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皇龍寺) 구층탑(九層塔)


신라(新羅) 제27대 선덕왕(善徳王) 즉위 5년, 정관(貞觀) 10년 병신(丙申, 636)자장법사(慈藏法師)가 당나라에 유학하여 곧 오대(五䑓山)에서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불법을 주는 것을 감응하여 얻었다. 자세한 것은 본전(本傳)에 보인다. 문수(文殊)가 또 말하기를 “너희 국왕(汝國王)천축(天笁)의 찰리종(刹利種)왕으로 미리 불기(佛記)를 받았기 때문에 특별히 인연(因縁)이 있어 동이(東夷) 공공(共工)의 종족과는 같지 않다. 그러나 산천(山川)이 험하기 때문에 사람의 성질이 거칠고 사나워 사견(邪見)을 많이 믿어 때때로 천신(天神)이 재앙을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다문비구(多聞比丘)가 나라 안에 있어서 군신(君臣)이 평안하고 백성이 화평하다”라고 하였다. 말이 끝나자 사라졌다. 자장(慈藏)은 이것이 대성(大聖)이 변화한 것을 알고 슬피 울면서 물러났다.
중국(中國)의 태화지(太和池) 근처를 지나칠 때 갑자기 신인(神人)이 나와서 물었다. “어찌 이에 이르게 되었는가?” 자장(慈藏)이 답하여 말하기를 “보리(菩提)를 구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였다. 신인(神人)이 예를 갖춰 절하고 또 묻기를 “너희 나라(汝國)는 어떤 어려움에 빠져 있는가?”라고 하니 자장(慈藏)이 “우리나라는 북쪽으로 말갈(靺鞨)을 연하고 남쪽으로 왜국(倭)을 접하고 있고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 두 나라가 번갈아 변경을 침범하여 이웃나라의 침략이 종횡하니 이것이 백성의 걱정입니다”라고 하였다. 신인(神人)이 말하기를 “지금 너희 나라(汝國)는 여자가 왕이 되어 덕은 있으나 위엄은 없다. 그러므로 이웃나라가 꾀하는 것이다. 마땅히 속히 본국으로 돌아가라”라고 하였다. 자장(慈藏)이 “본국으로 돌아가면 장차 무엇이 이익이 되겠는가”라고 물으니 신인(神人)이 “황룡사(皇龍寺) 호법룡(護法龍)은 나의 장자로 범왕(梵王)의 명을 받아 그 절에 가서 호위하고 있으니 본국으로 귀국하여 절 안에 9층탑(九層塔)을 조성하면 이웃나라가 항복하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租貢)하여 왕업(王業)이 영원히 평안할 것이다. 탑을 건립한 후에 팔관회(八關會)를 베풀고 죄인을 사면하면 곧 외적(外賊)이 해를 가할 수 없을 것이다. 또 나를 위하여 경기(京畿) 남쪽 해안에 정려(精廬) 하나를 세워 함께 나의 복을 빌어주면 나 역시 덕을 갚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말이 끝나자 드디어 옥(玉)을 받들어 바치고 홀연히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사중기(寺中記)에는 종남산(終南山) 원향선사(圓香禪師)의 거처에서 건탑(建塔)의 이유를 받았다고 한다.

정관(貞觀) 17년 계묘(癸卯, 643) 16일에 당(唐) 황제가 하사한 불경(佛經)·불상(佛像)·가사(袈裟)·폐백(幣帛)을 가지고 귀국하여 탑을 건립하는 일을 왕에게 아뢰었다. 선덕왕(善徳王)이 군신(群臣)에게 의논하였는데, 신하들이 “백제(百濟)에서 공장(工匠)을 청한 연후에야 바야흐로 가능할 것입니다”라고 하여 이에 보물과 비단을 가지고서 백제(百濟)에게 청하였다. 공장(工匠) 아비지(阿非知)가 명을 받고 와서 목재와 석재를 경영하였고 이간(伊干) 용춘(龍春) 혹은 용수(龍樹)가 주관하여 소장(小匠) 200명을 이끌었다. 처음 찰주(刹柱)를 세우는 날에 공장(工匠)이 본국 백제(百濟)가 멸망(㓕亡)하는 모습을 꿈꾸었다. 공장(工匠)은 곧 의심이 나서 손을 멈추었는데 갑자기 큰 지진(大地震)이 나서 어두컴컴한 속에서 한 노승(老僧)과 한 장사(壯士)가 금전문(金殿門)에서 나와 곧 그 기둥을 세우고 노승(老僧)과 장사(壯士)는 모두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공장(工匠)은 이에 마음을 고쳐먹고 그 탑을 완성하였다.

