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 관음(觀音) 정취(正趣) 조신(調信)
옛날 의상법사(義湘法師)가 처음으로 당(唐)나라에서 돌아와 관음보살(大悲)의 진신(真身)이 이 해변의 굴(海邊崛) 안에 산다고 듣고, 이로 인하여 낙산(洛山)이라고 이름하였으니, 대개 서역(西域)의 보타낙가산(寶陁洛伽山)이 있는 까닭이다. 이것을 소백화(小白華)라고 하는 것은 백의보살(白衣大士)의 진신(真身)이 머물러 있는 곳이므로 이를 빌어 이름 지은 것이다.
재계(齋戒)한지 7일째에 좌구(座具)를 새벽 물위(晨水上)에 띄웠더니 용천(龍天)의 8부(八部) 시종侍從)이 굴속으로 인도하였다. 공중을 향하여 예배를 드리니 수정염주(水精念珠) 한 꾸러미를 내어주므로 의상(義湘)이 받아 물러났다. 동해의 용(東海龍) 역시 여의보주(如意寳珠) 한 알을 바치므로 법사(法師)가 받들고 나왔다. 다시 7일을 재계(齋戒)하고 나서 곧 진용(真容)을 보았다. 말하기를, “자리 위의 산정에 한 쌍의 대나무가 솟아날 것이니, 그 땅에 불전(佛殿)을 지음이 마땅하리라”고 하였다. 법사(法師)가 그 말을 듣고 굴 밖으로 나오니 과연 대나무가 땅에서 솟아나왔다.
이에 금당(金堂)을 짓고 관음상을 빚어(塑像) 모시니 원만한 모습과 고운 자질은 엄연히 하늘이 낸 듯 하였다. 그 대나무는 다시 없어졌다. 그제야 그 땅이 진신(真身)의 주처임을 알았다. 이로 인해 그 절 이름을 낙산(洛山)이라고 하고, 법사(法師)는 받은 두 구슬(二珠)을 성전(聖殿)에 모셔두고 떠났다.
후에 원효법사(元曉法師)가 뒤이어 와서 보고 절하기를 구하여 당초에 남쪽 교외에 이르니 논 가운데서 흰 옷을 입은 한 여인(白衣女人)이 벼를 베고 있었다. 법사(法師)가 희롱삼아 벼를 달라고 하였더니, 여인이 장난말로 벼가 흉작이라고 대답하였다. 또 길을 가서 다리 밑에 이르니, 한 여인이 월수건(月水帛)을 빨고 있었다. 법사(法師)가 마실 물을 청하니 여인은 그 더러운 물을 떠서 드렸다. 법사(法師)는 이를 엎질러 버리고 냇물을 떠서 마셨다. 때마침 들 가운데 소나무 위에서 파랑새(青鳥) 한 마리가 불러 말하기를, “제호화상(醍醐和尙)은 그만두시오?”라고 하고는 홀연히 숨어버리고 나타나지 않았다. 그 소나무 아래에 벗은 신발 한 짝이 있었다.
법사(法師)가 절에 이르니 관음(觀音)의 자리 아래에 또 이전에 본 벗은 신발 한 짝이 있었다. 그제서야 앞에서 만난 성스러운 여인(聖女)이 진신(真身)임을 알았다. 이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 소나무를 관음송(觀音松)이라고 하였다. 법사(法師)가 성굴(聖崛)에 들어가서 다시 참모습(真容)을 보고자 하였으나 풍랑(風浪)이 크게 일어 들어가지 못하고 돌아갔다.
후에 굴산조사(崛山祖師) 범일(梵日)이 태화(太和) 연간(827∼835)에 당(唐)에 들어가 명주(明州) 개국사(開國寺)에 이르렀는데, 왼쪽 귀가 떨어진 한 사미(沙彌)가 여러 중(僧)의 말석에 앉았다가 조사(祖師)에게 말하기를, “저도 역시 고향사람입니다. 집은 명주(溟州) 지경 익령현(翼嶺縣) 덕기방(德耆坊)에 있사오니, 조사(祖師)께서 훗날 본국(夲國)에 돌아가시거든 꼭 저의 집을 지어주십시오.”라고 하였다. 그런 일이 있은 후 총석(叢席)을 두루 다니더니 염관(鹽官)에게서 법을 얻어 회창(會昌) 7년 정묘(丁卯, 847)에 고국으로 돌아와(還國) 먼저 굴산사(崛山寺)를 창건하여 불교를 전하였다. 이 일은 본전(夲傳)에 자세히 실려 있다.
