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흥우성(憬興遇聖)
신문왕(神文王) 대의 대덕(大徳) 경흥(憬興)은 성(姓)이 수씨(水氏)이고 웅천주(熊川州) 사람이다. 나이 18세에 출가(出家)하여 삼장(三藏)에 통달하여 명망이 한 시대에 높았다. 개요(開耀) 원년에 문무왕(文武王)이 장차 승하하려고 하여 신문왕(神文王)에게 유언을 남기기를 “경흥법사(憬興法師)는 국사(國師)가 될 만하니 짐(朕)의 명을 잊지 말아라”라고 하였다. 신문왕(神文王)이 즉위하자 국로(國老)로 책봉하고 삼랑사(三郎寺)에 살게 하였다.
갑자기 병이 나서 한 달을 지냈는데 한 비구니(尼)가 와서 그를 문안하고 ≪화엄경(華嚴経)≫ 중 착한 친구(善友)가 병을 고친 이야기를 가지고 말하였다. “지금 법사(法師)의 병은 근심이 이른 바이니 즐겁게 웃으면 나을 것이다.”라고 하고 곧 열한 가지의 모습을 만들고 각각 광대와 같은 춤을 추니 뾰족하기도 하고 깎은 듯 하기도 하여 변하는 모습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였다. 모두 너무 우스워 턱이 빠질 것 같았다. 법사(法師)의 병이 자기도 모르게 나았다. 비구니(尼)는 드디어 문을 나가서 곧 남항사(南巷寺)로 들어가 숨어버렸는데, 삼랑사(三郎寺) 남쪽에 있다. 가지고 있던 지팡이는 십일면원통상(十一面圓通像) 탱화(幀畫) 앞에 있었다.
어느 날 장차 왕궁(王宫)에 들어가려 하여 시종(従者)이 먼저 동문 밖에서 채비하였다. 안장과 말이 매우 화려하고 신과 갓이 다 갖추어져서 행인들이 그것을 피하였다. 한 거사(居士) 혹은 사문(沙門)이 행색이 남루하고 손에 지팡이를 짚고 등에 광주리를 이고 와서 하마대(下馬䑓) 위에서 쉬고 있었는데 광주리 안을 보니 마른 생선(乹魚)이 있었다. 시종(従者)이 그를 꾸짖어 “너는 중(緇)의 옷을 입고 있으면서 어찌 더러운 물건을 지고 있는 것이냐”라고 하였다. 중이 말하기를 “그 살아 있는 고기를 양 넓적다리 사이에 끼고 있는 것과 삼시(三市)의 마른 생선(枯魚)을 등에 지는 것이 무엇이 나쁘단 말이냐”라고 하고, 말을 마치고는 일어나 가버렸다. 경흥(憬興)이 바야흐로 문을 들어오다가 그 말을 듣고 사람을 시켜 그를 쫓아가게 하였다. 남산(南山) 문수사(文殊寺)의 문 밖에 이르자 광주리를 버리고 사라졌다. 지팡이는 문수상(文殊像) 앞에 있었고 마른 생선(枯魚)은 곧 소나무 껍질(乹魚)이었다. 사자가 와서 고하니, 경흥(憬興)은 그것을 듣고 한탄하여 “대성(大聖)이 와서 내가 짐승을 타는 것을 경계하였구나”라고 하고 죽을 때까지 다시 말을 타지 않았다.
경흥(憬興)의 덕(徳)이 풍긴 맛은 석(釋) 현본(玄本)이 찬술한「삼랑사비(三郞寺碑)」에 갖추어 실려 있다. 일찍이 ≪보현장경(普賢章經)≫을 보니 미륵보살(彌勒菩薩)이 말하기를 “내가 내세(來世)에 당하여 염부제(閻浮提)에 나서 먼저 석가(釋迦)의 말법(末法) 제자(弟子)를 구제할 것인데 오직 말을 탄 비구(比丘)는 제외하여 부처(佛)를 볼 수 없게 할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어찌 경계하지 않겠는가.
찬(讚)하여 말한다.
옛 어진 이가 모범을 드리운 것은 뜻한 바 많았는데(昔賢垂範意弥多),
어찌하여 자손들은 덕을 닦지 않는가(胡乃児孫莫切瑳).
마른 고기 등에 진 건 오히려 옳은 일이나(背底枯魚猶可事)
다음날 용화를 저버릴 일 어찌 견디겠는가(那堪他日負龍華).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통(感通) 월명사(月明師) 도솔가(兜率歌) (0) | 2019.08.29 |
---|---|
감통(感通) 진신수공(真身受供) (0) | 2019.08.28 |
감통(感通) 광덕(廣德) 엄장(嚴莊) (0) | 2019.08.26 |
감통(感通) 욱면비(郁面婢) 염불서승(念佛西昇) (0) | 2019.08.25 |
감통(感通) 선도성모(仙桃聖母) 수희불사(隨喜佛事) (0) | 2019.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