찰주기(刹柱記)에는 “철반(鐵盤) 이상의 높이가 42척이고 이하는 183척이다”라고 했다. 자장(慈藏)오대(五䑓)에서 받은 사리(舎利) 100알을 기둥 안(柱中)과 통도사(通度寺) 계단(戒壇)과 태화사(大和寺) 탑에 나누어 안치하였는데 지룡(池龍)의 청을 따른 것이다. 태화사(大和寺)는 아곡현(阿曲縣) 남쪽에 있는데 지금의 울주(蔚州)이며 또한 자장(慈藏)이 창건한 것이다. 탑을 세운 후에 천지(天地)가 형통하고 삼한(三韓)이 하나가 되었으니 어찌 탑의 영험(霊䕃)이 아니겠는가.
후에 고려 왕(髙䴡王)이 장차 신라(新羅)를 치고자 하다가 곧 “신라(新羅)에는 삼보(三寶)가 있어서 침범할 수 없다고 하는데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라고 하였다. “황룡사(皇龍寺) 장육상(丈六像)과 구층탑(九層塔), 그리고 진평왕(平王)의 천사옥대(天賜玉帶)입니다”라고 하니 드디어 그 계획을 그쳤다. 주(周)나라에 구정(九鼎)이 있어서 (楚)나라 사람이 감히 엿보지 못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비슷한 것이다.
(讚)하여 말한다.
귀신이 부축하여 제경을 누르니(鬼拱神扶壓帝亰)
휘황한 금벽으로 대마루는 움직이는 듯하다(輝煌金碧動飛甍)
여기에 올라 어찌 구한의 항복만을 볼 것인가(登臨何啻九韓伏)
건곤이 특별히 편안한 것 비로소 알았다(始覺乾坤特地平).
또 해동(海東)의 명현(名賢) 안홍(安弘)이 편찬한 ≪동도성립기(東都成立記)≫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신라(新羅) 제27대에 여왕(女王)이 왕이 되니 도(道)는 있으나 위엄이 없어 구한(九韓)이 침략하였다. 만약 용궁(龍宫) 남쪽 황룡사(皇龍寺)에 구층탑(九層塔)을 세우면 곧 이웃나라의 침입이 진압될 수 있다. 제1층은 일본(日本), 제2층은 중화(中華), 제3층은 오월(), 제4층은 탁라(托羅), 제5층은 응유(鷹遊), 제6층은 말갈(靺鞨), 제7층은 거란(丹國, 契丹), 제8층은 여적(女狄, 女眞), 제9층은 예맥(穢貊)이다.
국사(國史)사중고기(寺中古記)를 살펴보면 진흥왕(眞興王) 계유(癸酉, 553)에 절을 세운 후 선덕왕(善德王) 대 정관(貞觀) 19년 을사(乙巳, 645)에 탑을 처음 이루어졌다. 32대 효소왕(孝昭王) 즉위 7년, 성력(聖曆) 원년 무술(戊戌, 698) 6월에 벼락이 쳤다. 사중고기(寺中古記)에는 성덕왕(聖徳王) 대라고 하는데 잘못이다. 성덕왕(聖徳王) 대에는 무술(戊戌)년이 없다. 제33대 성덕왕(聖徳王) 경신(庚申, 720)에 다시 세웠다. 48대 경문왕(景文王) 무자(戊子, 868) 6월에 두 번째로 벼락이 쳤고 같은 왕대에 세 번째로 중수(重修) 하였다. 본조(本朝) 광종(光宗) 즉위 5년 계축(癸丑, 953) 10월에 세 번째로 벼락이 쳤고 현종(顯宗) 13년 신유(辛酉, 1021)에 네 번째로 다시 세웠다. 또 정종(靖宗) 2년 을해(乙亥, 1035)에 네 번째로 벼락이 쳤고 문종(文宗) 갑진년(甲辰, 1064)에 다섯 번째로 다시 세웠다. 또 헌종(獻宗) 말년 을해(乙亥, 1095)에 다섯 번째로 벼락이 쳤고 숙종(肅宗) 병자(丙子, 1096)에 여섯 번째로 다시 세웠다. 또 고종(高宗) 25년 무술(戊戌, 1238) 겨울에 몽고(蒙古)의 병화(兵火)로 탑(塔), 장육존상(丈六尊像), 절의 전우(殿宇)가 모두 타버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