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불산(四佛山), 굴불산(掘佛山), 만불산(萬佛山)
죽령(竹嶺) 동쪽 1백리 가량 떨어진 마을에 높은 산이 있는데, 진평왕(真平王) 46년 갑신(甲申, 624)에 홀연히 사면이 한 발이나 되는 큰 돌에 사방여래(四方如來)를 조각하고 모두 붉은 비단으로 감싼 것이 하늘로부터 그 산 정상에 떨어졌다. 왕은 그 말을 듣고 가서 쳐다보고 예경한 후 드디어 그 바위 곁에 절을 창건하고 이름을 대승사(大乘寺)라 하였다. ≪연경(蓮経)≫을 외우는 이름이 전하지 않는 비구(比丘)를 청하여 절을 맡게 하여 깨끗하게 하고 돌을 공양(供石)하며 향불(香火)이 끊어지지 않게 하였다. 그 산을 역덕산(亦德山) 혹은 사불산(四佛山)이라 한다. 비구(比丘)가 죽자 장사지냈더니 무덤위에서 연(蓮)이 났었다.
또한 경덕왕(景德王)이 백율사(栢栗寺)에 행차하여 산 아래에 다다랐을 때 땅속에서 염불하는 소리가 들리므로 사람을 시켜서 파보라고 하니 큰 바위가 있는데, 사면에는 사방불(四方佛)이 조각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절을 창건하고 그 이름을 굴불(掘佛)이라 하였는데, 지금은 그릇되이 굴석(掘石)이라고 한다.
경덕왕(景德王)은 또 당(唐)나라 대종황제(代宗皇帝)가 특별히 불교(釋氏)를 숭상한다는 말을 듣고 공장에게 명하여 오색(五色) 모직물(氍毹)을 만들고 또 침단목(沈檀木)을 조각하여 맑은 구슬과 아름다운 옥으로 꾸며 높이가 한 발 남짓한 가산(假山)을 만들어 모직물(氍毹) 위에 놓았다. 산에는 험한 바위와 괴석이 있고 개울과 동굴이 구간을 지어 있는데, 한 구역마다 춤추고 노래 부르며 음악을 연주하는 모양과 여러 나라의 산천(山川) 모양을 꾸몄다. 미풍이 창으로 들면 벌과 나비가 훨훨 날고, 제비와 참새가 춤을 추니 얼핏 봐서는 진짜인지 가짜인지 분간할 수 없었다. 속에는 또 만불(萬佛)이 안치되었는데, 큰 것은 한 치 남짓하고 작은 것은 8, 9푼이었다. 그 머리는 혹 큰 것은 한 치 남짓하고 작은 것은 8, 9푼이었다. 그 머리는 큰 것은 기장(黍) 탄알만하고 혹은 콩알(菽) 반쪽만하였다. 나발(螺髮)·육계(肉髻)·백모(白毛)와 눈썹(眉)과 눈(目)이 선명하여 상호(相好)가 다 갖춰져 있었다. 다만 비슷하게는 말할 수 있어도 자세히는 다 형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만불산(萬佛山)이라고 하였다.
다시 금과 옥을 새겨 수실이 달린 번개(幡蓋)와 암라(菴羅)·담복(薝葍)·화과(花果)의 장엄한 것과 누각(樓閣), 대전(臺殿), 당사(堂榭)들이 비록 작기는 하지만 위세가 모두 살아 움직이는 것 같았다. 앞에는 돌아다니는 비구상(旋遶比丘)이 천여 구 있고 아래에는 자금종(紫金鍾) 세 구를 벌려 놓았는데, 모두 종각(鐘閣)이 있고 포뢰(蒲牢)가 있었으며 고래(鯨魚) 모양으로 종치는 방망이를 삼았다. 바람이 불어 종이 울리면 곁에 있던 돌아다니는 스님들은 모두 머리를 땅에 닿도록 절을 하였고 은은하게 범음(梵音)이 있었으니 대개 활동의 중심체(關棙)는 종(鍾)에 있었다. 비록 만불(萬佛)이라고 하나 그 실상은 이루 기록할 수가 없다.
그것이 완성되자 사신을 보내어 당(唐)나라에 헌상하니 대종(代宗)은 이것을 보고 감탄하면서 말하길 “신라(新羅)의 기교는 하늘의 조화이지 사람의 재주가 아니다.”하였다. 곧 구광선(九光扇)을 바위 산봉우리 사이에 더하여 두고는 그로 인하여 불광(佛光)이라고 하였다. 4월 8일에는 양가(兩街)의 승도(僧徒)에게 명하여 내도량(內道場)에서 만불산(万佛山)에 예배하게 하고 삼장불공(三藏不空)에게 명하여 밀부(密部)의 진전(真詮)을 천번이나 외워서 이를 경축(慶祝)하니 보는 자가 모두 그 기교에 감탄하였다.
찬(讚)하여 말한다.
하늘은 만월을 장엄하여 사방불로 마련하고(天糚滿月四方裁)
땅은 명호를 솟구쳐 하룻밤에 열었도다(地湧明毫一夜開).
교묘한 솜씨로 번거롭게 만불을 조각하시니(妙手更煩彫萬佛)
진풍을 두루 하늘, 땅 인간에 퍼지게 하라(真風要使遍三才).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상(塔像) 흥륜사(興輪寺) 벽화(壁畵) 보현(普賢) (0) | 2019.07.07 |
---|---|
탑상(塔像) 생의사(生義寺) 석미륵(石弥勒) (0) | 2019.07.06 |
탑상(塔像) 영묘사(靈妙寺) 장육(丈六) (0) | 2019.07.04 |
탑상(塔像) 황룡사 종(皇龍寺鍾) 분황사 약사(芬皇寺藥師) 봉덕사 종(奉德寺鍾) (0) | 2019.07.03 |
탑상(塔像) 황룡사(皇龍寺) 구층탑(九層塔) (0) | 201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