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전촉루(勝詮髑髏)
석(釋) 승전(勝詮)은 그 내력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일찍이 배를 타고 중국(中國)에 가서 현수국사(賢首國師)의 강석하에 나아가 현묘한 말(玄言)을 받고 미세한 것을 연구하여 생각을 쌓고, 총명함과 식견이 뛰어나 심오한 것을 찾고 숨은 뜻을 가려내어 그 묘함이 심오함을 다하였다. 인연이 있는 곳에 가고자 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려 하였다.
처음에 현수(賢首)는 의상(義湘)과 함께 공부하여 지엄화상(智儼和尚)의 자애로운 가르침을 받았다. 현수(賢首)는 스승의 학설에 대해 뜻과 조목을 글로 나타내고 승전법사(勝詮法師)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에 부탁하여 보였고, 의상(義湘)도 이에 편지를 보냈다고 하는데, 별도의 서신은 다음과 같다. “≪탐현기(探玄記)≫ 스무 권에 두 권은 아직 완성하지 못했고 ≪교분기(敎分記)≫ 세 권, ≪현의장(玄義章)≫ 등 잡의(雜義) 한 권, ≪화엄범어(華嚴梵語)≫ 한 권, ≪기신소(起信䟽)≫ 두 권, ≪십이문소(十二門䟽)≫ 한 권, ≪법계무차별론소(法界無差別論䟽)≫ 한 권을 아울러 승전법사(勝詮法師)에게 부탁하여 베껴서 고향으로 보냅니다. 최근 신라승(新羅僧) 효충(孝忠)이 금 9푼을 전하며 이는 윗사람이 준 바라고 하였는데, 비록 편지를 얻지는 못했으나 고맙기 그지없습니다. 지금 서국(西國)의 군지(軍持)·조관(澡灌) 하나를 부쳐 미미한 성의를 표하니 받아주기를 바랍니다. 삼가 말씀드리옵니다.” 승전법사(勝詮法師)가 이미 돌아와 의상(義湘)에게 그 서신을 주자, 의상(義湘)이 법장(法藏)의 글을 눈으로 읽으니 지엄(智儼)의 가르침을 귀로 듣는 것 같았다. 수십 일간 탐색하고 연구하여 제자들에게 주어 널리 그 글을 연술하게 하였다. 이 말은 의상전(義湘傳)에 실려 있다.
살펴보면 이렇다. 이 원융(圓融)한 가르침이 청구(靑丘)에 두루 적신 것은 참으로 승전법사(勝詮法師)의 공(㓛)이다. 이 후에 승려(僧) 범수(梵修)가 있어 멀리 그 나라에 가서 새로 번역한 ≪후분화엄경(後分華嚴経)≫ 과 ≪관사의소(觀師義䟽)≫를 얻고 돌아와 연술했다고 하는데, 이때는 정원(貞元) 기묘(己卯, 799)에 해당한다. 이 또한 불법을 구하여 널리 퍼트린 사람이라 할 것이다.
승전(勝詮)은 이에 상주(尙州) 영내(領内) 개령군(開寧郡) 지경에서 정려(精廬)를 개창하고서 돌들을 관속(官屬)으로 삼아 화엄(華嚴)을 강설하기 시작했다. 신라(新羅) 사문(沙門) 가귀(可歸)가 자못 총명하고 도리를 알아 법맥을 계승함이 있었고 이에 ≪심원장(心源章)≫을 편찬하였다. 그 대략에 말하기를, “승전법사(勝詮法師)는 돌무리(石徒衆)를 이끌고 논의(論議)하고 강연(講演)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갈항사(葛項寺)이다. 그 돌멩이 80여 매는 지금 강사(綱司)가 전하는 바인데 자못 신령스럽고 신이함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의 사적(事迹)은 비문(碑文)에 갖추어 실려 있는데 ≪대각국사실록(大覺國師實綠)≫의 내용과 같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해(意解) 현유가(賢瑜珈) 해화엄(海華嚴) (0) | 2019.08.19 |
---|---|
의해(意解) 심지계조(心地繼祖) (0) | 2019.08.18 |
의해(意解) 관동풍악(關東楓岳) 발연수석기(鉢淵藪石記) (0) | 2019.08.12 |
의해(意解) 진표전간(眞表傳簡) (0) | 2019.08.11 |
의해(意解) 사복불언(蛇福不言) (0) | 2019.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