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
≪국사(國史)≫에 전하기를,
진흥왕(眞興王) 태청(太淸) 3년 기사(己巳, 549)에 양(梁)나라에서 심호(沈湖)를 보내어 사리(舍利) 몇 낱(粒)을 보내왔다. 선덕왕(善德王) 때인 정관(貞觀) 17년 계묘(癸卯, 643)에 자장법사(慈藏法師)가 가지고 온 부처님의 두골(佛頭骨)과 어금니(佛牙)와 불사리(佛舎利) 1백 낱(粒)과 부처님이 입던 붉은 색 깁(緋羅)에 금점이 있는 가사(金㸃袈裟) 한 벌이 있었는데, 그 사리(舍利)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한 부분은 황룡사(皇龍寺) 탑에 두고, 한 부분은 태화사(太和寺) 탑에 두고, 한 부분은 가사(袈裟)와 함께 통도사(通度寺) 계단(戒壇)에 두었으며, 그 나머지는 둔 곳이 상세하지 않다.
계단(戒壇)은 단이 두 층으로 되었는데 윗층 가운데에는 솥을 엎어놓은 것(覆鑊)과 같은 돌뚜껑(石蓋)을 안치하였다. <민간(諺)>에 전하기를, 옛날 본조(夲朝)에서 전후로 두 안렴사(廉使)가 와서 계단(戒壇)에 예배를 하고 공손히 돌 뚜껑(石鑊)을 들어보았는데, 앞에는 큰 구렁이(蟒)가 함 속에 있는 것을 보았고, 뒤에는 큰 두꺼비(蟾)가 돌 중앙에 웅크리고 있는 것을 보았다. 이로부터는 감히 그 돌 뚜껑을 열어보지 못했다.
근래 상장군(上將軍) 김이생(金利生)과 시랑(侍郞) 유석(庾碩)이 고종(高宗) 때 왕의 명을 받아 강동(江東)을 지휘할 때 장절(仗節)을 가지고 절에 와서 돌뚜껑을 들어 우러러 예를 하고자 하였는데 절의 스님(寺僧)이 예전의 일로 난처하게 여겼다. 두 사람이 군사를 시켜 이것을 들었더니 속에는 작은 석함(小石凾)이 있고 돌함 속에는 유리통(瑠璃筒)이 들어 있는데, 통 속에는 사리(舎利)가 다만 네 낱뿐이었다. 서로 돌려보며 우러러 공경하였는데 통이 조금 상하여 금이 간 곳이 있었다. 이에 유공(庾公)이 마침 수정함(水精凾) 하나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시주하여 함께 간직해두게 하고, 그 일을 자세히 기록하였으니 강화도(江都)로 도읍을 옮긴 지 4년째인 을미년(乙未, 1235)이었다.
<고기(古記)>에는 사리(舎利) 백 개를 세 곳에 나누어 간직해 두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오직 4개 뿐이다. 이미 사람에 따라 숨었다 나타나니 많고 적음을 괴이하게 여길 것이 아니다. 또 <민간(諺)>에서는 황룡사탑(皇龍寺塔)이 불타던 날에 돌 뚜껑(石鑊)의 동쪽 부분에 처음으로 큰 반점이 생겼는데 지금도 그대로 있다고 한다. 그때는 요(大遼)나라 응력(應曆) 3년 계축(癸丑, 953)이며, 본조(本朝)는 광종(光宗) 5년이니 탑이 세 번째 화재를 당하던 때였다. 조계(曹溪) 무의자(無衣子)가 남긴 시에
“듣건대 황룡사탑이 불타던 날에(聞道皇龍災塔日) 이어 탄 일면에도 틈난 데가 없었다네(連燒一面示無間).”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지원(至元) 갑자(甲子, 1264) 이래로부터 원나라(大朝) 사신과 본국 사신(本國皇華)이 다투어 와서 예배하고, 사방의 행각승들(雲水)이 몰려와서 참례하였는데 혹은 들어보기도 하고 들어보지 못하기도 하였다. 진신(真身) 사리(舎利) 4매 이외에 변신(變身)의 사리(舎利)가 모래조약돌(砂礫) 같이 부서져서 돌함 밖으로 나와 있었는데, 이상한 향기가 짙게 풍기며 오랫동안 마르지 않는 일이 종종 있었으니 이는 말세에 나타난 한 지방의 기이한 일이었다.
