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종2(毅宗二) 의종(毅宗) 18년

〈갑신〉 18년(1164) 봄 정월 신묘. 왕이 환궁하였다.

경자. 연등회를 열고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흰 무지개가 해를 뚫는 듯한 현상이 있었다.

2월 을축. 왕이 미행(微行)으로 안화사(安和寺)에 이어(移御)하였다.

계유. 〈왕이〉 흥왕사(興王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정축. 〈왕이〉 흥국사(興國寺)로 이어(移御)하였다.

경진. 〈왕이〉 관북궁(館北宮)으로 이어(移御)하였다.

임오. 〈왕이〉 흥국사(興國寺)로 이어(移御)하였다.

3월 신묘. 〈왕이〉 환궁하였다.

신축. 〈왕이〉 나가서 현화사(玄化寺)로 거둥하였다.

임인. 차내전숭반(借內殿崇班) 조동희(趙冬曦)와 차우시금(借右侍禁) 박광통(朴光通)을 보내어 송(宋)에 가서 놋그릇을 헌상하며 서덕영(徐德榮)을 보내준 데 대하여 보답하게 하였다.

병오. 장차 〈왕이〉 인지재(仁智齋)로 이어(移御)하려 했는데, 예종(睿宗) 궁인의 아들인 법천사(法泉寺) 주지(住持) 각예(覺倪)가 술과 안주를 준비하여 어가(御駕)를 달령원(獺嶺院)에서 맞이하였다. 왕이 풍월(風月)을 감상하며 여러 학사들과 시를 주고 받다가[唱和] 자리가 끝나기도 전에 취하게 되자 곧장 귀법사(歸法寺)로 들어갔다. 날이 이미 저물어서도 시종들이 왕의 행방을 몰랐는데 왕은 한밤중이 되어서야 돌아왔다.

여름 4월 정사. 〈왕이〉 현화사(玄化寺)로 이어(移御)하였다.

병인. 왕이 환궁하였다.

기묘. 〈왕이〉 태묘(大廟)에서 친히 체제(禘祭)를 행하고 사면령을 내렸다.

5월 병술. 〈왕이〉 흥국사(興國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정유. 〈왕이〉 인지재(仁智齋)로 이어(移御)하였다.

무술. 〈왕이〉 관북궁(館北宮)으로 이어(移御)하였다.

병오. 〈왕이〉 환궁하여 최유칭(崔褎偁)과 이담(李聃)을 불러 수문전(修文殿)에서 연회를 열었으며, 또 상춘정(賞春亭)에서 연회를 베풀고는 새벽까지 즐기며 술을 마셨다.

경술. 〈왕이〉 나가서 천수사(天壽寺)에 거둥하였다.

6월 갑인. 초하루 일식이 있었는데 태사(太史)가 아뢰지 않았다.

김영부(金永夫)를 중서시랑 동평장사(中書侍郞 同平章事)로, 최유칭(崔褎偁)을 상서좌복야 참지정사(尙書左僕射 參知政事)로, 김영윤(金永胤)을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로 삼았다.

기미. 〈왕이〉 인지재(仁智齋)로 이어(移御)하였다.

계미. 〈왕이〉 환궁하였다.

가을 7월 임진.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견고해야 나라가 안녕한 법이다. 요즘 일을 견주어보니 공사(公私)의 토목 부역으로 백성이 생계를 도모할 수 없는데다가 하물며 지금은 환관들까지 가옥을 지으면서 화려함과 사치스러움을 다투고 있으니 유사(有司)에서 모두 금단(禁斷)하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갑오. 〈왕이〉 안화사(安和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정미. 〈왕이〉 환궁하였다.

8월 신유. 왕이 미행(微行)으로 안화사(安和寺)로 이어(移御)하였다.

경진. 〈왕이〉 경복사(景福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신사. 도둑이 태묘(太廟)의 제기(祭器)를 훔쳐갔다.

9월 정해. 〈왕이〉 현화사(玄化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을미. 〈왕이〉 지화재(志和齋)로 이어(移御)하고 격구(擊毬)를 관람하였다.

수사공(守司空) 왕재(王梓)가 사망하였다.

겨울 10월 계축. 초하루 김원례(金元禮) 등에게 급제를 하사하였다.

정사. 태백성(太白星, 금성)이 낮에 보였다.

정묘. 〈왕이〉 경복사(景福寺)로 이어(移御)하였다.

11월 경인. 〈왕이〉 관북궁(館北宮)으로 이어(移御)하였다.

갑오. 팔관회(八關會)를 열고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하였다.

흰 무지개가 해를 둘러쌌는데 남·서·북으로 각기 햇무리[珥]가 있어 마치 해가 서로 겹쳐 있는 듯하였다.

정유. 〈왕이〉 청주동궁(淸州洞宮)으로 이어(移御)하였다.

금(金)에서 대부감(大府監) 오골논수정(烏骨論守貞)을 보내어 와서 왕의 생신을 축하하였다.

경자. 〈왕이〉 수사공(守司空) 임극충(任克忠)의 집으로 이어(移御)하였다.

병오. 〈왕이〉 관북궁(館北宮)으로 이어(移御)하였다.

윤11월 무오. 〈왕이〉 임극충(任克忠)의 집으로 이어(移御)하였다.

갑자. 〈왕이〉 경복사(景福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을해. 〈왕이〉 정업원(淨業院)으로 이어(移御)하였다.

무인. 〈왕이〉 환궁하였다.

김장(金莊)을 보내어 금(金)에 가서 왕의 생신을 축하하여 준데 대하여 사례하게 하였다.

12월 정해. 〈왕이〉 관북궁(館北宮)으로 이어(移御)하였다.

경자. 〈왕이〉 나가서 경복사(景福寺)로 거둥하였다.

임인. 최유칭(崔褎偁)을 판병부사 태자태부(判兵部事 太子太傅)로, 김영윤(金永胤)을 이부상서 추밀원사(吏部尙書 樞密院使)로, 서공(徐恭)을 병부상서 동지추밀원사(兵部尙書 同知樞密院事)로, 임극충(任克忠)을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삼았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