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름의 조와 종

 

묘호(廟號)란 임금이 죽은 뒤에 종묘에 그 신위를 모실 때 올리는 존호(尊號)이다. 묘호는 조(祖)와 종(宗) 두 가지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원래 중국의 제도였다. 중국에서는 당(唐)나라 때부터 썼고, 우리나라도 고려 때부터 그 제도가 도입되었다. 물론 고구려의 제 6대 왕이 태조이고, 신라에도 태종 무열왕이 있기는 하였지만 삼국시대까지는 묘호라는 개념이 없었다.

 

삼국시대 왕들의 칭호는 묘호(廟號)라기보다는 시호(諡號)와  존호(尊號)의 결합으로 보는 것이 옳다. 시호(諡號)는 왕이 죽은 사람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내리는 이름인데, 왕이나 왕비, 종친, 종 2품 이상 관리와 그들의 죽은 아버지나 조상, 공신, 학덕을 남긴 선비들에게 주어졌다. 또 존호는 신하들이 왕과 왕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리던 이름이다.

 

한 예로 세종의 정식 칭호는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인데, 세종은 묘호(廟號)이고, 장헌은 중국 명(明)나라 황제가 내려준 시호(諡號)이며, 영문예무는 신하들이 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올린 존호이며, 인성명효는 조선 왕(제 5대 문종)이 올린 시호이다. 따라서 흔히 세종이라고 부르는 것은 묘호만을 지칭한 것이며, 장헌대왕이란 것은 명 황제의 권위를 빌리기 위한 호칭이다.

 

묘호(廟號)에는 조와 종, 두 가지만 사용했는데, 원래 조(祖)는 나라를 세운 사람에게만 붙이고, 나머지 왕들의 묘호(廟號)는 종(宗)만을 사용했다. 고려 왕들은 태조 왕건을 제외하고 어떤 왕도 조라는 묘호(廟號)를 받지 않았다.

그러나 조선에 이르러서는 묘호가 무척 혼란스럽게 되었다. 세조,선조, 영조,정조,순조 등에서 처럼 나라를 세우지 않았는데도 조가 붙은 묘호가 여럿 등장했기 때문이다.

나라를 세우지 않고도 조라는 묘호를 받은 첫 사례는 원(元)나라의 세조 쿠빌라이이다. 원 세조는 국호를 처음 원이라고 칭하고 원 제국의 실질적 첫 황제가 되었기에 조를 붙인 것이다. 하지만 원나라도 쿠빌라이 이후에는 조를 붙인 묘호(廟號)는 없다.

 

명나라에서도 제 3대 황제 성조(成祖)에서만 딱 한 번 나오지만 그 이후에는 없었다.

명나라 성조 이후에 건국자가 아니면서 조가 붙은 왕은 조선의 세조가 처음이다. 이 후 조선에서는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여러 왕들에게 조를 붙였다.

묘호(廟號)의 발생지인 중국에서도 원나라에 1 명, 명나라에 1 명, 그리고 청나라에 2 명이 고작이다. 이에 비해 조선은 무려 6명이나 있었다.

 

조선에서는 업적이 많은 경우에는 조를 붙이고, 그냥 편히 덕이 많으면 종을 붙였다.

좀 웃기는 이야기지만 세조는 단종까지 죽이고 왕권찬탈했지만 그들 편에서 나라를 구했다고 갖다 붙였다. 그리고 선조는 임진왜란을 극복하고 조선을 지킨 업적으로 되었다니 코믹하다. 더 황당한 것은 청국의 속국을 만든 인조를 광해군 몰아내고 유교국가 이념을 지켰다고 추존했으니 얼마나 한심스런 조선왕조인가. 그리고 영조는 탕평책으로, 정조는 고종이 황제된 후에 추존하고, 순조는 서학을 막아서 나라를 지켰다고 하니 참, 씁쓸하다.