당(唐)나라 대중(大中) 5년 신미(辛未, 851)에 당(唐)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원홍(元弘)이 가져 온 부처님 어금니(佛牙)는 지금은 있는 곳을 알 수 없으나 신라(新羅) 문성왕(文聖王) 때이다. 후당(後唐) 동광(同光) 원년 계미(癸未, 923) 본조(本朝) 태조(太祖) 즉위 6년 사신으로 갔던 윤질(尹質)이 가져 온 5백나한상(五百羅漢像)은 지금 북숭산(北崇山) 신광사(神光寺)에 있다. 송나라(大宋) 선화(宣和) 원년 기묘(己卯, 1119) 예종(睿宗) 15년 조공을 바치려고 갔던 사신 정극영(鄭克永), 이지미(李之羙) 등이 가지고 온 부처님의 어금니(佛牙)는 지금 내전(內殿)에 모셔두고 있는 그것이다.
<자세히 전하는 말(相傳)>에는 옛날 의상법사(義湘法師)가 당(唐)나라에 들어가서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 지엄존자(智儼尊者)가 있는 곳에 이르니, 이웃에 도선율사(道宣律師)가 있어 늘 하늘의 공양(天供)을 받고 매번 재를 올릴 때마다 하늘의 주방(廚房)에서 음식을 보내왔다. 하루는 도선율사(道宣律師)가 의상법사(義湘法師)를 청하여 재를 올리는데 의상법사(義湘法師)는 이미 와서 바르게 앉아 있는데 하늘의 공양은 때가 지나도 이르지 않았다. 의상(義湘)은 빈 바리때로 돌아가니 천사(天使)는 이제야 다다랐다.
율사(律師)가 “오늘은 어째서 늦었는가”라고 물으니, 천사(天使)가 말하기를, “온 골짜기에 신병(神兵)이 가로막고 있어 들어 올 수 없었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율사(律師)는 의상법사(義湘法師)에게 신의 호위가 있음을 알고 그의 도력이 자기보다 나음에 탄복하여 그 공양물을 그대로 남겨두었다가 다음날 또 지엄(智儼)과 의상(義湘) 두 대사를 재(齋)에 청하여 그 사유를 자세히 말하였다.
의상법사(義湘法師)가 도선율사(道宣律師)에게 조용히 말하기를, “스님은 이미 천제(天帝)의 존경을 받고 계시니 일찍이 듣건대 제석궁(帝釋宮)에는 부처님의 40개 이 가운데 한 어금니(牙)가 있다고 하니, 우리들을 위하여 청해서 인간에 내려 보내어 복이 되게 하는 것이 어떻습니까?”라고 하였다. 율사(律師)가 후에 천사(天使)와 함께 그 뜻을 상제(上帝)에게 전했더니 상제(上帝)는 7일을 기한으로 보내주었다. 의상(義湘)이 예경하기를 마치고 대궐에 모셨다.
그 후 송(宋)나라의 휘종(徽宗)때 와서 좌도(左道)를 받드니 그때 나라 사람들은 도참(圖讖)을 퍼뜨려 말하기를, “금인(金人)이 나라를 멸망시킨다.”라고 하였다. 황건(黃巾)의 무리들이 일관(日官)을 움직여 아뢰기를, “금인(金人)이란 불교를 말하는 것이니 장차 국가에 이로움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의논하기를 장차 불교를 파멸시키고 모든 승려를 묻어 죽이고, 경전(經典)을 불사르고, 별도로 작은 배를 만들어 부처님 어금니(佛牙)를 실어 바다에 띄워 어디든지 인연을 따라서 흘러가게 하였다.
