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溫泉) 이란
온천
을 성인적(成因的)으로 분류하면 열수형(熱水型)·지하수형·분기형(噴氣型)·화석수형(化石水型)으로 구분되고, 수온으로 분류하면 냉천(25℃ 미만)·미온천(25~35℃)·온천(35~42℃)·고온천(42℃)으로 분류된다.
온천(溫泉)
땅속에서 지표 위의 평균 기온보다 높은 온도의 물이 자연히 솟는 샘으로, 흔히 섭씨 25도 이상의 물이 나오는 곳을 이른다.
열천(熱泉)
지열(地熱)에 의해 데워진 더운물이 땅 위로 자연적으로 솟는 샘으로, 여러 가지 광물질이 녹아 있어 의학적으로 효과가 많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물의 온도를 섭씨 25도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영천(靈泉)
신비한 약효가 있는 샘을 말하며, 땅속에서 지표 위의 평균 기온보다 높은 온도의 물이 자연히 솟는 샘으로 흔히 섭씨 25도 이상의 물이 나오는 곳을 이른다.
온정(溫井)
더운물이 솟는 우물을 말하며, 땅속에서 지표 위의 평균 기온보다 높은 온도의 물이 자연히 솟는 샘으로 흔히 섭씨 25도 이상의 물이 나오는 곳을 이른다.
탕정(湯井)
지열(地熱)에 의해 데워져 그 지역의 평균 기온보다 높은 온도로 솟아 나오는 샘을 말한다.
탕천(湯泉)
지열(地熱)에 의해 데워진 더운물이 땅 위로 자연적으로 솟는 샘으로, 여러 가지 광물질이 녹아 있어 의학적으로 효과가 많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물의 온도를 섭씨 25도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냉천(冷泉)
물의 온도가 섭씨 25도 아래인 광물질이 다량 들어 있는 샘을 말한다.
광천(鑛泉)
광물질이나 가스를 많이 함유한 땅속에서 솟아나는 샘으로, 땅속에서 솟는 광천은 정해진 기준 온도에 따라 온천과 냉천으로 분류된다.
온천은 물온도가 25도이상이면 온천으로 분류되므로 우리나라 온천은 온도가 낮은 곳이 많아 온도를 올리려고 물을 끓여서 쓰는곳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