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南解) 차차웅(次次雄)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068 신라 제2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4~24년이다. 《삼국유사》 권1, 왕력과 기이2 《삼국유사》 권1, 기이2, 제이남해왕(第二南解王)에는 왕호로 거서간(居西干)을 겸칭한 것으로 되어 있다.닫기이 즉위했다. 차차웅(次次雄)은 혹은 자충(慈充)이라 한다. 김대문(金大問)은 이렇게 말했다.069 김대문은 신라의 귀족가문 자제로서 성덕왕 3년(704)에 한산주 도독(都督)이 되었으며 전기 몇 권을 지었다. 그가 쓴 《고승전(高僧傳)》·《화랑세기(花郞世記)》·《악본(樂本)》·《한산기(漢山記)》가 《삼국사기》 편찬 때까지 남아 있었다(《삼국사기》 권46, 열전6, 김대문). 김대문과 그의 역사관에 대해서는 이기백, 「김대문과 그의 사학」,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78 참조.닫기 “라 초기 왕의 칭호로서 慈充이라고도 하였다. 차차웅과 자충은 같은 말을 달리 표기한 것으로, 이는 남해왕에게만 붙였던 칭호이다. 金大問에 의하면, 차차웅은 원래 무당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후에 존장자의 칭호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차차웅을 군장이 靈能者의 역활을 하였던 祭政一致時代 왕의 칭호로 해석하기도 하고(이병도, 「신라의 기원문제」, 《한국고대사연구》, 1976, 611쪽) 혹은 차차웅 또는 자충의 半切이 ‘중’인 점에서 차차웅은 원래 남자무당을 의미하였으나 불교수용 후에는 남자 승려의 뜻이 되었다고 한다(鮎貝房之進, 《신라왕(新羅王)位號及び追封王號について》, 《雜攷》 1, 44~59쪽).닫기방언071 중국 말에 대한 신라 고유의 말을 뜻한다.닫기으로 무당을 가리킨다. 세상 사람들은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받들기 때문에 이를 경외하여 마침내 존장자를 가리켜 자충(慈充)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는 혁거세(赫居世)의 친아들이다. 신체가 장대하고 성품은 침착하고 중후하였으며 지략이 많았다. 어머니는 알영부인(閼英夫人)이고 왕비는 운제부인(雲帝夫人)072 《삼국유사》 권1, 기이2, 제2남해왕에 따르면, ‘운제(雲梯)’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영일현(迎日縣)의 서쪽에 운제산(雲梯山) 성모(聖母)가 있어 가뭄 때 기원하면 응함이 있다고 한다.닫기이다. 또는 아루부인(阿婁夫人)이라고도 하였다. 아버지를 이어서 즉위하여 원년을 칭하였다.
19년 전염병이 크게 돌아 죽은 사람들이 많았다.
겨울 11월에 얼음이 얼지 않았다.
20년 가을에 금성(태백, 太白)108 태양계에 딸린 별의 하나로 지구에서 가장 가깝고 태양에서 두번째에 있다. 금성은 나타나는 시각과 방위에 따라 달리 불리워지는데, 초저녁에 서쪽에 보일 때를 개밥바라기 혹은 太白星이라 하고 새벽에 동쪽에 보이는 것을 샛별 혹은 啓明星이라 한다.닫기이 태미(太微)109 사자 별자리의 서쪽 끝 부근에 있는 별자리로 10개의 별로 구성되었다. 이 별자리는 천자의 궁정(宮庭)을 상징하며 천시(天市)·자미(紫微)와 함께 3원(三垣)이라 불리운다(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 3 주석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닫기로 들어갔다.
21년 가을 9월에 누리(蝗)가 출현했다. 왕이 세상을 떠나 110 ‘薨’은 제후의 죽음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말로, 천자의 죽음은 ‘崩’이라 하였다. 《신당서》 권46 百官志(1)에 의하면, 3품 이상의 죽음을 薨이라 하고 5품 이상은 卒, 6품부터 庶人의 죽음은 死라 일컫는다고 하였다.닫기사릉원(蛇陵院)111 시조 혁거세와 알영부인을 장사지낸 蛇陵의 묘역으로, 현재의 경북 경주시 탑정동 67번지에 있는 五陵의 묘역이 그것이다.닫기 안에 장사지냈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권(券第一) 신라본기(新羅本紀) 지마(祗摩) 이사금(尼師今) (0) | 2019.09.24 |
---|---|
제1권(券第一) 신라본기(新羅本紀) 파사(婆娑) 이사금(尼師今) (0) | 2019.09.23 |
제1권(券第一) 신라본기(新羅本紀) 탈해(脫解) 이사금(尼師今) (0) | 2019.09.22 |
제1권(券第一) 신라본기(新羅本紀) 유리(儒理) 이사금(尼師今) (0) | 2019.09.21 |
제1권(券第一) 신라본기(新羅本紀) 시조(始祖) 혁거세(赫居世) 거서간(居西干) (0) | 201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