이때 마침 본조(本朝)의 사신이 송(宋)나라에 가 있다가 그 사실을 듣고 천화용(天花茸) 50벌(領)과 저포(紵布) 3백 필(疋)로써 배를 호송(護送)하는 관원(內史)에게 뇌물을 주어 몰래 부처님의 어금니(佛牙)를 받고 다만 빈 배만 띄워 보냈다. 사신들은 이미 부처님의 어금니(佛牙)를 얻어 가지고 와서 위에 아뢰었다. 이에 예종(睿宗)은 크게 기뻐하고 십원전(十貟殿) 왼쪽 소전(小殿)에 모시고 항상 전각문은 자물쇠로 걸고 밖에는 향을 피우고 등불을 밝혔는데, 친히 행차하는 날에는 매번 전각문을 열고 공손히 예배하였다.
임진년(壬辰歲, 1232) 서울을 옮길 때 내관(内官)이 바쁜 가운데 잊어버리고 챙기지 못하였다. 병신(丙申, 1236) 4월에 이르러 왕의 원당(願堂)인 신효사(神孝寺)의 석(釋) 온광(薀光)이 부처님의 어금니(佛牙)에 예경하기를 청하여 왕에게 아뢰니, 왕은 내신(内臣)에게 칙령으로 궁 안을 두루 살펴보게 하였으나 찾지 못하였다. 이때 백대(栢臺) 시어사(侍御史) 최충(崔冲)이 설신(薛伸)에게 명하여 급히 여러 알자(謁者)의 방에 물었더니 모두 어찌할 바를 알지 못하였다.
내신(内臣) 김승로(金承老)가 아뢰기를, “임진년(壬辰年) 어가를 옮길 당시 자문일기(紫門日記)를 찾아보소서”라고 하여 그의 말대로 하였더니, 일기(日記)에는, “입내시대부경(入內侍大府卿) 이백전(李白全)이 부처님의 어금니가 든 함(佛牙函)을 받았다.”고 하였다. 이백전(李白全)을 불러 그를 힐문하였더니, 대답하기를 “집으로 돌아가서 다시 저의 일기를 찾아보도록 해 주소?”라고 하고는 집으로 와서 찾아보고 좌번알자(左番謁者) 김서룡(金瑞龍)이 부처님의 어금니가 든 함(佛牙凾)을 받은 기록을 발견하고 가져와 바쳤다. 김서룡(金瑞龍)을 불러 물으니 대답하지 못하였다. 또 김승로(金承老)가 아뢰는 대로 임진(壬辰)에서 지금 병신(丙申)까지 5년 동안의 어불당(御佛堂)과 경영전(景靈殿)의 상수(上守) 등을 잡아 가두고 마땅히 심문하였으나, 이렇다 할 결말이 나지 않았다.
3일이 지나 밤중에 김서룡(金瑞龍)의 집 담장 안으로 물건을 던지는 소리가 있어 불을 켜서 살펴보니 부처님의 어금니가 든 함(佛牙凾)이었다. 함(凾)은 본래 속 한 겹은 침향합(沈香合)이고, 다음 겹은 순금합(純金合)이며, 다음 바깥 겹은 백은함(白銀函)이고, 그 다음 바깥 겹은 유리함(瑠璃函)이며, 또 그 다음 바깥 겹은 나전함(螺鈿函)으로서 각 폭은 서로 맞게 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다만 유리함(瑠璃函)뿐이었다.
함(函)을 찾은 것을 기뻐하여 대궐에 들어가서 아뢰었다. 유사(有司)는 논의하여 김서룡(金瑞龍)과 양전(兩殿)의 상수(上守)들을 모두 죽이려고 하니 진양부(晉陽府)에서 아뢰기를 “불사(佛事) 때문에 사람을 많이 상해함은 옳지 않습니다.”고 하여 모두 면해 주었다.
