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을 담근 항아리에 잡귀의 근접을 막기 위해 대추와 고추 등을 넣는 모습

 

부정을 막고자 장을 담근 항아리 밖에 버선과 금줄을 걸어놓은 모습

 

장 가르기(메주덩어리에 항아리 속 장물을 부으면서 잘게 부수기)

 

장 가르기(항아리에서 소금물에 붙은 메주덩어리 꺼내기)

장 담그기 국가무형유산137호

소 재 지; 전국

‘장(醬) 담그기’는 콩을 사용하여 만든 식품인 장(醬) 그 자체의 효능을 넘어, 재료를 직접 준비해서 장을 만들고 발효시키는 전반적인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콩을 발효하여 먹는 ‘두장(豆醬)’ 문화권에 속하며, 삼국 시대부터 장(醬)을 만들어서 먹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선 시대 왕실에서는 장(醬)을 따로 보관하는 장고(醬庫)를 두었으며, ‘장고마마’라 불리는 상궁이 직접 장을 담그고 관리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장(醬)은 전통적으로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우리나라의 ‘장 담그기’는 콩 재배,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과 발효 등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발전시켜왔는데, 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장 제조법이다. 또한, 메주를 띄우는 과정을 거친 후 된장과 간장 두 가지의 장을 만든다는 점, 전년도에 쓰고 남은 씨간장을 이용해 수년 동안 겹장의 형식을 거친다는 점 등은 한국의 장(醬) 담그기가 갖는 특징이자 독창적인 대목이다. ‘장(醬) 담그기’는 고대부터 오랫동안 장을 담가 먹은 유구한 역사를 지닌 점, 우리나라 음식 조리법이나 식문화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될 수 있다는 점, 한국의 주거문화, 세시풍속, 기복신앙, 전통과학적 요소 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점, 세대 간에 전승되며 모든 한국인이 직·간접적으로 동참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출처; 문화재청 

'우리나라 유산 > 국가무형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무형유산 139호  (0) 2019.05.05
국가무형유산 138호  (0) 2019.04.17
국가무형유산 136호  (0) 2019.01.07
국가무형유산 135호  (0) 2018.05.07
국가무형유산 134호  (0) 2018.05.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