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종묘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태조4년(1395년)에 창건된 조선 제일의 으뜸궁궐로서 “하늘이 내린 큰 복” 이라는 뜻을 가진 왕궁입니다.
1392년 조선왕조를 개창한 태조1394년 서울을 도읍으로 정하고 종묘사직궁궐 등의 공사를 착공하여 1395년 9월 29일 총 755칸 규모의 경복궁을 완공하였다. 그리고 그 해 태조는 정도전에게 새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지어 올리게 하였는데, 경복궁의 명칭을 비롯하여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사정전, 근정전, 근정문, 정문(현재 광화문) 등 주요 건물의 명칭은 이 때 지어진 것이다.
이후 1411년 태종은 경복궁에 금천을 파도록 명하고 이듬해에는 경회루를 건축하였다.
경복궁이 조선왕조의 법궁다운 면모를 갖춘 것은 세종대왕 때였는데, 1426년 왕명을 받은 집현전에서 경복궁의 각 문과 다리의 이름을 지어올렸으니 광화문, 홍례문(현재 흥례문), 일화문, 월화문, 건춘문, 영추문, 영제교 등이 이때 지어진다. 그리고 1429년 사정전과 경회루의 중수를 시작으로 주요 전각을 새로 짓거나 중수하였다.
명종 8년에는 실화로 경복궁이 전소되었는데, 이를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지었다. 이 때에 동원된 인력이 부역이 2,200명이었고 품팔이꾼이 1.500명이었다고 한다. 명종대에 건립된 경복궁을 그린 ‘한양궁궐도병’이라는 그림이 있었는데, 그림은 임진왜란 당시에 소실되었다고 전해진다.
1592년 선조가 피란할 때에 난민이 발생하였고, 노비문서와 노략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경복궁·창덕궁·창경궁의 궁궐들을 불태웠다. 그 후로 273년간 재건하지 못하다가 1865년 음력 4월 2일 고종의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의 지시로 중건이 시작되어 1868년 재건되었고, 경복궁의 재건을 주도한 흥선 대원군은 권력을 장악하기도 하였다.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년) 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지은 궁궐이며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이웃한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이라 불립니다.

조선 시대의 왕 인조과 효종, 순종을 비롯하여 성종이 승하한곳이고, 순조의 세자로 나중에 추존된 익종이 태어나기도 한 곳이다. 보물 816호이다. 태종 5년(1405년) 에 지었는데, 임진왜란과 그 후에도 화재로 여러 번 다시 짓기도 하였다. 1917년 또다시 화재가 났는데, 1920에 경복궁의 교태전을 헐고 다시 이곳에 재건하여 '대조전'이라는 현판을 걸어 오늘날 까지 자리 잡고 있다. 내부는 대체로 서양식으로 침전이고 침대 등이 있다.

조선 시대 궁궐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다.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다.

임진왜란 이후 다시 지어졌고, 폐허로 변한 경복궁의 역할을 대체하여 임금이 거처하며 나라를 다스리는 곳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부분이 의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그려진 《동궐도》를 참조하여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성종 14년(1483년)에 세조비 정희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터에 창건한 궁입니다. 

조선 시대 세종 1년(1419년)에 건축한 궁궐로 처음 이름은 수강궁(壽康宮)이었으나 성종 14년(1483년)에 고쳐 지은 후, 현재 이름인 창경궁으로 바꾸었다. 남쪽으로는 종묘, 서쪽으로는 창덕궁과 연결되어 있다.

1909년 일본이 순종의 마음을 달랜다는 이유로 강제로 창경궁 안에 궁문, 담장 등을 헐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만들어 일반인들에게 관람시켰으며, 1911년에는 박물관을 짓고 이름을 창경원(昌慶苑)으로 고쳐 격을 낮추어 불렀다. 그 때부터 서울대공원이 생기기 전까지 시민의 공원이었던 창경원은 1983년동물원에 있던 동물들을 모두 서울 대공원으로 옮긴 이듬해인 1984년 창경궁을 복원하고 정비하면서 다시 이름을 원래대로 창경궁으로 고쳤다. 사적 제123호로 지정되어 있다.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궁궐로서는 유일하게 근대식 전각과 서양식 정원, 그리고 분수가 있는 궁궐로서 중세와 근대가 잘 어울려진 궁입니다.

