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느리배꼽
(여뀌과)
속명 : 하백초, 사광이풀
분포지 : 전국의 집근처 빈터나 길가 구릉지
개화기 : 7 - 9 월
꽃색 : 연녹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2m 안팎
특징 : 줄기와 잎자루 등에 밑으로 굽은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덩굴식물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한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 여름에 연한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는다.
효능 : 전초는 강판귀, 근(根)은 강판귀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강판귀
①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으로 쓴다.
②성분 : 전초에 flavonoidqoekdcp, anthra배당체, carbon산, tannin 및 당류(蔗糖(자당) 7.48%, 환원당 3.4%, 전분 2.88%)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유(油) 3.3%. 수과(瘦果)에는 유(油) 12.47%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이수(利水), 소종(消腫), 청열(淸熱), 활혈(活血), 해독의 효능이 있다. 수종(水腫), 황달, 하리(下痢), 말라리아, 이질, 백일해, 임탁(淋濁), 단독(丹毒), 나력, 습진,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④용법, 용량 : 9-15g(생것은 25-5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환처(患處)에 붙이거나 분말로 고루 바른다. 또는 전액(煎液)으로 씻는다.
⑵강판귀근
①성분 : 근(根)과 경(莖)에는 indican 및 소량의 emodin과 chrysophanol이 함유되어 있고 근피(根皮)에는 33%의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구창(口瘡) 치료에는 생것 60g을 삶아 먹는다. 또는 생것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치창(痔瘡), 누관(瘻管) 치료에는 생것을 24-37g(건조근 18-24g)을 볶아서( 근피, 炒) 식힌 후 번서(番薯, 고구마) 400-500g으로 1시간 동안 약한 불로 달여서 식전에 1일 1회씩 복용한다. 또는 제육(猪肉)의 붉은 살코기 120-180g, 번서소주(番薯燒酒, 고구마소주) 300-360g을 같이 약한 불로 2시간 동안 달여서 1일 1회 식전에 복용한다.
턱잎이 배꼽 같아서 며느리배꼽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