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유가(賢瑜珈) 해화엄(海華嚴)
유가종(瑜伽宗)의 개조 대덕(大徳) 대현(大賢)은 남산(南山) 용장사(茸長寺)에 거하였다. 절에 미륵석조장육상(慈氏石丈六)이 있었는데 대현(大賢)이 항상 그 둘레를 돌면 불상 또한 대현(大賢)을 따라 얼굴을 돌렸다. 대현(大賢)은 지혜롭고 분명하고 정밀하고 민첩해서 판단하고 분별하는 것이 명백했다. 대개 법상종(法相宗)의 전량(銓量)은 뜻과 이치가 그윽하고 깊어서 나누어 밝히기가 매우 어렵다. 때문에 중국(中國)의 명사(名士) 백거이(白居易)도 일찍이 이것을 궁구(窮)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고 이에 말하였다. “유식(唯識)은 그윽하여 풀이하기 어렵고 인명(因明)은 나누어도 열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학자(學者)들이 이어받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대현(大賢)은 홀로 그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잠시 그윽한 뜻을 깨우쳐 여유있게 이치를 분석하였다. 동국(東國)의 후학들은 다 그 가르침을 따랐고, 중국(中華)의 학사(學士)들도 종종 이를 얻어 안목(眼目)으로 삼았다.
경덕왕(景德王) 천보(天寶) 12년 계사(癸巳, 753) 여름에 크게 가뭄이 들어 조서를 내려 대현(大賢)을 궁궐로 들어오게 하여 ≪금광경(金光経)≫을 강론하여서 단비가 내리기를 기도하게 하였다. 어느 날 재(齋)를 올리는데 바리(鉢)를 늘어놓고 잠시 있었으나 정수(淨水)를 바치는 것이 늦어지자 감리(監吏)가 그것을 꾸짖었다. 공양하는 사람이 말하였다. “궁궐의 우물(宫井)이 말라서 먼 곳에서 길어왔기 때문에 늦어졌습니다.” 대현(大賢)이 그 말을 듣고 말하였다. “어찌 일찍 말하지 않았는가?” 낮에 강론할 때에 이르러 향로를 들고 말없이 있으니, 잠깐 동안 우물의 물(井水)이 솟아 나와 그 높이가 7장(丈) 가량이 되어 찰당(刹幢)과 더불어 같게 되었는데, 궁 전체가 놀랐고 그로 인하여 그 우물을 금광정(金光井)이라 이름하였다.
대현(大賢)은 일찍이 스스로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고 일컬었다.
찬(讚)하여 말한다.
남산에서 불상을 도니 불상도 따라서 돌렸다(遶佛南山像逐旋).
청구의 불교가 다시 중천에 떠올랐다(青丘佛日再中懸).
궁궐의 우물에서 맑은 물이 솟구치게 함이(解教宮井清波湧)
향로의 한 줄기 연기에서 비롯할 줄을 누가 알겠는가(誰識金爐一炷烟).
다음해 갑오(甲午, 754) 여름에 왕이 또 대덕(大徳) 법해(法海)를 황룡사(黃龍寺)에 청해 ≪화엄경(華嚴経)≫을 강론하게 하고, 가마(駕)를 타고 행차하여 향을 피우고 조용히 일러 말하였다. “지난 여름에 대현법사(大賢法師)가 ≪금광경(金光経)≫을 강론하여 우물의 물(井水)이 7장(丈)이나 솟아나왔다. 당신의 법도(法道)는 어떠한가?” 법해(法海)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그것은 특히 조그만 일이니 어찌 칭찬하기 족하겠습니까. 바로 창해(滄海)를 기울여서 동악(東岳)을 잠기게 하고 서울(亰師)을 떠내려가게 하는 것도 또한 어려운 바가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왕은 그것을 믿지 않고 농담으로 여겼을 뿐이다. 오시(午時)에 강론을 하는데 향로를 끌어놓고 고요히 있으니, 잠깐 사이에 궁중에서 갑자기 우는 소리가 나고, 궁리(宮吏)가 달려와서 보고하였다. “동쪽 연못(東池)이 이미 넘쳐서 내전(內殿) 50여 칸이 떠내려갔습니다.” 왕이 망연자실(惘然自失)하니, 법해(法海)가 웃으며 말하기를 “동해(東海)가 기울고자 하여 수맥(水脈)이 먼저 넘친 것뿐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자기도 모르게 일어나 절을 하였다.
다음날 감은사(感恩寺)에서 아뢰기를 “어제 오시(午時)에 바닷물이 넘쳐서 불전(佛殿)의 섬돌 앞까지 이르렀다가 저녁 무렵에 물러났습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더욱 그를 믿고 공경하였다.
찬(讚)하여 말한다.
법해의 물결이여. 법계는 넓도다(法海波瀾法界寬).
사해의 영축이 어렵지 않도다(四海盈縮未爲難).
백억의 수미를 크다고 말하지 말라(莫言百億湏彌大).
모두 우리 법사의 한 손가락 끝에 있다(都在吾師一指端).
이상은 법해(法海)를 이른 것이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주(神呪) 혜통항룡(惠通降龍) (0) | 2019.08.22 |
---|---|
신주(神呪) 밀본최사(密本摧邪) (0) | 2019.08.21 |
의해(意解) 심지계조(心地繼祖) (0) | 2019.08.18 |
의해(意解) 승전촉루(勝詮髑髏) (0) | 2019.08.17 |
의해(意解) 관동풍악(關東楓岳) 발연수석기(鉢淵藪石記) (0) | 201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