대중(大中) 12년 무인(戊寅, 858) 2월 15일 밤 꿈에 전에 보았던 사미(沙彌)가 창 아래에 와서 말하기를, “옛날 명주(明州) 개국사(開國寺)에 있을 때 조사(祖師)가 약조하여 이미 허락한 바 있거늘 어찌하여 그리 지체하십니까?”라고 하였다. 조사(祖師)가 놀라서 깨어나 수십 인을 데리고 익령(翼嶺) 지경에 가서 그의 집을 찾았다. 한 여인이 낙산(洛山) 아랫마을에 살고 있어 그 이름을 물으니, 덕기(德耆)라고 하였다. 그 여인에게 한 아들이 있는데 나이가 겨우 여덟 살이었는데, 항상 남쪽 돌다리 주변에 나가 놀더니, 그 어머니에게 고하기를, “나와 함께 노는 아이 가운데 금빛 나는 아이(金色童子)가 있다.”고 하였다.
어머니가 조사(祖師)에게 이 사실을 알리니, 조사(祖師)가 놀라고 기뻐하여 그 아들과 함께 다리 밑에 가서 찾으니 물 가운데 돌부처 하나(石佛)가 있어 꺼내었다. 왼쪽 귀가 떨어진 것이 이전에 본 사미(沙彌)와 같았는데 이는 곧 정취보살(正趣菩薩)의 불상(佛像)이었다. 이에 점치는 괘쪽(簡子)을 만들어 절 지을 터를 점쳐보니, 낙산(洛山) 위가 길하므로 불전(佛殿) 세 칸을 짓고 그 보살상을 모셨다. 고본(古夲)에는 범일(梵日)의 사적이 앞에 적혀 있고, 의상(義湘)과 원효(元曉) 두 법사(法師)의 뒤에 적혀 있으나, 살펴보면 의상(義湘)과 원효(元曉) 두 법사(法師)의 일은 고종(高宗)때의 일이요, 범일(梵日)은 회창(會昌) 이후의 일이니 서로 떨어지기가 1백 70여 년이나 된다. 그러므로 지금 먼저의 것은 버리고 차례를 바로 잡아 엮었다. 혹은 범일(梵日)을 의상(義湘)의 문인(門人)이라고 하나 잘못된 것이다.
그 뒤 백 여년이 지나 들불이 이 산에까지 옮아 붙었으나 오직 두 성전(聖殿)만은 화재를 면하고 나머지는 모두 불타버렸다. 몽고의 큰 병란(西山大兵)이 있은 이후 계축(癸丑)·갑인년(甲寅年) 사이에 두 보살(二聖)의 진용(真容)과 두 보주(寳珠)를 양주성(襄州城)으로 옮겼다. 대군의 공격이 심히 급박하여 성이 바야흐로 함락할 즈음에 주지선사(住持禪師) 아행(阿行) 옛이름은 희현(希玄)이 은합(銀合)에 두 보주(寳珠)를 담아서 몸에 지니고 도망하려고 하니, 걸승(乞升)이라는 절의 종(寺奴)이 빼앗아 땅에 깊이 묻고 서원하기를, “내가 만약 병란(兵亂)에 죽음을 면하지 못한다면 두 보주(寳珠)는 끝내 세상에 나타나지 못하여 아는 사람이 없게 될 것이며, 내가 만약 죽지 않는다면 마땅히 두 보물을 받들어 나라에 바칠 것이다.”고 하였다.
갑인(甲寅, 1254) 10월 22일 성이 함락되자 아행(阿行)은 죽음을 면하지 못하였으나, 걸승(乞升)은 죽음을 면하고 적병이 물러간 뒤 파내어 명주도(溟洲道) 감창사(監倉使)에게 바쳤다. 이때 낭중(郎中) 이녹수(李祿綏)가 감창사(監倉使)였는데, 받아서 감창고(監倉庫)안에 간직하고 교대할 때마다 물려받았다.
