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계조(心地繼祖)


(釋) 심지(心地)는 진한(辰韓) 제41대왕 헌덕대왕(憲德大王) 김씨(金氏)의 아들이다. 태어나서 효성과 우애가 깊었고 천성이 깊고 지혜로웠다. 15세 때 머리를 깎고 스승을 따라 불도에 힘썼다.
중악(中岳) 지금의 공산(公山)에 머물렀는데 마침 속리산(俗離山) 영심공(永深公)이 진표율사(表律師)의 불골간자(佛骨簡子)를 이어 과증법회(果證法㑹)를 연다는 것을 듣고 결의하고 찾아갔으나 즉 기약을 지나 도착하여 참례(叅例)를 허락하지 않았다. 이에 땅에 주저앉아 뜰을 치며 사람들을 따라 예배하고 참회하였다. 7일이 지나서 하늘에서 큰 눈이 내렸는데 서 있는 자리 사방 10척 정도는 눈이 흩날려도 떨어지지 않았다.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 신이(神異)하게 여겨 당(堂)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였다. 심지(心地)는 자기를 낮추고 병을 핑계로 방 안으로 물러나 있으면서 당(堂)을 향해 몰래 예를 올리니, 팔꿈치와 이마에서 모두 피가 흘러 진표(表)선계산(仙溪山)에서 하던 것과 비슷하였고, 지장보살(地藏菩薩)이 날마다 와서 위문하였다.
법회가 끝나자 산으로 돌아오는데 도중에 두 간자(二簡子)가 옷 섶 사이에 붙어 있는 것을 보고 그것을 가지고 돌아가 영심(永深)에게 아뢰었다. 영심(永深)이 말하기를 “간자(簡子)는 함 안(凾中)에 있는데 어찌 이에 이를 수 있겠느냐”라 하고 그것을 확인해보니 봉해 놓은 것은 예전과 같은데 열어보니 없어졌다. 영심(永深)은 매우 이상하게 여기고 거듭 싸서 보관하였다. 또 가다가 먼저와 같아서 다시 돌아가 아뢰니 영심(永深)이 “부처(佛)의 뜻이 너에게 있으니 네가 그것을 받들어라”라고 하고 이에 간자(簡子)를 주었다.
심지(心地)가 정수리에 이고 산으로 돌아가니 산의 신(岳神)이 두 선자(仙子)를 이끌고 맞이하여 산꼭대기에 이르렀다. 심지(心地)를 이끌어 바위 위에 앉히고 바위 아래로 돌아가 엎드려 삼가 계(戒)를 받았다. 심지(心地)는 “지금 장차 땅을 택해서 성간(聖簡)을 봉안하고자 하는데 우리들이 능히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세 선인(三君)과 함께 높이 올라가 간자(簡子)를 던져서 점을 쳐보기를 청한다”라고 하였다. 이에 신들과 산꼭대기에 올라 서쪽을 향해 던지니 간자(簡子)가 곧 바람에 날려 날아갔다. 이때 신이 노래를 지어 부르기를
“막힌 바위가 멀리 물러나고 숫돌처럼 평평하구나(礙嵓逺退砥平兮).
낙엽이 날아 흩어져 밝게 되었구나(落葉飛散生明兮).
불골간자를 찾아서(覔得佛骨簡子兮)
깨끗한 곳에 맞이하여 정성을 바치리라(邀於淨䖏投誠兮)”라고 하였다.
노래를 마치고 간자(簡子)를 숲의 샘 속에서 찾아내어 곧 그 땅에 강당(構堂)을 짓고 안치하였다. 지금 동화사(桐華寺) 참당(籤堂)의 북쪽에 있는 작은 우물(小井)이 이것이다.
본조(朝) 예종(睿宗)이 일찍이 성간(聖簡)을 맞이해 와서 궐 안에서 보고 공경하다가 갑자기 9자 한 간자(簡子)를 잃어버려서 상아(牙)로 그를 대신하여 본사(寺)로 돌려보냈다. 지금 곧 점점 변해 같은 색이 되어 새 것과 옛 것을 구별하기 어렵고 그 본질은 곧 상아(牙)도 아니고 옥(玉)도 아니다.
