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2(文宗二) 16년~17년
〈임인〉16년(1062) 봄 정월. 임술 〈거란(契丹)에서〉 동경회례사(東京回禮使)로 검교상서우복야(檢校尙書右僕射) 야율장(耶律章)이 왔다.
김원정(金元鼎)을 파면하여 서경유수사(西京留守使)로 삼아 내보냈다.
2월 기해. 왕자 왕도(王燾)를 책봉(冊封)하여 검교상서령 수사도(檢校尙書令 守司徒)로 책봉하였다.
을사. 탐라(耽羅)에서 고협(高叶) 등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여름 6월 병자. 초하루 동여진(東女眞)의 귀덕장군(歸德將軍) 분대(分大) 등이 내조(來朝)하였다.
을사. 예빈경 지어사대사(禮賓卿 知御史臺事) 최상(崔賞)을 지서북면추동번병마사(知西北面秋冬番兵馬事)로, 예부시랑 좌간의대부(禮部侍郞 左諫議大夫) 홍덕위(洪德威)를 동북면추동번병마부사(東北面秋冬番兵馬副使)로 삼았다.
가을 7월 경신. 중추사 병부상서(中樞使 兵部尙書) 김원황(金元晃)이 죽으니, 의경(毅敬)이란 시호를 주고 아들 1명에게 관직을 주었다.
임신. 동여진(東女眞)의 모내(毛乃) 등이 내조(來朝)하였다.
8월 무인. 동여진(東女眞)의 늑어을(勒於乙)과 우모내(亏毛乃) 등이 내조(來朝)하였다.
을유. 왕이 흥왕사(興王寺)에 행차하여 제서(制書)를 내려 이르기를,
“이 절은 여럿이 힘을 모은 지 이미 오래되어 큰 사업이 장차 완성되려 한다. 이제 내가 그 공적을 직접 보고 특전을 베풀려 하니, 마땅히 중앙과 지방의 중죄인은 모두 형을 낮추어 유배시키고, 공사범인 도형[公徒]과 민사범인 장형[私杖] 이하는 모두 사면하라. 공사를 감독한 관리는 모두 관직과 상을 더하라.”
라고 하였다.
임인. 개성후(開城侯) 왕개(王暟)가 죽었다.
겨울 10월 기묘. 탐라성주(耽羅星主) 고일(高逸)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경자. 동여진(東女眞)의 귀덕대장군(歸德大將軍) 마리해(麻里害)와 아가주(阿加主)가 내조(來朝)하였다.
12월 갑술. 초하루 거란(契丹)에서 태주관내관찰사(泰州管內觀察使) 고수정(高守正)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하였다.
〈계묘〉17년(1063) 봄 정월 계묘. 초하루 건덕전(乾德殿)에서 여러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비단을 차등 있게 하사하였다.
무신 삼사(三司)에서 아뢰기를, “익령현(翼嶺縣)과 서북면(西北面) 성주(成州)의 수전장(篲田場) 지역에서 황금이 산출되니, 공물대장[貢籍]에 등록하기를 요청합니다.”라고 하였다.
2월 갑술. 형부시랑 우간의대부(刑部侍郞 右諫議大夫) 이유적(李攸績)을 서북면춘하번병마부사(西北面春夏番兵馬副使)로, 소부소감(少府少監) 이득로(李得路)를 동북면춘하번병마부사(東北面春夏番兵馬副使)로 삼았다.
정축. 동여진(東女眞)의 귀덕장군(歸德將軍) 회화(懷化) 등이 와서 준마(駿馬)를 바쳤다.
기축. 동여진(東女眞)의 귀덕장군(歸德將軍) 상곤(霜昆) 등이 와서 양마(良馬)를 바쳤다.
경인. 장영(蔣英)을 시어사(侍御史)로, 윤조명(尹祚明)을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임명하였다.
3월 병오. 거란(契丹)에서 『대장경(大藏經)』을 보내니, 왕이 법가(法駕)를 갖추고 서교(西郊)에서 맞이하였다.
신해. 탐라(耽羅)의 새 성주(星主) 두량(豆良)이 내조(來朝)하니, 특별히 명위장군(明威將軍)을 제수하였다.
여름 4월 을해. 태자에게 비서각(秘書閣)에 있는 9경(九經)과 사(史)‧전(傳)‧백가서(百家書)를 하사하였다.
신축. 이황(李璜)을 호부상서(戶部尙書)로, 박희중(朴希仲)을 섭공부상서(攝工部尙書)로 임명하였다.
5월 갑진. 왕이 문덕전(文德殿)에 거둥하여 복시(覆試)를 보이고, 홍기(洪器) 등을 급제시켰다.
가을 7월 경신. 태복경(太僕卿) 민창소(閔昌素)를 지서북면추동번병마사(知西北面秋冬番兵馬使)로, 상서우승(尙書右丞) 김석조(金錫祚)를 동북면추동번병마부사(東北面秋冬番兵馬副使)로 삼았다.
무진. 김원정(金元鼎)을 수태위 문하시중(守太尉 門下侍中)으로 삼았는데, 얼마 안 되어 죽었다.
8월 신묘. 왕무숭(王懋崇)을 동북면행영병마사(東北面行營兵馬使)로, 이유충(異惟忠)을 판삼사사 서북면중군병마사(判三司事 西北面中軍兵馬使)로, 왕이보(王夷甫)를 겸서경유수사(兼西京留守使)로 삼았다.
9월 경자. 제서(制書)를 내려 이르기를,
“금년에 비가 내리지 않아 가을의 수확을 기대하지 못하니, 주군(州郡)에서 구황(救荒) 대책을 세우게 하라.”
라고 하였다.
임인. 송(宋) 상인 곽만(郭滿) 등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경술. 박성걸(朴成傑)을 검교태위 문하시중(檢校太尉 門下侍中)으로, 임종일(任從一)을 중서시랑평장사 주국(中書侍郞平章事 柱國)으로 승진시킨 후에 모두 관례에 따라 치사(致仕)하게 하였다.
겨울 10월 경오. 송(宋) 상인 임영(林寧)‧황문경(黃文景)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임진. 왕이 장원정(長源亭)에 행차하였다.
11월 계묘. 거란(契丹)에서 익주자사(益州刺史) 소격(蕭格)을 보내 내빙(來聘)하였다.
갑자. 동여진(東女眞)의 귀덕장군(歸德將軍) 마리해(麻離害)와 수원장군(綏遠將軍) 다로대(多老大) 등이 내조(來朝)하였다.
12월 무진. 초하루 거란(契丹)에서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이일숙(李日肅)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하였다.
병술. 병부시랑(兵部侍郞) 정동조(鄭同祚)를 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로, 대부소경(大府少卿) 박신후(朴臣厚)를 동경부유수(東京副留守)로 삼았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세상사는 이야기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가(世家) 문종(文宗) 19년 (0) | 2023.06.15 |
---|---|
세가(世家) 문종(文宗) 18년 (1) | 2023.06.11 |
세가(世家) 문종(文宗) 14년~15년 (0) | 2023.06.04 |
세가(世家) 문종(文宗) 13년 (1) | 2023.05.30 |
세가(世家) 문종(文宗) 12년 (0)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