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왕(昌王)의 누이

 

관산성 전투서 전사한 백제 성왕의 딸

 

▲ 창왕 명(昌王銘) 석조사리감

 

백제의 마지막 수도 부여에는 왕실 사람들이 묻힌 것으로 알려진 능산리 고분군이 있다. 고분군 왼편에 한 개의 탑과 금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 가람 배치를 한 백제시대 절터가 있다. 절터 중앙부 목탑자리 아래에서 45cm 높이의 석조 사리감(舍利龕)이 발견되었다. 이 사리감이 눈길을 끈 것은 감실 입구 양쪽 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오른쪽에는 ‘백제창왕십삼년태세재(百濟昌王十三秊太歲在)’, 왼쪽에 ‘정해매□공주공양사리(丁亥妹□公主供養舍利)’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즉 백제 창왕 13년 정해년에 창왕의 누이가 되는 공주가 사리를 공양했다는 것이다. 

 

창왕은 백제 27대 위덕왕을 말한다. 위덕왕은 성왕(聖王)의 맏아들이므로 위덕왕의 누이는 성왕의 딸임을 알 수 있다. 이 공주는 사료에는 전혀 존재가 보이지 않는데 사리감기의 명문과 문헌 사료의 조각을 맞추어 보면 가족관계가 어느 정도 드러난다. 아버지는 백제 26대 왕인 성왕이며, 위덕왕과 남매 사이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라 진흥왕(眞興王)의 소비(小妃)가 된 여자 형제가 있다. 이들 가족은 모두 비극적인 삶을 살았다.

 

성왕은 사비(泗沘)로 천도를 단행하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개칭하는 등 백제 중흥을 모색했던 영주였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성왕은 신라군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빼앗겼던 한강 유역을 수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라가 고구려와 밀약(密約)을 맺은 뒤 무력으로 한강 하류 유역을 차지하면서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격분한 성왕은 신라 정벌에 나섰으나 관산성에서 역습을 받아 전사하고 말았다. 

 

사리감이 발견된 능산리의 사지(寺址)는 위덕왕 13년에 만들었다. 사리감의 내용이나 절의 위치 등으로 미루어 능산리 사지는 성왕을 추복(追福)하기 위해 만들어진 능사(陵寺)였음을 알 수 있다. 성왕의 딸이 목탑에 안치되는 사리의 공양자로 이름이 새겨진 것은 사찰 창건에 성왕의 딸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음을 알게 한다. 익산 미륵사지의 탑지에서도 사리감기가 발견되었는데, 무왕(武王)의 비의 발원과 경제적 후원에 의해 미륵사가 건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공주는 사리를 공양하면서 무엇보다 백제 중흥을 위해 애쓰다 비명에 간 불쌍한 아버지 성왕의 명복을 발원하였을 것이다. 오라버니 위덕왕도 왕권에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성왕의 전사와 백제군의 대패로 왕권과 국가 위신이 추락한 상황에서 출가수도를 결행하려 할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공주로서는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위덕왕의 안위(安慰)에 대한 기원도 했을 것이다. 정략의 희생양으로 적국인 신라로 가서 아버지를 죽인 원수의 후궁으로 살아야 했던 다른 여형제에 대해서도 부처님의 가호에 기댈 수밖에는 없었다.


김선주 중앙대 강사, 고대사 연구자 출처; 이투데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