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랑(處容郞) 망해사(望海寺)
제49대 헌강대왕(憲康大王) 때는 경사(京師)에서 해내(海內)에 이르기까지 집과 담장이 연이어져 있었으며, 초가집은 하나도 없었다. 풍악과 노래 소리가 길에 끊이지 않았고, 바람과 비는 철마다 순조로웠다.
이때에 대왕이 개운포(開雲浦)에 나가 놀다가 바야흐로 돌아가려 했다. 학성(鶴城)의 서남쪽에 있으며, 지금의 울주(蔚州)이다. 낮에 물가에서 쉬는데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자욱해져 길을 잃게 되었다. 왕은 괴이하게 여겨 좌우에게 물으니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이것은 동해(東海) 용(龍)의 조화이오니 마땅히 좋은 일을 행하시어 이를 풀어야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유사(有司)에게 칙명을 내려 용을 위해 그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했다. 왕령이 내려지자 구름이 개이고 안개가 흩어졌다. 이로 말미암아 개운포(開雲浦)라고 이름하였다. 동해의 용(東海龍)은 기뻐하여 이에 일곱 아들(七子)을 거느리고 왕 앞에 나타나 왕의 덕(德)을 찬양하여 춤을 추며 풍악을 연주하였다. 그 중 한 아들이 왕의 수레를 따라 서울로 들어와 정사를 도왔는데 이름은 처용(處容)이라 했다.
왕이 아름다운 여인(羙女)을 처용(處容)에게 아내로 주어 그의 생각을 잡아두려 했으며 또한 급간(級干)의 벼슬을 내렸다. 그 처가 매우 아름다워 역신(疫神)이 그녀를 흠모(欽慕)해 사람으로 변하여 밤에 그 집에 가서 몰래 함께 잤다. 처용(處容)이 밖에서 집에 돌아와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 것을 보고, 이에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났다. 노래는 이렇다.
집에 들어와 자리를 보니(入良沙寢矣見昆)
다리가 넷이러라(脚烏伊四是良羅)
둘은 내 것이고(二肹隠吾下扵叱古)
둘은 뉘 것인고(二肹隠誰支下焉古)
본디는 내 것이다마는(本矣吾下是如馬扵隠)
앗은 것을 어찌할꼬(奪叱良乙何如為理古)
이때에 역신(疫神)이 형체를 드러내어 앞에 무릎을 꿇고 말하기를, “제(吾)가 공의 아내(公之妻)를 탐내어 지금 그녀를 범했습니다. 공(公)이 이를 보고도 노여움을 나타내지 않으니 감동하여 아름답게 여기는 바입니다. 맹세코 지금 이후로는 공의 형용(形容)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이로 인해 나라 사람들(國人)이 처용(處容)의 형상을 문에 붙여서 사귀(邪鬼)를 물리치고 경사를 맞아들이게 되었다.
왕이 서울에 돌아오자 영취산(靈鷲山) 동쪽 기슭의 경치 좋은 곳에 절을 세우고 이름을 망해사(望海寺)라고 했다. 또한 신방사(新房寺)라고도 이름하였으니 곧 용을 위해 세운 것이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이(紀異) 효공왕(孝恭王) (0) | 2019.05.29 |
---|---|
기이(紀異) 진성여대왕(真聖女大王) 거타지(居陁知) (0) | 2019.05.28 |
기이(紀異) 제48 경문대왕(景文大王) (0) | 2019.05.26 |
기이(紀異) 신무대왕(神武大王) 염장(閻長) 궁파(弓巴) (0) | 2019.05.20 |
기이(紀異) 흥덕왕(興德王) 앵무새(鸚鵡) (0) | 2019.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