 

그런데 묘호(廟號)에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다. 세조를 제외하고 조를 붙인 왕들이 한결같이 적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것은 암묵적으로 서자 출신인 왕의 묘호에 조를 붙이는 관행이 아닌가 생각하며 웃어 본다.

끝으로 조선의 왕들 중에 군(君)으로 불리는 왕이 2명 있다. 그것응 이 두사람이 반정에 의하여 왕위에서 내쫒겨 왕자의 신분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묘호가 아니다. 그들은 종묘에 오르지도 못했고, 종묘제사에도 지내주지 않았다. 그들은 묘호는 물론이고 시호도 없다. 그리고 그들의 치세기록은 실록이라 하지않고 일기(日記)라고 부른다.

 

  박영규 지음, <조선의 왕실과 외척> 김영사 刊. 2003.11.26 판 발췌

------------------------------------------------------------------------------

조(祖)종(宗)에 대해서..

이 차이를 알기 전에 먼저 알아두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조(祖)와 종(宗) 같은 명칭을 일컬어 '묘호' 라고 하는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는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쓰기 위한 것이라는 겁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왕이 죽고 난 후에 붙인 명칭이라는 것입니다.

이 묘호(廟號)의 뒤에는 조(祖)와 종(宗)이 붙습니다.

보통 (祖)''이 탁월한 왕 에게 붙이게 됩니다.
즉,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커다란 업적이 있는 왕이 조가 되지요.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가 그랬고..
임진왜란의 대환란을 극복한 '선조'가 그랬습니다.
또한, 대왕이라고 추앙을 받는 '영조'가 그랬습니다.

그리고 앞선 왕의 치적을 이어 ''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 하게 한
왕은 (宗) 으로 부릅니다.

이러한 묘호(廟號)는 신료들이 왕의 일생을 평가해 정했다고 합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정한 묘호를 바꾸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선조의 경우, 처음 묘호(廟號)선종이었으나..
국난(임진왜란) 극복 등 커다란 공이 있다고 일부신하들이 주장해..
선조로 바꿨다고 합니다.

이와는 다르게 '(君)' 이라는 칭호도 보여집니다.
군이라는 것은 원래 왕자들이나 왕의 형제..
또는 종친부나 공신에게 주어지던 호칭이었습니다.
그러나 광해군과 연산군의 경우는 재위 기간 중
국가와 민생에 커다란 해를 끼친..
폭군으로서 폐위되었기 때문
에 왕으로 대접하지 않고 군으로 봉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실제로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뒤에 묘호가 내려진 왕)과
왕비의 신위가 봉안되어 있는 왕실의 사당인 종묘에서도 광해군과 연산군의 신위는
찾아 볼 수 없답니다.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세종은 현재에는 '세종대왕'으로 추앙을 받고 있지만..
당대에는 '(祖)'의 반열까지 오르기에는 미흡한 왕으로 인식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광해군은 중립외교로써 외교적 역량을 발휘했지만..
반정세력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군'으로 낮춰 기록된 것 같구요.

조(祖)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7명.
창업군주, 중흥군주나 큰 국난을 극복하였거나, 반정을 통해 즉위한 왕.

종(宗)
27명의 왕 중 9명을 뺀 나머지 왕들로 '수성'을 한 왕에게 붙임.
조와 종의 기준은 애매모호하며 당시의 정치적 형편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임.
[수성(守成)이란? 선왕이나 부조가 이룬 업을 이어서 지킴]

군(君)
연산군. 광해군
반정으로 축출됨으로써 서출 왕자에게 쓰는 군으로 강등됨.
실록도 연산군 일기, 광해군 일기로 차별을 받음.

'우리나라 유산 > 우리나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0) 2014.10.27
조선왕조 가계도  (0) 2014.10.26
궁과 종묘  (0) 2014.10.25
우리나라 왕실 연대표(2)  (0) 2014.10.23
우리나라 왕실 연대표(1)  (0) 2014.10.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