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가(世家) 권제18(卷第十八) 고려사18(高麗史十八)

 

의종2(毅宗二) 의종(毅宗) 7년

 

〈계유〉 7년(1153) 봄 정월 신묘. 초하루 신년 조하(朝賀)를 생략하였다.

계묘. 원자(元子)에게 이름을 내려 왕홍(王泓)이라 하였다가 나중에 왕기(王祈)로 고쳤다.

갑진. 연등회(燃燈會)를 열고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을묘. 왕이 나가서 장원정(長源亭)에 거둥하였다.

2월 신미. 우방재(于邦宰)를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삼았다.

계미. 왕이 수창궁(壽昌宮)으로 돌아왔다.

기축. 왕이 영통사(靈通寺)에 갔다.

3월 을미. 왕이 보제사(普濟寺)에 행차하여 오백나한재(五百羅漢齋)를 설행하였다.

신해. 왕이 흥성사(興聖寺)에 행차하였다.

여름 4월 기묘. 아들 왕홍(王泓)을 왕태자(王太子)로 책봉하고 사면령을 내렸다. 내외 문무양반에게 산직(散職)을 더하고 아울러 전시(田柴)를 내렸다.

정해. 신하들에게 대관전(大觀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6월 기미. 초하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경신. 목청전(穆淸殿)에 불이 났다.

계유. 왕이 보살계(菩薩戒)를 받았다.

갑신. 왕이 안화사(安和寺)로 이어(移御)하였다.

금(金)에서 천덕(天德) 5년을 고쳐 정원(貞元) 원년으로 삼았음을 알렸다.

가을 7월 병신. 왕이 새 궁궐로 돌아왔다.

임인. 봉원전(奉元殿)에서 우란분재(盂蘭盆齋)를 열었다.

8월 병인. 왕이 선인전(宣仁殿)에 거둥하여 중죄인의 형량을 논하여 결정하였다.

갑술. 왕이 나가서 장원정(長源亭)에 거둥하였다.

곽원(郭元) 등에게 급제(及第)를 하사하였다.

겨울 10월 신유. 어사대(御史臺)에서 합문에 엎드려 시정(時政)에 대하여 논하였다.

정묘. 왕이 환궁하였다.

11월 기해. 팔관회(八關會)를 열고, 왕이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하였다.

경자. 탐라현(耽羅縣)의 도상(徒上) 인용부위(仁勇副尉) 중련(中連)과 진직(珍直) 등 12인이 와서 토산물을 바쳤다.

임인. 금(金)에서 소부감(小府監) 아륵근언충(阿勒根彦忠)을 보내어 와서 〈왕의〉 생신을 축하하였다.

이 달에 기거사인(起居舍人) 최루백(崔婁伯)을 보내어 금(金)에 가서 용흥절(龍興節)을 하례하게 하고,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윤인첨(尹鱗瞻)은 왕의 생신을 축하해 준 데 대해 사례하게 하였다. 어사잡단(御史雜端) 이양신(李陽伸)은 토산물을 바치게 하고,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박유(朴儒)는 신년을 하례하게 하였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