다시 명을 내려 십원전(十員殿) 뜰 안에 특별히 불아전(佛牙殿)을 만들어 그것을 봉안하고 장사(將士)에게 명하여 지키게 하고, 또 길일(吉日)을 택하여 신효사(神孝寺)의 상방(上房) 온광(蘊光)을 청하여 그의 승도(僧徒) 30명을 대궐 내로 들여 재를 올리고 정성을 드리게 했다. 그날 입직(入直)한 승선(承宣) 최홍(崔弘)과 상장군(上將軍) 최공연(崔公衍), 이영장(李令長), 내시(內侍), 다방(茶房) 등이 불아전(佛牙殿) 뜰에서 시립(侍立)하여 차례로 정대(頂戴)하여 공경하였는데 부처님 어금니가 든 함(佛牙函)의 구멍사이의 사리(舎利)는 수를 알 수 없었으나 진양부(晉陽府)에서는 백은합(白銀合)에 담아 모셨다.
이때 임금이 신하에게 일러 말하기를, “짐(朕)은 부처님 어금니(佛牙)를 잃어버린 이래로 네 가지의 의심이 생겼소. 첫째는 천궁(天宮)의 7일 기한이 차서 하늘로 올라갔는가(上天矣) 의심하였고, 둘째는 나라가 이렇게 어지러운데(國亂) 부처님 어금니(佛牙)는 이미 신물(神物)이니 또 인연이 있는 아무 일 없는(無事) 평온한 나라로 옮겨간 것이 아닌가 의심하였고, 셋째는 재물을 탐내는 소인(小人)이 함만 훔치고 부처의 어금니(佛牙)는 도랑에 버렸을까 의심하였고, 넷째는 도적(盗)이 사리를 훔쳐갔으나 스스로 밖에 들어내놓을 수 없어서 집안에 감추어 놓은 것은 아닌가 의심하였더니 이제 넷째 의심이 맞았소”라고 하고는 소리를 내어 크게 우니, 온 뜰에 있던 사람들도 모두 눈물을 흘리고 헌수(獻壽)하며, 연정(煉頂)과 소비(燒臂)하는 자가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이 실록(實錄)은 당시 내전(內殿)에서 향(香)을 사르고 기도하던 전 기림사(祇林寺)의 대선사(大禪師) 각유(覺猷)에게서 얻은 것인데, 친히 본 일이라고 말하면서 나에게 그것을 기록하게 하였다.
또 경오(庚午, 1270)의 환도(還都)할 때의 난리는 낭패(顛沛)의 심함이 임진(壬辰, 1232)보다도 심하였는데, 십원전(十員殿)의 감주(監主)였던 선사(禪師) 심감(心鑑)은 위험을 무릅쓰고 가지고 나왔으므로 적난(賊難)에게서 화를 모면하게 되었다. 대궐 내에 알려져 그 공을 크게 포상하여 이름난 절로 옮겨 주었으니 지금 빙산사(氷山寺)에 거주하고 있으니 이 역시 그(彼)에게서 친히 들은 것이다.
진흥왕(真興王) 때인 천가(天嘉) 6년 을유(乙酉, 565)에 진(陳)나라 사신 유사(劉思)가 승려 명관(明觀)과 함께 불교의 경론(経論) 1천 7백 여권을 실어왔다.
정관(貞觀) 17년에는 자장법사(慈藏法師)가 삼장(三藏) 4백여 함(凾)을 싣고 와서 통도사(通度寺)에 안치하였다.
흥덕왕(興德王) 때인 태화(太和) 원년 정미(丁未, 827)에는 유학하였던 승려(學僧)인 고구려(高麗)의 승려(釋) 구덕(丘德)이 불경(佛經) 및 상자(凾)를 가지고 왔으므로 왕은 여러 절의 승려(僧徒)들과 함께 흥륜사(興輪寺)의 앞길에서 맞이하였다.
대중(大中) 5년(851)에 당(唐)나라에 사신으로 간 원홍(元弘)이 불경(佛経) 몇 축(軸)을 가지고 왔으며, 신라 말기(羅末)에는 보요선사(普耀禪師)가 두 번이나 오월(吳越)에 가서 대장경(大藏経)을 가져오니 곧 해룡왕사(海龍王寺)의 개산조(開山祖)이다. 송(宋)나라 원우(元祐) 갑술(甲戌, 1094)에 어떤 사람이 진영(真影)을 기려 찬(讚)하여 말하였다.
