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종2(毅宗二) 의종(毅宗) 15년

〈신사〉 15년(1161) 여름 4월 계묘. 초하루 〈왕이〉 나가서 장원정(長源亭)에 거둥하였다.

을묘. 〈왕이〉 현화사(玄化寺)로 이어(移御)하였다.

무진. 〈왕이〉 귀법사(歸法寺)로 이어(移御)하였다.

5월 계유. 초하루 〈왕이〉 환궁하였다.

갑신. 우박이 쏟아졌다.

갑오. 최유청(崔惟淸)을 봉원전대학사(奉元殿大學士)로 삼았다.

을미. 〈왕이〉 나가서 현화사(玄化寺)에 거둥하였다.

정유. 비가 내렸다. 왕이 직접 「희우시(喜雨詩)」를 지어 유신(儒臣)에게 보여주었다.

6월 계묘.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계축. 다시 기우제를 올렸다.

가을 7월 임신. 초하루 〈왕이〉 환궁하였다.

경인. 사면령을 내렸다.

8월 임인. 〈왕이〉 나가서 장원정(長源亭)에 거둥하였다.

정미. 〈왕이〉 환궁하였다.

계축. 〈왕이〉 나가서 흥왕사(興王寺)에 거둥하였다.

임술. 〈왕이〉 환궁하였다.

정묘. 〈왕이〉 나가서 천화사(天和寺)에 거둥하였다.

9월 정축. 〈왕이〉 장원정(長源亭)으로 이어(移御)하였다.

정해. 〈왕이〉 천화사(天和寺)로 이어(移御)하였다.

겨울 10월 임인. 〈왕이〉 현화사(玄化寺)로 이어(移御)하였다.

병오. 감음현(感陰縣) 사람인 자화(子和)와 의장(義章) 등이, 정서(鄭敍)의 처 임씨(任氏)와 현리(縣吏) 인량(仁梁)이 왕과 대신들을 저주하였다고 무고(誣告)하였다. 왕이 합문지후(閤門祗侯) 임문분(林文賁)에게 명하여 신문[按問]하게 하니, 자화(子和)가 인량(仁梁)과 틈이 생겨 그를 모함하려 한 짓이었다. 이에 자화(子和)와 의장(義章)을 강에 던져 죽였다.

11월 갑술. 태백성(太白星, 금성)이 낮에 보였으며 하늘을 가로질렀다.

서북면에서 금(金) 황제가 시해당하였음을 말을 달려와서 보고하였다.

무인. 왕이 환궁하였다.

임오. 〈왕이〉 구정(毬庭)에 거둥하여 풍악을 관람하였다.

갑신. (구정(毬庭)에 거둥하여 풍악을 관람하였는데) 또 그와 같이 하였다.

신묘. 〈왕이〉 나가서 흥왕사(興王寺)에 거둥하였다.

12월 경자. 〈왕이〉 현화사(玄化寺)로 이어(移御)하였다.

신해. 〈왕이〉 흥왕사(興王寺)로 이어(移御)하였다.

기미. 왕이 백순궁(百順宮)으로 돌아왔다.

을축. 김영부(金永夫)를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로, 김거공(金巨公)을 이부상서(吏部尙書)로, 최유칭(崔褎偁)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최유청(崔惟淸)을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삼아 치사(致仕)하게 하고, 이공승(李公升)을 지상서이부사(知尙書吏部事)로, 조진약(曹晉若)을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로, 이덕수(李德壽)을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삼았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