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노힐부득(努肹夫得) 달달박박(怛怛朴朴)
백월산 양성성도기(白月山两聖成道記)에는 “백월산(白月山)은 신라(新羅) 구사군(仇史郡)의 북쪽에 있다. 옛 굴자군(屈自郡)으로 지금의 의안군(義安郡)이다. 봉우리는 기이하고 빼어났는데, 그 산줄기는 수백 리에 뻗쳐 있어 참으로 큰 진산(鎮山)이다”고 하였다. 옛 노인들이 서로 전해서 말한다. “옛날 당(唐)나라의 황제(皇帝)가 일찍이 못을 하나 팠는데, 달마다 보름 전에 달빛이 밝고, 가운데에 산이 하나 있는데, 사자(師子)처럼 생긴 바위가 꽃 사이로 은은히 비쳐서 그림자가 못 가운데 나타났다. 황제는 화공(畵工)에게 명하여 그 형상을 그리게 하고, 사신을 보내 천하를 돌면서 찾게 했는데, 해동(海東)에 이르러 산에 큰 사자암(師子嵓)이 있는 것을 보았다. 이 산의 서남쪽 2보쯤 되는 곳에 삼산(三山)이 있었는데, 그 이름이 화산(花山)으로서 그림과 서로 비슷하였다. 그 산의 몸체는 하나지만 봉우리가 셋이어서 삼산(三山)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진위(真僞)를 알 수 없었으므로 신발 한 짝을 사자암(獅子嵓) 꼭대기에 걸어두고 사신이 본국으로 돌아가서 황제에게 아뢰었다. 신발의 그림자가 역시 연못에 나타났다. 황제가 이것을 이상하게 여겨 이름을 백월산(白月山)이라고 지어 주었더니 보름 전에는 흰 달(白月)의 그림자가 못에 나타나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한 것이다. 그 뒤에는 연못 가운데에 그림자가 없었다.”라고 하였다.
산의 동남쪽 3천 보쯤 되는 곳에 선천촌(仙川村)이 있고, 마을에는 두 사람이 있었다. 한 사람은 노힐부득(努肹夫得)인데, 득(得)은 등(等)이라고도 한다. 아버지의 이름은 월장(月藏)이고, 어머니는 미승(味勝)이었다. 또 한 사람은 달달박박(怛怛朴朴)인데, 아버지의 이름은 수범(修梵)이고, 어머니의 이름은 범마(梵摩)였다. 향전(鄕傳)에서 치산촌(雉山村)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두 사람의 이름은 방언(方言)인데, 두 집에서 각각 다 두 사람의 마음 수행이 오르고 또 올라(騰騰) 지조를 지켰다(苦節)는 두 가지 뜻으로서 이름 지은 것이다.
부득(夫得)은 회진암(懷真庵)에 살았는데, 혹 양사(壤寺)라고 했고, 지금의 회진동(懷真洞)에 있는 옛 절터가 이것이다. 박박(朴朴)은 유리광사(瑠璃光寺)에 살았다. 지금의 이산(梨山) 위에 있는 절터가 이것이다. 모두 처자(妻子)를 데리고 와서 살면서 산업(産業)을 경영하고 서로 왕래하면서 정신을 수양하고 마음을 편안히 하면서 방외(方外)의 생각을 잠시도 버리지 않았다. 육신과 세상의 무상(無常)함을 관조하고 서로 말하기를, “기름진 밭과 풍년든 해는 참으로 좋지만, 의식(衣食)이 마음에 따라 생겨서 저절로 배부르고 따뜻함을 얻는 것만 못하고, 부녀(婦女)와 집이 진정으로 좋지만, 연지화장(蓮池花藏)에서 여러 많은 성인들과 함께 놀고, 앵무새(鸚鵡)나 공작새(孔雀)와 함께 서로 즐기는 것만 못하다. 하물며 불법을 배우며 마땅히 성불(成佛)해야 하고, 참된 것을 닦으면 반드시 참된 것을 얻어야 함에 있어서랴. 지금 우리들은 이미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으니, 마땅히 얽힌 인연들로부터 벗어나 무상(無上)의 도(道)를 이루어야지, 어찌 풍진(風塵)에 골몰하여 세속의 무리들과 다름이 없어서야 되겠는가?”라고 하였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상(塔像) 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 관음(觀音) 정취(正趣) 조신(調信) (0) | 2019.07.15 |
---|---|
탑상(塔像) 분황사(芬皇寺) 천수대비(千手大悲) 맹아득안(盲兒得眼) (0) | 2019.07.14 |
탑상(塔像) 미륵선화(弥勒仙花) 미시랑(未尸郎) 진자사(真慈師) (0) | 2019.07.12 |
탑상(塔像) 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 (0) | 2019.07.11 |
탑상(塔像) 민장사(敏藏寺) (0) | 2019.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