위대하셔라 시조스님, 빼어나셨구나 그 모습(偉㦲初祖 巍乎真容)
두 번이나 오월에서 대장경을 가져 오셨네(再至吳越大藏成㓛)
보요란 작호 주시고 조서를 네 번이나 내리셨구나(賜衘普耀鳳詔四封)
만일 그의 덕을 말하라면 명월과 청풍이라 하겠네(若問其徳白月清風)
또 대정(大定) 연간 한남(漢南) 관기(管記) 팽조적(彭祖逖)의 시(詩)는 다음과 같다.
수운의 고요한 난야는 부처님 계신 곳(水雲蘭若住空王)
더욱이 신룡이 한 지경을 보호하네(况是神龍穏一塲)
마침내 이 명찰은 무엇이 이와 같을 수 있을까(畢竟名藍誰淂似)
처음 불교는 남방에서 왔도다(初傳像教自南方)
발문(跋文)은 다음과 같다
옛날 보요선사(普耀禪師)가 처음으로 남월(南越)에서 대장경(大藏經)을 구해 돌아올 때 해풍이 갑자기 일어 작은 배(扁舟)가 물결 사이에서 출몰하였다. 보요선사(普耀禪師)가 말하기를, “아마 신룡(神龍)이 대장경(大藏經)을 머물게 하려는 것인가”라고 하고 드디어 주문으로 정성껏 축원(呪願)하여 용(龍)까지 함께 받들고 돌아오니 이에 바람은 고요해지고 물결이 가라앉았다. 이윽고 본국에 돌아와서(還國) 산천을 두루 돌아보며 안치할 만한 곳을 구하다가 이 산에 이르러 홀연히 산 정상에 상서로운 구름(瑞雲)이 산 위에서 일어남을 보고 이에 수제자(高弟) 홍경(弘慶)과 함께 절(蓮社)을 세웠으니 불교의 동방전래(東漸)는 실로 이때 시작되었다. 한남(漢南) 관기(管記) 팽조적(彭祖逖)은 제(題)한다
이 절(寺)에는 용왕당(龍王堂)이 있는데, 자못 신령하고 이상한 일이 많았으니 당시 대장경(大藏經)을 따라와서 머물렀던 것인데 지금도 남아있다.
또 천성(天成) 3년 무자(戊子, 928)에 묵화상(黙和尙)이 당(唐)나라에 들어가 역시 대장경(大藏經)을 싣고 왔으며, 본조(本朝) 예종(睿宗) 때 혜조국사(慧照國師)가 조칙을 받들고 서쪽으로 유학가서 요(遼)나라 판본인 대장경(大藏經) 3부(部)를 사 가지고 왔는데, 한 본(本)은 지금 정혜사(定惠寺)에 있다. 해인사(海印寺)에 한 본(本)이 있고, 허참정(許參政)댁에 한 본(本)이 있다.
대안(大安) 2년(1086) 본조(本朝) 선종(宣宗) 때는 우세승통(祐世僧統) 의천(義天)이 송(宋)나라에 들어가서 천태종(天台)의 교관(敎觀)을 많이 가지고 왔으며, 이 외에도 서책에 실리지 않은 고승(髙僧) 거사(信士)가 왕래하면서 가지고 온 것은 상세히 기록할 수도 없다.
불교의 동방전래(東漸)는 양양(洋洋)했으니 경사로운 일이다.
찬(讚)하여 말한다.
