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종2(毅宗二) 의종(毅宗) 14년
〈경진〉 14년(1160) 봄 정월 경진. 초하루 왕이 흥국사(興國寺)에 있으면서 중외(中外)의 조하(朝賀)를 받았다.
임진. 〈왕이〉 환궁하였다.
을미. 연등회(燃燈會)를 열고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정유. 〈왕이〉 보제사(普濟寺)에 행차하였다.
기해. 해 속에 괴이한 기운이 3일간이나 있었다.
신축. 〈왕이〉 나가서 흥왕사(興王寺)에 거둥하였다.
갑진. 용호군(龍虎軍) 군졸 장언(張彦)이 그 어미를 살해했으므로 참수(斬首)하고 그 머리를 3일간 시가(市街)에 효시(梟示)하였다.
2월 경술. 초하루 왕이 환궁하였다.
을축. 〈왕이〉 나가서 흥왕사(興王寺)에 거둥하였다.
3월 임오. 〈왕이〉 장원정(長源亭)으로 이어(移御)하였다.
병술. 〈왕이〉 서루(西樓)에 거둥하여 여러 장수들의 안장 올린 말[鞍馬]을 검열하였다.
기축. 〈왕이〉 흥왕사(興王寺)에 이어(移御)하였는데, 도중에 한 노구(老嫗)를 보고는 베와 술을 내려주었다.
정유. 〈왕이〉 환궁하여 양부(兩府)의 재추(宰樞)와 시신(侍臣)을 불러 어원(御苑)에 있는 화초 및 진기한 금수(禽獸)를 감상하도록 허락하고는 이어 술과 과일을 하사하였다.
여름 4월 임자.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이원응(李元膺)을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삼았는데 이 날 사망하였다.
무오. 왕이 현화사(玄化寺)에 갔다.
신유. 이윽고 〈왕이〉 법천사(法泉寺)에 행차하였다.
5월 을미. 최효저(崔孝著) 등에게 급제를 하사하였다.
무술. 다시 기우제를 올렸다.
6월 경신. 금(金)에서 야율림(耶律琳)을 보내어 왔다.
가을 7월 무인. 금(金)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었다.
계미.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치사(致仕)한 신숙(申淑)이 사망하였다.
기축.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최함(崔諴)이 사망하였다.
을미. 〈왕이〉 경룡재(慶龍齋)로 이어(移御)하였다.
8월 병오. 초하루 일식이 일어났다.
정미. 〈왕이〉 나가서 흥왕사(興王寺)에 거둥하였다.
을축. 〈왕이〉 환궁하였다.
무진. 선경전(宣慶殿)에서 6일간 소재도량(消灾道場)을 열었다.
계유. 해 가운데 흑점이 있었다. 왕이 몰래 측근[嬖人]인 백자단(白子端)과 이영(李榮)으로 하여금 죽은 낭중(郞中) 이지중(李之中)이 가졌던 애완물[玩物]을 찾아서 곽정동(霍井洞) 이궁(離宮)에 두게 하였다.
9월 무인. 왕이 흥왕사(興王寺)에 갔다.
갑신. 새로 만든 장당(藏堂)의 후원에 행차하여 술자리를 열고 국화(菊花)를 감상하였다.
을유. 모후전(母后殿)에 나아가 문안하였다.
겨울 10월 경술. 왕이 경복사(景福寺)에 행차하였다.
병진. 〈왕이〉 이윽고 보현사(普賢寺)에 행차하여 반승(飯僧)하면서 30근 무게의 은병(銀甁) 10개를 만들도록 하여 각기 다섯 가지 향과 다섯 가지 약을 가득 담아 절에 시납하였다.
기미. 〈왕이〉 보현원(普賢院)의 누각에 거둥하여 걸인에게 사람마다 베 1필과 면(緜) 2냥을 하사하였다.
경신. 또 〈왕이〉이 절의 누각에 거둥하여 친히 행려자(行旅者)들에게 반갱(飯羹)을 하사하였다.
신유. (또 왕이 절의 누각에 거둥하여 친히 행려자(行旅者)들에게 반갱(飯羹)을 하사하였는데) 이날 또한 그렇게 하였다.
임술. 〈왕이〉 환궁하였다가 이윽고 경룡재(慶龍齋)에 행차하였다.
을축. 구정(毬庭)에서 3일간 30,000명에게 반승(飯僧)하였다.
임신. 〈왕이〉 나가서 흥왕사(興王寺)에 거둥하였다.
11월 정축. 〈왕이〉 환궁하였다.
신묘. 금(金)에서 고통(高通)을 보내어 와서 왕의 생신을 축하하였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세상사는 이야기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가(世家) 의종(毅宗) 16년 (0) | 2025.03.26 |
---|---|
세가(世家) 의종(毅宗) 15년 (0) | 2025.03.20 |
세가(世家) 의종(毅宗) 13년 (0) | 2025.03.07 |
세가(世家) 의종(毅宗) 12년 (1) | 2025.03.01 |
세가(世家) 의종(毅宗) 11년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