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보물1832호
소 재 지; 강원 인제군 북면 백담로 1700(용대리 산77) 봉정암
봉정암(鳳頂庵) 오층석탑(五層石塔)은 설악산 소청봉 아래 해발 1244미터 높이에 위치한 봉정암(鳳頂庵)의 경내에 있는 높이 3.6m 규모의 석탑이다. 한용운(韓龍雲)이 쓴 『백담사사적기(百潭寺寺蹟記)』(1923년)에 수록된「봉정암중수기(鳳頂庵重修記)」(1781년)에 따르면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에서 얻은 석가불의 사리 7과가 이 탑에 봉안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를 근거로 봉정암(鳳頂庵)은 통도사(通度寺), 상원사(上院寺), 정암사(淨巖寺), 법흥사(法興寺)와 함께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는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의 하나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탑의 형식상 그 구성이 단순하고 탑신의 체감률도 적은 편이며 옥개석에 구현된 양식 등은 고려후기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그 조성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석탑은 기단부․탑신부․상륜부의 3부분이 조화를 이루며 건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탑은 거대한 자연암석을 기단으로 삼아 바위 윗면을 치석하여 2개의 단을 만들고 그 주변에 16개의 연잎을 돌려 기단부를 조성하였다. 그 위에 올려진 탑신석[몸돌]은 3층까지 모서리에 우주(隅柱, 기둥)가 모각되어 있고 탑신석 위에 올려진 두꺼운 옥개석[지붕돌]은 낙수면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하며 끝부분만 살짝 반전된 형태이다. 옥개석 아래로는 각 층마다 3단의 옥개받침이 두껍고 투박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옥개석의 윗면에는 탑신받침이 새겨져 있다. 상륜부는 연꽃 봉오리 혹은 보주 형태의 석재를 올려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봉정암(鳳頂庵) 오층석탑(五層石塔)은 기단부를 생략하고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았다는 점, 진신사리를 봉안한 석탑이라는 점 그리고 고대의 일반형 석탑이 고려후기에 단순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한국 불교건축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