시말을 갖추어 적어둘 뿐이다.
부사(府使) 가선대부(嘉善大夫) 김거두(金居斗) 발(跋)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