점찰경(占察) 상권(上卷)을 살펴보면 189간자(簡子)의 이름을 기술했다. 1자는 상승(上乘)을 구해 불퇴위(不退位)를 얻는 것이고, 2자는 구하는 바의 과(果)가 증(證)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3·4자는 중승(中乘)·하승(下乘)을 구해서 불퇴위(不退位)를 얻는 것이고, 5자는 신통(神通)을 구하여 성취(成就)를 얻는 것이고, 6자는 사범(四梵)을 닦아 성취(成就)를 얻는 것이고, 7자는 세선(世禪)을 닦아 성취(成就)를 얻는 것이고, 8자는 바라는 바 묘계(妙戒)를 얻는 것이고, 9자는 일찍이 받은 바 구족계(具戒)를 얻는 것이고, 이 글로써 바로잡으면 미륵(慈氏)이 말한 바 새로 얻은 계(戒)라는 것은 금생(今生)에서 비로소 얻은 계(戒)이고, 예전에 얻은 계(戒)라는 것은 과거(過去)에 일찍이 받은 것이니 금생(今生) 또한 거듭 받은 것이므로 수생(修生) 본유(有)의 신구를 일컫는 것이 아님을 알겠다. 10자는 하승(下乘)을 구하고 아직 신(信)에 있지 않는 것이고 그 다음은 중승(中乘)을 구하고 아직 신(信)에 있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곧 172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과거(過去)·현세(現世) 중에서 혹은 선하기도 하고 혹은 악하기도 하고 얻기도 하고 잃기도 한 일들이다. 173자는 몸을 버려 이미 지옥(地獄)에 들어간 것이고 이상은 모두 미래(未來)의 과(果)이다. 174자는 죽어서 이미 축생(畜生)이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곧 아귀(餓鬼)·수라(修羅)·사람(人)·인왕(人王)·천(天)·천왕(天王)·불법을 들음(聞法)·출가(出家)·성승을 만남(值聖僧)·도솔천에 태어남(生兠率)··정토에 태어남(生淨圡)·부처를 만남(尋見佛)·하승에 거함(住下乗)·중승에 거함(住中乗)·상승에 거함(住上乗)·해탈을 얻음(得解脫)까지의 189 등이 이것이다. 위에 하승(下乗)에 거하는 것에서 상승(上乘)에서 불퇴위(不退位)를 얻음까지 말했고, 이제 상승(上乘)에서 해탈(解脫)을 얻음 등을 말한 것은 이로써 구별된다. 이것은 모두 삼세(三世)의 선악과보(善惡果報)의 차별의 모습이다. 이로써 점을 쳐보고 마음이 행한 바의 일과 서로 맞으면 곧 감응(感應)한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곧 지극한 마음이 안 되었으므로 허류(謬)라고 부른다.
즉 이 8·9 두 간자(簡子)는 단지 189개 중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송전(宋傳)≫에는 단지 108 첨자(籤子)라고 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 아마 저 백팔번뇌(百八煩惱)의 명칭을 인식하고 그것을 칭하였고, 경문(文)을 찾아보지 않은 것 같다.
또한 본조()의 문사(文士) 김관의(金寬毅)가 편찬한 ≪왕대종록(王代宗錄)≫ 2권에서 이른 것을 상고해보면, 신라(新羅) 말 신라(新羅)의 대덕(大徳) 석충(釋沖)이 태조(太祖)에게 진표율사(表律師)의 가사(袈裟) 한 벌과 계간자(戒簡子) 189개를 바쳤다고 하는데, 이것이 지금 동화사(桐華寺)에 전해 오는 간자(簡子)와 같은 것인지 다른 것이 알 수 없다.
(讚)하여 말한다.
금규에서 나서 자랐지만 일찍이 속박에서 벗어나(生長金閨早脫籠)
부지런함과 총명함은 하늘에서 주었도다(儉懃聦恵自天鍾).
뜰에 가득 쌓인 눈 속에서 신성한 간자를 뽑아(滿庭積雪偸神簡)
동화산 가장 높은 봉우리에 와서 놓았구나(来放桐華最上峯).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