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宣宗) 8년
〈선종(宣宗)〉 (신미) 8년(1091) 봄 정월 정묘. 건덕전(乾德殿)에서 여러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각각 내구마(內廐馬)를 하사하였다.
2월 계축. 요(遼)에서 동경지례회사사(東京持禮回謝使)로 예빈부사(禮賓副使) 조야여(鳥耶呂)가 왔다.
3월 병자. 동여진(東女眞)의 영새장군(寧塞將軍) 개다한(皆多漢) 등 40인이 와서 낙타와 말을 바쳤다.
여름 4월 정미.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이자인(李資仁)이 죽었다.
계축.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정유산(鄭惟産)이 죽으니, 시호(諡號)를 정순(貞順)이라 하였다.
5월 기미. 초하루 일식(日食)이 일어나고, 태백성이 낮에 보이며 70일 동안 하늘을 가로질렀다.
을축. 사직(社稷)에서 비가 내리기를 빌었다. 왕이 흥왕사(興王寺)에 갔다.
정묘. 태묘(太廟)와 7릉(七陵)에서 비가 내리기를 빌었다.
6월 갑오. 다시 사직(社稷)에서 〈비가 내리기를〉 빌었다.
정유. 또 태묘(大廟)와 7릉(七陵)에서 〈비가 내리기를〉 빌었다.
갑진. 도병마사(都兵馬使)가 아뢰기를,
“지난해에 번적(蕃賊)이 창주(昌州)에 침입하였을 때 병마녹사(兵馬錄事) 안선준(安先俊) 등이 군대를 거느리고 나아가 덕영수(德寧戍)에 진을 치고, 낭장(郞將) 고맹(高猛) 등을 보내 추격하여 잡아 분격(奮擊)하니 적이 크게 궤멸되었습니다. 교위(校尉) 숭검(崇儉)과 대정(隊正) 변학(邊鶴) 등이 적의 한 가운데로 돌진하여 군사들의 사기가 올라 적을 사로잡거나 죽이는 공로가 있었으므로, 관직과 상을 더하여 주어 장래에 권면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라고 하니, 왕이 이를 허락하였다.
병오. 송(宋)에서 이자의(李資義) 등이 돌아와 아뢰어 말하기를,
“황제께서 우리나라에 선본(善本)인 책이 많다는 말을 듣고는, 관반(館伴)에게 명하여 구하고자 하는 책의 목록을 써 주었습니다. 그것을 주며 말씀하시기를, ‘드디어 비록 권제(卷第)가 부족한 것이 있더라도 역시 마땅히 전사(傳寫)하여 더해서 오라.’라고 하였습니다.”
라고 하였다.
『백편상서(百篇尙書)』, 『순상주역(荀爽周易)』 10권, 『경방역(京房易)』 10권, 『정강성주역(鄭康成周易)』 9권, 『육적주주역(陸績注周易)』 14권, 『우번주주역(虞飜注周易)』 9권, 『동관한기(東觀漢記)』 127권, 『사승후한서(謝承後漢書)』 130권, 『한시(韓詩)』 22권, 『업준모시(業遵毛詩)』 20권, 『여열자림(呂悅字林)』 7권, 『고옥편(古玉篇)』 30권, 『괄지지(括地志)』 500권, 『여지지(輿地志)』 30권, 『신서(新序)』 3권, 『설원(說苑)』 20권, 『유향칠록(劉向七錄)』 20권, 『유흠칠비(劉歆七毗)』 7권, 『왕방경원정초목소(王方慶園亭草木䟽)』 27권,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50권, 『장중경방(張仲景方)』 15권, 『원백창화집(元白唱和詩)』 1권, 『심사방황제침경(深師方黃帝鍼經)』 9권, 『구허경(九墟經)』 9권, 『소품방(小品方)』 12권, 『도은거효험방(陶隱居效驗方)』 6권, 『시자(尸子)』 20권, 『회남자(淮南子)』 21권, 『공손라문선(公孫羅文選)』, 『수경(水經)』 40권, 『양우노자(羊祐老子)[양호노자(羊祜老子)]』 2권, 『나십노자(羅什老子)』 2권, 『종회노자(鍾會老子)』 2권, 『완효서칠록(阮孝緖七錄)』, 『손성진양추(孫盛晉陽秋)』 33권, 『손성위씨춘추(孫盛魏氏春秋)』 20권, 『우보진기(于寶晋記)』 22권, 『16국춘추(十六國春秋)』 102권, 『위담후위서(魏澹後魏書)』 100권, 『어환위략(魚豢魏略)』, 『유번양전(劉璠梁典)』 30권, 『오균제춘추(吳均齊春秋)』 30권, 『원행충위전(元行冲魏典)』 60권, 『심손제기(沈孫齊紀)』 20권, 『양웅집(楊雄集)』 5권, 『반고집(班固集)』 14권, 『최인집(崔駰集)』 10권, 『급총기년(汲冢紀年)』 14권, 『사령운집(謝靈運集)』 20권, 『안연년집(顔延年集)』 41권, 『삼교주영(三敎珠英)』 1,000권, 『공환문원(孔逭文苑)』 100권, 『유문(類文)』 370권, 『문관사림(文館詞林)』 1,000권, 『중장통창언(仲長統昌言)』, 『두서체론(社恕體論)』, 『제갈량집(諸葛亮集)』 24권, 『왕희지소학편(王羲之小學篇)』 1권, 『주처풍토기(周處風土紀)』 1권, 『장읍광아(張揖廣雅)』 4권, 『관현지(管絃志)』 4권, 『왕상찬음악지(王詳撰音樂志)』, 『채옹월령장구(蔡邕月令章句)』 12권, 『신도방찬악서(信都芳撰樂書)』 9권, 『고금악록(古今樂錄)』 13권, 『공양묵수(公羊墨守)』 