조선궁궐로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광해군1608년, 인조1623년에 이 곳에서 즉위하였다. 또한,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곳이기도 하다. 1611년~1615년에는 조선의 정궁, 1897년~1907년에는 대한제국의 황궁이었다.

경운궁은 광해군 시절인 1611년월산대군이 머물렀던 정릉동 행궁을 확장하면서 붙인 이름이다. 원래는 흥경궁(興慶宮)으로 하고자 하였으나, 광해군이 “이것은 전대의 궁호이니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합당한 궁호를 여러 개 써서 아뢰라”고 하였으므로, 경운궁이라고 이름하였다. 본격적으로 궁궐로서의 면모를 갖춘 것은 고종 연간인 1896년이다. 이후 1897부터 1907년까지 대한제국 시기에 황제가 정무를 보던 법궁(法宮) 역할을 담당하였다. 1904년에 불이 나 궁궐의 상당 부분이 소실된 후 중건이 시도되었는데, 당시 국가의 정치 상황이나 재정 여건상 궁궐 권역과 건물 규모에 적지 않은 축소가 있었다.

1907년 7월에 헤이그 밀사 사건의 여파로 고종일본에 의해 강제로 퇴위당한 후 경운궁에 머물렀는데, 이때 고종의 궁호(宮號)를 '덕수(德壽)'라고 하였기 때문에 덕수궁으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순종창덕궁으로 이어하였다.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1394년 10월 태조서울로 수도를 옮긴 그 해 12월에 지어졌고,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다가 광해군 즉위년(1608년)에 다시 지어졌다.

위치상으로 창덕궁창경궁의 남쪽에 인접해 있다. 조선시대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도로가 나면서 끊기고, 현재는 육교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종묘에서는 조선 왕조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종묘의 건축물들과 600여년 간 제례행사를 지내 온 가치가 인정되어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으며, 종묘제례(중요무형문화제 제56호)와 제사를 지낼 때에 춤과 함께 연주되는 음악종묘제례악(중요 무형문화제 제1호)은 2001년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등록되었다.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조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잠저(潛邸)이며 흥선대원군의 사저이며, 한국근대사의 유적 중에서 대원군의 정치활동의 근거지로서 유서 깊은 곳입니다.

한옥은 제일 앞 남쪽에 대원군의 사랑채인 노안당이 자리잡고, 뒤쪽인 북쪽으로 행랑채가 동서로 길게 뻗어있으며 북쪽에 안채인 노락당이 자리잡고 있다.

고종이 즉위하자 이곳에서 흥선대원군이 정치를 하였고, 궁궐과 직통으로 연결되었다. 흥선대원군은 10여년간 정치를 하면서 세도정치의 폐란을 제거하고 인사·재정들에서 대폭적인 개혁을 단행하였고,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경복궁을 다시 짓기도 하였다.

지금은 궁의 일부가 덕성여자대학교로 사용되고 있고 방송국 시설이 있기도 하다. 이로 인해 대원군이 즐겨 사용하던 아재당도 헐려 나가고 영화루와 은신군·남연군의 사당도 모두 없어졌다.

 

경희궁

희궁(慶熙宮)은 광해군 8년(1616년)에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元宗)이 살던 새문동 집터에 세워진 궁궐으로 처음에는 경덕궁(慶德宮)이라 하였으나 영조 36년(1760년)에 경희궁으로 그 이름이 바뀌었습니다.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8년(1616년)에 건립하였다. 서울시에 있는 5대 궁궐 중에서 서쪽에 자리하여 서궐로도 불렀으며, 새문안 대궐, 새문동 대궐, 아주개 대궐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의 이궁(離宮)으로, 경운궁(덕수궁)과 홍교로 연결되어 있었다. 본래는 100여 동이 넘는 전각들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심하게 훼손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경희궁을 허물고 그 자리에 경성중학교를 만들었으며, 해방 후에 서울고등학교가 위치하였다. 경희궁터는 사적 제271호로 지정되었고, 1980년 서울고등학교가 서초구로 이전한 이후 서울 시립 미술관 등으로 사용되다가, 다시 건물을 허물고 경희궁의 일부를 복원하였다. 서울고등학교의 별칭과 경희대학교의 명칭 등이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우리나라 유산 > 우리나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0) 2014.10.27
조선왕조 가계도  (0) 2014.10.26
왕이름의 조와 종  (0) 2014.10.24
우리나라 왕실 연대표(2)  (0) 2014.10.23
우리나라 왕실 연대표(1)  (0) 2014.10.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