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종1(毅宗一) 4

 

〈경오〉 4년(1150) 봄 정월. 기묘 초하루. 조하(朝賀)를 생략하였다.

임진. 연등회(燃燈會)를 열고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경자. 밀진사(密進使) 박순충(朴純冲)이 금(金)에 갔으나, 이르지 못하고 돌아왔다.

금(金) 평장정사(平章政事) 완안량(完顔亮)이 그 군주 완안단(完顔亶)을 시해하고 스스로 황제 자리에 오른 뒤 연호를 천덕(天德)으로 고쳤다.

9월 정축. 왕이 남경(南京)에 행차하였다.

태백성(太白星, 금성)이 낮에 보이고 하늘을 가로질러 가기를 이틀간이나 하였다.

갑오. 남경(南京)으로부터 이르러 사면령을 내렸다.

을미. 죄수를 재심사하였다.

북원(北園)에 격구장을 만들었다.

겨울 10월 계묘. 초하루 명인전(明仁殿)에서 인왕경도량(仁王經道場)을 열고 천재(天災)를 없애 달라 기도하였다.

병오. 동교(東郊)에서 군대를 사열하였다.

경오. 낭사(郎舍)가 합문 앞에 엎드려[伏閤] 3일간 시사(時事)에 대해 간언하였다.

11월 병자. 조진약(曹晉若)을 보내어 금(金)에 가서 선유(宣諭)를 보내 준 데 대하여 사례하게 하였다.

병술. 팔관회(八關會)를 열고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하였다.

정해. 유록공(庾祿公)을 보내어 금(金)에 가서 신년을 하례하게 하였다.

기축. 금(金)에서 야율라송(耶律羅松)을 보내어 와서 왕의 생신을 축하하였다.

임진. 한진(韓縝)을 보내어 금(金)에 가서 토산물을 바치게 하였다.

을미. 대관전(大觀殿)에서 금(金)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었다.

임경유(林景猷)를 보내어 용흥절(龍興節)을 하례하게 하였다.

병신. 강안전(康安殿)에 거둥하여 내시지후(內侍祗候) 이하〈의 관원〉에 명하여 격구를 하게 하였다.

12월 기유. 내전(內殿)에서 왕이 친히 십일요(十一曜)에 초제(醮祭)를 지냈다.

신해. 김영관(金永寬)을 판이부사(判吏部事), 고조기(高兆基)를 판병부사(判兵部事)로 삼았다.

을묘. 죄수를 재심사하였다.

내전(內殿)에서 천조(天曹)에 친히 초제(醮祭)를 지냈다.

계해. 죄수를 재심사하였다.

무진. 김영관(金永寬)을 감수국사 지서경유수사(監修國史 知西京留守事)로, 최유청(崔惟淸)을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문공원(文公元)을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유필(庾弼)을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로, 최함(崔諴)을 병부상서(兵部尙書)로, 최자영(崔子英)을 좌산기상시 동지추밀원사(左散騎常侍 同知樞密院事)로, 이언림(李彦林)을 공부상서(工部尙書)로, 김자의(金子儀)를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로 삼았다.

임신. 대관전(大觀殿)에서 제야도량(除夜道場)을 열었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