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람관음(魚籃觀音)

 

물고기를 담은 어람(魚籃)을 들고 있거나, 큰 물고기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나찰, 독룡, 악귀의 해(害)를 없애 주는 관음으로, 어람(魚籃)의 뜻은 물고기를 담는 바구니란 의미의 어람(魚籃)입니다.

 

당나라 헌종() 원화() 12년(817)때 섬서()지방 사람들은 성질이 난폭하여 도의심이 전혀 없어 간탐 · 질투 ·살인 등 사악만을 일삼는 무법 지대였다.
그런데 어느날이 지방 금사탄()위에서 바구니에 생선()을 담아 파는 어람미인()이 나타났다.

그녀는 절륜()한 미인이었는데 고을 청년들은 서로 다투어 아내로 삼으려고 했다.
그래서 어람미인은 청혼해 온 많은 청년들에게 관음경을 나누어주며
「이 관음경을 하룻밤 사이에 다 외우는 이를 남편으로 섬겨 모시겠다.」
고 약속했다.
이튿날 아침에 이 경을 외운 청년이 수 십 명이나 되었다.
그녀는 말하되,
「내 한 몸으로 어떻게 여러 남자를 섬길 수가 있겠습니까? 이제는 하룻밤 사이에이 금강경()을 외우시오.」
하고 권했다. 이튿날 아침에 그녀의 앞에서 외워낸 청년이 10명이나 되었다.
그녀는 하는 수 없이 10명에게 이번에는 법화경()을 나누어 주며 사흘간에 이 경을 다 외우는 분을 남편으로 섬기겠다고 약속했다.
다음 약속한 날 아침에 그녀의 앞에서 법화경을 외워낸 이는 마()씨라는 청년이었으니, 즉 마랑()뿐이었다.
그래서 마씨는 만단준비를 갖추어 결혼식을 올리게 되었는데, 그녀는 식장에서 그만 쓰러지고 말았다. 슬픔을 깨물고 장의를 치른 지 백일이 지난 뒤에 한 노승()이 와서
「미녀가 바로 관세음보살의 화현일 것이라.」
고 이르자 마랑은 무덤을 파 보았는데 향내가 진동하고 관속에는 오직 황금빛 연쇄골()만 있을 뿐이었다.
이때 노승이 말하되
「이는 관세음보살이 시현()하여 중생을 교화한 성적()이다.」
라는 말을 남기고 이내 공중으로 사라졌다.
그 후 이 고을사람들은 사악한 모든 부도덕을 물리치고 평화로운 정토()를 성취하게 된 것이다.

'세상사는 이야기 > 관음보살 삼십삼응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월관음(水月觀音)  (0) 2019.09.17
덕왕관음(德王觀音)  (0) 2019.09.16
시약관음(施藥觀音)  (0) 2017.03.07
낭견관음(瀧見觀音)   (0) 2017.02.20
연와관음(蓮臥觀音)  (0) 2017.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