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이 꿈이 된다[魂魄爲夢]
대체로 꿈은 다 정신이 사물과 작용하여 생긴다. 또한 형체가 사물과 접촉하면 일이 생기고 정신이 사물과 작용하면 꿈이 된다[유취].
○ 옛날에 진인(眞人)은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았다.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는 것은 정신이 온전하기 때문이다[정리].
○ 심(心)이 실(實)하면 근심하거나 놀라거나 괴상한 꿈을 꾼다. 심이 허(虛)하면 혼백이 들뜨기 때문에 복잡한 꿈을 많이 꾼다. 이때에는 별리산, 익기안신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사기가 침범하면 정신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적기 때문이다. 혈기가 적은 것은 심(心)에 속한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흔히 두려워하고 눈을 감고 있으며 자려고만 하고 먼 길을 가는 꿈을 꾸며 정신이 흩어지고 꿈에 허투루 돌아다닌다. 음기가 쇠약하면 전증(癲證)이 생기고 양기가 쇠약하면 광증(狂證)이 생긴다[중경].
[註] 꿈은 잠잘 때의 정신활동으로 사람들의 정신육체적 활동과 밀접히 연관되어서 나타난다. 즉 꿈의 내용들은 주로 보거나 듣거나 만져 본 것들이 나타나며 어느 때에 잠이 깨어나는가에 따라 꿈의 내용을 기억해 두는 데 차이가 있다. 꿈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은 오랜 기간 꿈을 꾸게 되는 생리적 기전에 밝혀지지 못한 데로부터 비과학적이고 미신적인 억측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특히 여기에 씌어진 꿈에 대한 내용들도 모두 음양5행설과 결부시킨 과학성이 없는 내용이며 미신적인 말이다.
별리산(別離散)
심풍병(心風病)이 생기면 남자는 꿈에 여자가 나타나고 여자는 꿈에 남자가 나타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사기를 몰아내어 다시 나타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별리산이라고 한다.
흰삽주(백출) 40g, 천웅, 부자, 육계, 건강, 꼭두서니(천초) 각각 12g, 인우잎,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각각 20g, 족두리풀(세신), 석창포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빈속에 끓인 물로 타 먹는다. 열이 있으면 천웅, 부자, 건강, 육계를 빼고 지모, 황백 각각 12g, 당귀, 지황 각각 20g을 넣어 쓴다[입문]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7정(七情)이나 6음(六淫)에 감촉되어 심(心)이 허(虛)해져서 밤에 꿈이 많고 잠자리가 편안치 않으며 정신이 어렴풋하며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복신 각각 4g, 생지황, 맥문동, 메대추씨(산조인, 볶은 것), 원지,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우담남성, 참대잎 각각 3.2g, 감초, 황련 각각 1.6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건강정보 >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경편:꿈] 5장이 허하거나 실하면 꿈을 꾼다[五藏虛實爲夢] (0) | 2025.03.30 |
---|---|
[내경편:꿈]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淫邪發夢] (0) | 2025.03.30 |
[내경편:혈] 혈(血) 침뜸치료[鍼灸法] (0) | 2025.03.25 |
[내경편:혈] 혈(血) 단방(單方) (0) | 2025.03.19 |
[내경편:혈] 혈병(血病)에 두루 쓰는 약[通治血病藥餌]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