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면비(郁面婢) 염불서승(念佛西昇)
경덕왕(景德王) 때 강주(康州), 지금의 진주(晉州) 또는 강주(剛州)라고도 하는데, 즉 지금의 순안(順安)의 선사(善士) 수십 명이 서방(西方)을 구하려는 뜻으로 고을 경내에 미타사(彌陁寺)를 세우고 만일을 기약하고 계(契)를 만들었다. 그때 아간(阿干) 귀진(貴珎)의 집에 욱면(郁面)이라는 이름의 한 여종(婢)이 있었다. 그 주인을 따라 절에 가서 마당에 서서 스님을 따라 염불(念佛)하였다. 주인은 그녀가 직분에 어긋나게 행동하는 것을 미워하여 매양 곡식 두 섬씩을 주며 하루 저녁에 그것을 다 찧게 하였다. 여종(婢)은 초저녁에 다 찧고는 절에 가서 염불(念佛)하기를 밤낮으로 게을리 하지 않았다. 속담에 ‘내 일 바빠서 큰 집 방아 서두른다’는 말이 여기서 나온 듯하다.
마당 좌우에 긴 말뚝을 세우고 두 손바닥을 뚫어 노끈으로 꿰어 말뚝 위에 매어 놓고 합장(合掌)하여 좌우로 움직이면서 스스로 격려하였다. 그때 공중에 하늘의 외침이 있어 “욱면낭자(郁面娘)는 법당에 들어가서 염불(念佛)하라”고 하였다. 절의 대중이 이 소리를 듣고 여종(婢)에게 권하여 법당에 들어가 예에 따라 정진(精進)하게 하였다. 얼마 안 되어 하늘의 음악(天樂)이 서쪽으로부터 들려오더니 여종(婢)이 솟구쳐 집 대들보(屋樑)를 뚫고 나갔다. 서쪽으로 가 교외(郊外)에 이르러 형체를 버리고(捐骸) 진신(真身)으로 변하여 나타나 연화대(蓮䑓)에 앉았다가 큰 광명(大光明)을 발하면서 서서히 사라지니, 공중(空中)에서는 음악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그 법당에는 지금도 뚫어진 구멍자리가 있다고 한다. 이상은 향전(鄕傳)이다.
≪승전(僧傳)≫을 살펴보면, “동량(棟梁) 팔진(八珎)이란 것은 관음보살(觀音)의 응현(應現)이었다. 무리들을 모으니 1천 명이 되었는데, 두 패로 나누어 한 패는 노력(勞力)을 하고, 한 패는 정성껏 수행(精修)하였다. 그 노력(勞力)하는 무리 중에 일을 맡아보던 이가 계(戒)를 얻지 못하여 축생도(畜生道)에 떨어져 부석사(浮石寺)의 소가 되었다. 일찍이 경전을 싣고 갔기에 경전의 힘을 입어서 전생하여 아간(阿干) 귀진(貴珎)의 집 여종(婢)이 되어 이름을 욱면(郁面)이라고 하였다. 일이 있어서 하가산(下柯山)에 갔다가 꿈에 감응을 받고 드디어 도심(道心)을 발하였다. 아간(阿干)의 집은 혜숙법사(惠宿法師)가 세운 미타사(彌陁寺)와 거리가 멀지 않아 아간(阿干)은 항상 그 절에 가서 염불(念佛)했는데, 여종(婢)도 따라 가서 마당에서 염불(念佛)하였다”고 운운하였다.
이렇게 하기를 9년, 을미(乙未) 정월 21일에 예불(禮佛)하다가 집 대들보(屋梁)를 뚫고 나가 소백산(小伯山)에 이르러 신 한 짝을 떨어뜨렸으므로 그곳에 보리사(菩提寺)를 짓고, 산 아래에 이르러 그 육신을 버렸으므로 곧 그 자리에 제2보리사(二菩提寺)를 짓고 그 불전에 욱면등천지전(勗面登天之殿)이라는 현판을 붙였다. 지붕 용마루(屋脊)에 뚫린 구멍은 열 아름 가량 되었으나 비록 폭우(暴雨)와 폭설(宻雪)이 와도 젖지 않았다. 나중에 어떤 호사자(好事者)가 금탑(金塔) 한 좌를 본떠 만들어 그 구멍에 맞추어 소란반자(承塵)위에 안치하고, 그 이적을 기록했는데, 지금도 그 현판과 탑이 남아 있다.
욱면(勖面)이 떠나간 후 귀진(貴珎) 역시 그 집이 이인(異人)이 의탁해서 태어난 곳이라고 하여 희사하여 절을 만들어 법왕사(法王)라고 하고 전민(田民)을 바쳤다. 오랜 뒤에 폐허가 되었는데, 대사(大師) 회경(懷鏡)이 승선(承宣) 유석(劉碩)·소경(小卿) 이원장(李元長)과 함께 발원하여 중창하였다. 회경(懷鏡)이 몸소 토목(圡木) 일을 했는데, 처음 재목을 운반할 때 꿈에 노인이 삼신(麻屨)과 칡신(葛屨)을 각 한 켤레씩 주었다. 또 옛 신사(神社)에 가서 불교의 이치로 효유하고, 신사(神社) 곁의 나무를 베어 내어 무릇 5년 만에 마쳤다. 또 노비들을 더 두어 융성해져 동남지방의 유명한 절이 되었는데, 사람들은 회경(懷鏡)을 귀진(貴珎)의 후신(後身)이라고 하였다.
논의하여 말한다.
지방에 있는 고전(古傳)을 상고하면, 욱면(郁面)은 곧 경덕왕(景徳王) 때의 일인데, 징(徵)의 본전(本傳)에 의하면, 징(徵)자는 아마도 진(珎)일 것인데, 아래에서도 같다. 곧 원화(元和) 3년 무자(戊子, 808) 애장왕(哀莊王) 때의 일이라고 하였다. 경덕왕(景徳王) 이후 혜공(惠恭)·선덕(宣德)·원성(元聖)·소성(昭聖)·애장(哀莊) 등 5대 모두 60여 년이나 된다. 귀징(貴徵)은 먼저요, 욱면(郁面)은 나중이 되어 향전(鄕傳)과는 틀리다. 그러나 두 기록을 남겨서 의문을 없앤다.
찬(讚)하여 말한다.
서편 이웃 옛 절에 불등이 밝은데(西隣古寺佛燈明)
방아 찧고 절로 가면 어느새 밤은 2경(㫪罷歸来夜二更)
한 번의 염불마다 성불하기 스스로 기약하며(自許一聲成一佛)
손바닥 뚫어서 줄로 꿰어 제 몸을 잊었다네(掌穿繩子直㤀形).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통(感通) 경흥우성(憬興遇聖) (0) | 2019.08.27 |
---|---|
감통(感通) 광덕(廣德) 엄장(嚴莊) (0) | 2019.08.26 |
감통(感通) 선도성모(仙桃聖母) 수희불사(隨喜佛事) (0) | 2019.08.24 |
신주(神呪) 명랑신인(明朗神印) (0) | 2019.08.23 |
신주(神呪) 혜통항룡(惠通降龍) (0) | 2019.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