15권, 『곡량폐질(穀梁廢疾)』 3권, 『효경유소주(孝經劉邵注)』 1권, 『효경위소주(孝經韋昭注)』 1권, 『정지(鄭志)』 9권, 『이아도찬(爾雅圖贊)』 2권, 『삼창(三蒼)』 3권, 『비창(埤蒼)』 3권, 『위굉궁서(衛宏宮書)』 1권, 『통속문(通俗文)』 2권, 『범장편(凡將篇)』 1권, 『재석편(在昔篇)』 1권, 『비룡편(飛龍篇)』 1권, 『성황장(聖皇章)』 1권, 『근학편(勸學篇)』 1권, 『진중흥서(晋中興書)』 80권, 『고사고(古史考)』 25권, 『복후고금주(伏侯古今注)』 8권, 『삼보황도(三輔黃圖)』 1권, 『한관해고(漢官解詁)』 3권, 『삼보결록(三輔決錄)』 7권, 『익부기구전(益部耆舊傳)』 14권, 『양양기구전(襄陽耆舊傳)』 5권, 『해강고사전(稽康高士傳)』 3권, 『현안춘추(玄晏春秋)』 3권, 『우보수신시(于寶搜神記)』 30권, 『위명신주(魏名臣秦)』 31권, 『한명신주(漢名臣奏)』 29권, 『금서칠지(今書七志)』 10권, 『세본(世本)』 4권, 『신자(申子)』 2권, 『수소자(隋巢子)』 1권, 『호비자(胡非子)』 1권, 『하승천성원(何承天性苑)』, 『고사염씨족지(高士廉氏族志)』 100권, 『13주지(十三州志)』 14권, 『고려풍속기(高麗風俗紀)』 1권, 『고려지(高麗志)』 7권, 『자사자(子思子)』 8권, 『공손니자(公孫尼子)』 1권, 『신자(愼子)』 10권, 『조씨신서(晁氏新書)』 3권, 『풍속통의(風俗通義)』 30권, 『범승지서(氾勝之書)』 3권, 『영헌도(靈憲圖)』 1권, 『대연력(大衍曆)』, 『병서접요(兵書接要)』 7권, 『사마법한도(司馬法漢圖)』 1권, 『동군약록(桐君藥錄)』 2권, 『황제대소(黃帝大素)』 30권, 『명의별록(名醫別錄)』 3권, 『조식집(曹植集)』 30권, 『사마상여집(司馬相如集)』 2권, 『환담신론(桓譚新論)』 10권, 『유곤집(劉琨集)』 15권, 『노심집(盧諶集)』 21권, 『산공계사(山公啓事)』 3권, 『서집(書集)』 80권, 『응거백일시(應璩百一詩)』 8권, 『고금시원영화집(古今詩苑英華集)』 20권, 『집림(集林)』 20권, 『계연자(計然子)』 15권.
가을 7월 임술.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치사한 노단(盧旦)이 죽자, 시호(諡號)를 광헌(匡獻)이라 하였다.
정축. 김상기(金上琦)를 호부상서 정당문학(戶部尙書 政堂文學)으로, 유석(柳奭)을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임명하였다.
8월 정묘.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최사제(崔思齊)가 죽었다.
제서(制書)를 내려 말하기를,
“송인(宋人) 전성(田盛)은 서찰을 잘 쓰고 동양(東養)은 무예가 있으니 머물러 줄 것을 간청할 것이며, 또 관직 품계를 더하여서 오려는 사람들을 권장하라.”
라고 하였다.
윤8월 기미. 왕이 정전(正殿)을 피하고 일상 식사의 반찬을 줄이며, 단필(丹筆)로 죄수들의 형량을 결재하였다.
갑자. 〈왕이〉 회경전(會慶殿)에서 장경도량(藏經道場)을 열고 분향(行香)하였으며, 또 시를 지어 불교에 귀의한다는 뜻을 보였다.
9월 경인. 〈왕이〉 상춘정(賞春亭)에 나아가 계림공(鷄林公) 왕희(王熙), 부여공(扶餘公) 왕수(王㸂),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 좌복야(左僕射) 소태보(邵台輔), 병부상서(兵部尙書) 서정(徐靖), 상장군(上將軍) 왕국모(王國髦), 직문하성(直門下省) 고경(高景), 한림학사(翰林學士) 손관(孫冠) 등을 불러 술자리를 마련하고, 조용하게 변방의 사정을 물었다.
계사. 요(遼)에서 영주관내관찰사(永州管內觀察使) 고숭(高崇)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하였다.
겨울 11월 병오.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이 죽었다.
경술. 사직(社稷)에 눈이 내리기를 빌었다.
12월 계해.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이안(李顔)이 죽자, 시호(諡號)를 양신(襄愼)이라 하였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세상사는 이야기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가(世家) 선종(宣宗) 10년 (1) | 2023.12.09 |
---|---|
세가(世家) 선종(宣宗) 9년 (1) | 2023.12.02 |
세가(世家) 선종(宣宗) 7년 (2) | 2023.11.21 |
세가(世家) 선종(宣宗) 6년 (0) | 2023.11.16 |
세가(世家) 선종(宣宗) 5년 (4)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