중국과 동방이 연진으로 막혔는데(華月夷風尚隔烟)
녹원의 학수는 어느덧 2천 년이 되었구나(鹿園鶴樹二千年)
해외로 유전해오니 참으로 경하일세(流傳海外真堪賀)
동국과 서천축이 한 세상이 되었구나(東震西乹共一天)
이상의 기록을 의상전(義湘傳)에서 살펴보면, “영휘(永徽) 초년(650)에 당(唐)나라로 들어가 지엄법사(智儼法師)를 뵈었다”고 하나, 부석사의 본비(浮石本碑)에 의하면, 의상(義湘)은 무덕(武德) 8년(625)에 탄생하여 어린 나이에 출가하여 영휘(永徽) 원년 경술(庚戌, 650)에 원효(元曉)와 함께 당(唐)에 들어가려고 고구려(髙䴡)에까지 이르렀으나 어려움이 있어 돌아왔다.
용삭(龍朔) 원년 신유(辛酉, 661)에 당(唐)으로 들어가 지엄법사(智儼法師)에게 나아가 배웠다. 총장(總章) 원년(668) 지엄법사(智儼法師)가 세상을 떠나자 함형(咸亨) 2년(671)에 의상(義湘)은 신라(新羅)로 돌아와서 장안(長安) 2년 임인(壬寅, 702)에 세상을 떠났으니 나이 78세라고 하였다. 그러면 의상(義湘)이 지엄(智儼)과 함께 도선율사(道宣律師)가 있는 곳에서 재를 올리고 천궁(天宫)의 부처 어금니(佛牙)를 청했던 일은 신유(辛酉, 661)에서 무진(戊辰, 668)에 이르는 7, 8년 사이가 될 것이다. 본조(本朝) 고종(高宗)이 강화도(江都)로 들어간 임진년(壬辰年, 1232)에 천궁(天宫)의 7일 기한이 다 찼다고 의심한 것은 잘못이다.
도리천(忉利天)의 하루 밤낮은 인간(人間) 세계의 1백 년에 해당되는데, 또 의상법사(義湘法師)가 처음으로 당(唐)나라에 들어간 신유(辛酉, 661)로부터 고종(高宗)의 임진(壬辰, 1232)까지를 계산하면 693년이요, 경자년(庚子年, 1249)에 이르러야 비로소 7백 년이 되며, 7일 기한이 찬다. 강화도(江都)로부터 나오던 지원(至元) 7년 경오(庚午, 1270)까지는 730년이니, 만약 천제(天帝)의 말과 같이 7일 후에 천궁(天宫)으로 돌아갔다고 한다면, 선사(禪師) 심감(心鑑)이 강화도(江都)를 나올 때 가지고 와서 바친 것은 아마 부처님 진짜 어금니(真佛牙)가 아닌 듯하다. 이 해 봄 강화도(江都)를 나오기 전에 대궐에서 모든 종파의 고승을 모아서 부처님 어금니와 사리(佛牙舎利)를 얻고자 정성껏 빌었으나 한 매도 얻지 못하였으므로 7일의 기한이 다 차서 하늘로 올라갔다는 것도 그럴 듯 하다.
21년 갑신(甲申, 1284)에 국청사(國淸寺) 금탑(金塔)을 보수하고 임금은 장목왕후(莊穆王后)와 더불어 묘각사(妙覺寺)에 행차하니 대중이 모여 경찬하고는 부처님 어금니(佛牙)와 낙산(洛山)의 수정염주(水精念珠)와 여의주(如意珠)를 임금과 신하(君臣)들과 대중(大衆)이 모두 떠받들어 예배한 뒤에 함께 금탑(金塔) 속에 넣었다.
나 또한 이 모임에 참례하여 이른바 부처님의 어금니(佛牙)라는 것을 친히 보았는데, 그 길이가 3촌 가량 되었으며 사리(舎利)는 없었다. 무극(無極)이 기록한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상(塔像)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노힐부득(努肹夫得) 달달박박(怛怛朴朴) (0) | 2019.07.13 |
---|---|
탑상(塔像) 미륵선화(弥勒仙花) 미시랑(未尸郎) 진자사(真慈師) (0) | 2019.07.12 |
탑상(塔像) 민장사(敏藏寺) (0) | 2019.07.10 |
탑상(塔像) 백율사(栢栗寺) (0) | 2019.07.09 |
탑상(塔像) 삼소관음(三所觀音) 중생사(衆生寺) (0) | 201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