무오(戊午, 1258) 11월에 이르러 본업(本業)의 노숙(老宿) 기림사(祇林寺) 주지(住持) 대선사(大禪師) 각유(覺猷)가 아뢰며 말하기를, “낙산사(洛山)의 두 보주는 국가의 신보(神寳)입니다. 양주성(襄州城)이 함락될 당시에 절의 노비(寺奴)인 걸승(乞升)이 성 가운데 묻어 두었다가 병사들이 물러간 뒤에 창고를 감독하는 사람(監倉使)으로 하여금 명주 군영(溟州營)의 창고 가운데 간직하여 왔습니다. 지금 명주성(溟州城)이 위태로워 지키지 못하겠으니 마땅히 어부(御府)로 옮기어 안치하여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임금이 윤허하여 야별초(夜別抄) 10명을 보내어 걸승(乞升)을 거느리고 가서 명주성(溟州城)에서 보주(寳珠)를 거두어 내부(內府)에 모셔 두었다. 이 때 심부름한 관원 열 명에게 각각 은(銀) 1근과 쌀 다섯 섬을 주었다.
옛날 신라(新羅)가 수도였을 때 세달사(世達寺) 지금의 흥교사(㒷敎寺)의 장사(莊舍)가 명주(溟州) 내리군(㮈李郡)에 있었다. 지리지(地理志)에 의하면 명주에는 내리군(溟州)은 없고 다만 내성군(㮈城郡)이 있을 뿐인데, 본래 내생군(㮈生郡)으로 지금의 영월(寧越)이다. 또 우수주(牛首州) 영내의 고을에 내령군(㮈靈郡)이 있는데, 본래는 내이군(㮈已郡)으로 지금의 강주(剛州)이다. 우수주(牛首州)는 지금의 춘주(春州)이다. 여기서 내리군(㮈李郡)이라고 하는 것이 어느 것인지 알 수 없다.
본사(夲寺)에서 승려 조신(調信)을 보내 장사(莊舍)의 관리인으로 삼았다. 조신(調信)이 장사(莊舍)에 와 있는 동안 태수(太守) 김흔(金昕) 공(公)의 딸을 좋아하여 깊이 매혹되어 있었다. 낙산사(洛山)의 관음보살(大悲) 앞에 여러 번 나아가 희망한 바를 얻도록 몰래 빌었다. 그 사이 수년 동안 김흔(金昕)의 딸은 출가하였으므로 이미 짝이 생겼다.
또 불당 앞에 가서 관음보살(大悲)이 이루어주지 않음을 원망하여 날이 저물도록 슬피 울었다. 그립고 원망스러운 마음이 있었는데 그 사이 깜빡 잠이 들어 문득 꿈에 김씨(金氏)의 딸이 의젓하게 문을 열고 들어서며 웃는 얼굴로 흰 이를 드러내 보이며 말하기를, “내가 일찍이 상인(上人)의 얼굴을 알아 마음으로 사랑하였으니 잠시도 잊지 못하였으나 부모의 명에 못이겨 억지로 다른 사람을 따랐습니다. 지금은 한 무덤에 묻힐 반려가 되고자 이렇게 왔습니다.”라고 하였다. 조신은 대단히 기뻐하며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 사십 여년을 살고 자녀 다섯을 두었다.
집은 다만 네 벽 뿐이요. 나물죽으로도 끼니를 잇지 못하였다. 마침내 실의에 찬 두 사람은 서로 잡고 끌고 하며 입에 풀칠하기 위해 사방을 떠돌아 다녔다. 이와 같이 10년을 사는 동안에 두루 초야(草野)를 유람하니 입은 옷은 갈갈이 찢어져 몸을 가릴 수 없었다. 마침 명주(溟州)의 해현령(蟹峴嶺)을 지날 때 십오 세 된 큰 아이가 홀연히 굶어 죽었다. 통곡하며 거두어 길에 묻었다. 남은 네 자녀를 거느리고 우곡현(羽曲縣) 지금의 우현(羽縣)에 이르렀다. 길가에 띠풀을 묶어 집(茅屋)삼아 살았다. 부부는 늙고 또 병들고 굶주려서 일어나지도 못하였다. 열 살 짜리 딸 아이가 밥을 빌러 돌아다녔는데 마을 개에게 물려 앞에 누워 아픔을 호소하니, 부모가 목이 메어 흐느껴 울며 눈물을 줄줄 흘렸다. 부인이 괴로워 머뭇거리며 눈물을 훔치고 나서 창졸히 말하기를, “내가 당신과 처음 만났을 때는 얼굴도 아름답고 나이도 젊고 옷가지도 많고 아름다웠습니다. 맛 좋은 한가지의 음식이라도 당신과 나누어 먹고, 얼마 안 되는 옷가지도 당신과 나누어 입으면서 함께 산지 50년, 정은 더할 수 없이 깊어졌고, 사랑은 얽히고 묶였으니 가히 두터운 연분이라고 하겠습니다. 