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약관음(施藥觀音)

 

"해와 같이 허공에 떠 있게 하고", "괴로운 고통과 죽음의 재앙에 등대이시고"라고 설하는 모습에 상당하는 보살로 몸과 마음의 병을 제거한다. 물을 바라보며 바위 위에  앉아서 왼손을 무릎에 얹고 오른손을 뺨에 대고 연꽃을 보는 형상이다.

 

 

시약관음의 시약(施藥)약을 나눠준다는 의미이다.

 

당나라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에 등주부(登州府, 지금의 산동성지역에 위치)온역(溫疫, 유행성 급성 전염병)이 퍼졌다.

관청에서는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온역에 걸린 사람들을 따로 모아 격리시키는 한편 등주부의 의원들을 불러 환자들을 치료하게 했다.

의원들은 최선을 다했지만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실패했고 온역에 걸린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갔다. 이에 등주부 전체가 위기에 처했지만 중앙정부에서도 등주부로 통하는 길들을 모두 막고 사람들의 왕래를 금하는 것 외에 달리 쓸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등주부 사람들 역시 온역에 걸려 죽기를 기다리거나 질병이 저절로 없어지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거리에 한 노인이 나타났다.

이 노인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시장을 찾아갔다.

자신을 약을 파는 사람이라고 소개 한 노인은 온역을 고치는 약을 사람들에게 나눠주었다.

하지만 환자들은 선뜻 약을 먹으려고 하지 않았다.

죽음을 기다리는 방법밖에 없던 환자들이지만 처음 보는 노인이 준 약을 그냥 먹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이야기를 들은 한 사람이 그 약을 가져와 다 죽어가던 말에게 먹여보았다.

그리고 말이 살아나는 것을 보고 자신도 그 약을 먹었다.

이 사람도 온역에 걸려 있었던 것이었다.

그가 온역에서 치료된 것을 보고 들은 등주부의 온역 환자들은 그제야 모두 노인이 준 약을 먹었다.

이렇게 한 달이 지나자 등주부의 전역에서 온역이 사라졌다.

사람들이 온역에서 구해 준 노인을 찾았지만 노인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노인에 대한 수수께끼는 지림사(智林寺)의 우담(優曇)법사에 의해 풀렸다.

노인이 아니라 본 모습으로 우담법사에게 나타난 관세음보살은 온역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그에게 전해 주었다.

그 방법은 곽향(籗香)이라는 식물을 이용한 것이었다.

우담 법사에게서 자초지종을 들은 등주부 사람들은 우담 법사에게 약초를 전해주던 관세음보살의 모습을 한 법상을 만들어 모시는 방법으로 고마움을 표시했다.

이 관세음보살상의 손에는 버들가지나 정병대신에 약초가 들려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시약관음이라고 불렀다.

'세상사는 이야기 > 관음보살 삼십삼응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왕관음(德王觀音)  (0) 2019.09.16
어람관음(魚籃觀音)  (0) 2019.09.14
낭견관음(瀧見觀音)   (0) 2017.02.20
연와관음(蓮臥觀音)  (0) 2017.02.18
백의관음(白衣觀音)  (0) 2017.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