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단계는 “피가 나오는 데 쓰는 약은 오직 피를 돌아가게만 하거나 피를 멎게만 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또한 순수하게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만 쓰는 것도 좋지 않다. 반드시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과 끌어올리는 성질을 가진 약을 써야 한다. 성질이 찬약을 쓸 때에 그것을 술에 찌거나 술에 축여 볶아서 쓰는 것이 바로 성질이 찬약을 성질이 더운 것으로 만들어 쓰는 것이다. 오랫동안 혈증(血證)을 앓아서 피가 제자리로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약을 오랫동안 썼으나 효과가 없는데는 궁궁이(천궁)를 주약으로 써야 낫는다”고 하였다.
○ 대체로 피는 열을 받으면 돌아가고 찬기운을 받으면 엉키며 검은 것(재라고 한 데도 있다)을 만나면 멎는다[단심].
○ 구혈이나 토혈할 때에 피가 많이 나오지 않는 것은 반드시 가슴에 어혈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먼저 어혈을 푼 다음 성질이 서늘한 약을 써서 피를 멈추어야 한다. 어혈을 푸는 데는 서각지황탕이 좋으며 피를 서늘하게 하는 데는 도씨생지금련탕이 좋고 피를 멈추는 데는 측백산과 구담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소목, 혈갈, 모란껍질(목단피)은 피가 막힌 데 쓰는 것이 좋고 부들꽃가루(포황), 갖풀(아교), 오이풀뿌리(지유), 가마밑검댕이, 종려피(태워 가루낸 것)는 혈붕증에 쓰는 것이 좋다. 유향, 몰약, 오령지, 능소화는 혈증으로 아픈 데 쓰는 것이 좋고 육종용, 쇄양, 쇠무릎(우슬), 구기자, 익모초, 꿀풀(하고초), 패구판은 혈이 허한데 쓰는 것이 좋다. 졸인 젖(乳酪)이나 피 같은 것은 피가 마르는 데 쓰는 것이 좋고 건강, 육계 같은 것은 피가 찬 기운을 받은 데 쓰는 것이 좋으며 생지황, 너삼(고삼) 같은 것은 피가 열을 받은 데 쓰는 것이 좋다[단심].
○ 혈증을 치료하는 약에서 방풍은 상초(上焦)의 인경약[使]이고 개나리열매(또는 황련)는 중초의 인경약이며 오이풀뿌리(지유)는 하초의 인경약이라는 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단심].
○ 대체로 피가 몰린 증에 쓰는 약은 다 식초 끓인 물에 타서 써야 좋다[직지].
○ 감초(볶은 것)와 건강(싸서 구운 것)을 한번에 12g씩 달여서 쓰면 남자나 여자나 피를 흘려서 기운이 돌아서지 않던 것도 잘 낫는다[단심].
○ 피가 부족한 데는 반드시 감초를 써야 하며 핏빛이 어혈(瘀血)처럼 검은데는 찐지황(숙지황)을 써야 한다. 핏빛이 새빨간 데는 생지황을 써야 한다. 만약 맥이 홍실(洪實)하고 몹시 아프면 술에 법제한 대황을 써야 하고 피를 고르게 하고 아픈 것을 멈추려면 당귀를 써야 한다[동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