근년에 와서 노쇠와 병고가 해가 거듭될수록 심해지고 추위와 배고픔은 날로 더욱 절박해지니 곁방살이, 한 병의 마실 것도 사람들이 용납하여 주지 않으니, 수많은 집 문 앞에서 당하는 그 수모는 산더미같이 무겁기만 합니다. 아이들은 추위에 떨고 굶주림에 지쳤어도 면하게 할 수 없으니 어느 틈에 사랑함이 있어 부부의 즐거움이 있겠습니까? 이런 때인데 부부간의 애정을 즐길 겨를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젊은 얼굴에 예쁜 웃음은 풀잎 위의 이슬 같고 지란(芝蘭)같은 백년가약은 회오리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습니다. 당신은 제가 짐이 되고 저는 당신 때문에 근심이 됩니다. 옛날의 즐거움을 곰곰이 생각해 보니, 다름 아닌 우환에 접어드는 길목이었습니다. 당신과 제가 어찌하여 이 지경이 되었는지요? 뭇새(衆鳥)가 함께 굶어죽는 것보다는 차라리 짝 잃은 난새(鸞)가 거울을 향하여 짝을 부르는 것만 같지 못할 것입니다. 어려울 때 버리고, 좋을 때 가까이 하는 일은 인정으로 차마 할 일은 아니겠습니다만, 행하고 그치고 하는 것은 사람의 뜻대로 되는 것이 아니며 헤어지고 만나는 것도 운명이 있는 것이니 청컨대 내 말을 좇아 헤어지기로 합시다.”라고 하였다.
조신(調信)이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각각 아이 둘씩을 나누어 막 가려고 할 때 아내가 말하기를, “저는 고향으로 가겠습니다. 당신은 남쪽으로 가시지요.”라고 하며 서로 잡았던 손을 막 놓고 갈라서 길을 떠나려 할 때 꿈을 깼다. 쇠잔한 등불은 가물거리고 밤은 비로써 새려고 하였다.
새벽이 되어서 보니 머리카락이 모두 하얗게 세어 있었다. 넋 잃은 사람(惘然)모양 더 이상 인간 세상에 뜻이 없었다. 세상살이의 괴로움에 이미 염증이 난 것이 마치 백 년의 쓰라림을 겪고 난 것 같았다. 탐욕하는 마음도 깨끗이 얼음 녹듯 사라져버렸다. 거룩한 모습을 부끄럽게 여겨 대하며 참회하여 마지 않았다. 해현(蟹峴)으로 가 큰 아이를 파묻었던 자리를 파보았더니 돌미륵(石弥勒)이 나왔다. 깨끗이 씻어서 이웃 절에 봉안하였다. 서울(京師)로 돌아가 장사관리의 책임을 벗고 나서 사재(私財)를 기울여 정토사(淨土寺)를 세우고, 부지런히 착한 일을 닦았다. 그 뒤 어디서 세상을 마쳤는지 알 수 없다.
논의하여 말한다. 이 전기(傳記)를 읽고 나서 책을 덮고 곰곰이 궁리해보니, 어찌 반드시 조신스님(調信師)의 꿈만 그렇겠는가? 현재도 모든 사람들이 인간세상이 즐거운 줄만 알고 기뻐 날뛰며 애쓰고 있으니, 오로지 깨닫지 못한 까닭이다.
이에 시(詞)를 지어 경계한다.
어느덧 근심 속에 늙어 파리하구나(暗從愁裏老蒼顔)
괴로운 인생이 한 마당 꿈임을 깨달았도다(方悟勞生一夢間)
홀아비는 여인을, 도둑은 창고를 꿈에 그린다(鱞夢蛾眉賊夢藏).
어떻게 하면 가을날 맑은 밤의 꿈이 올까(何似秋來清夜夢)
때때로 눈감고 청량에 이르네(時時合眼到清涼)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상(塔像) 대산 오만진신(䑓山五萬真身) (0) | 2019.07.17 |
---|---|
탑상(塔像) 어산불영(魚山佛影) (0) | 2019.07.16 |
탑상(塔像) 분황사(芬皇寺) 천수대비(千手大悲) 맹아득안(盲兒得眼) (0) | 2019.07.14 |
탑상(塔像)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노힐부득(努肹夫得) 달달박박(怛怛朴朴) (0) | 2019.07.13 |
탑상(塔像) 미륵선화(弥勒仙花) 미시랑(未尸郎) 진자사(真慈師) (0) | 2019.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