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충신 장군 유품 국가민속문화유산36호

소 재 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진충사길 121-8(대요리 740)

조선 중기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장군은 17세의 어린 나이로 임진왜란 때 권율(權慄) 장군의 지휘 아래 전쟁에 참가했으며, 무과에 급제하고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봉해졌다. 그 후 정묘호란에서 공을 세우고 포도대장, 경상도 절도사 등을 역임했으나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천문·지리·역술·의술 등 여러 면에 걸쳐 뛰어났으며, 청렴하기로도 이름이 높았다. 장군의 유품들은 서산군 지곡면에 있는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당에 보관하고 있었으나, 1975년 도난당하고 2달 만에 다시 찾았는데, 그 때 투구가 없어져 그 사진만이 남게 되었다. 그의 유품은 모두 5점이다. 갑옷은 1630년 5월 가도에서 일어난 병란을 토벌할 때에 인조가 활과 화살, 검과 함께 하사한 것으로 그가 생전에 입었던 군복이다. 길이 116㎝이며, 면 3겹을 2㎝ 간격으로 꼬아서 누빈 위에 황색 단을 입히고 그 위에 징을 박은 것으로 어깨 부분은 철로 만들었고 가슴 부분에만 가죽의 흔적이 남아있다. 서군사명기(西軍司命旗)는 총길이 138㎝, 너비 55.5㎝로 전쟁 때 사용했던 깃발이다. 영정은 족자로 된 초상화로, 머리에는 검은색의 사모를 쓰고 관복을 입고 중국식 의자에 앉아 있는 장군의 전신(全身)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향로(香爐)는 좌우에 손잡이가 있으며, 향로 주위에 산과 구름무늬가 새겨 있다. 다리는 굽다리가 3개이며, 반구형의 뚜껑 맨 위에는 뿔달린 용의 장식이 달려 꼭지 역할을 하고 있다. 향합(香盒) 역시 둥그런 형태에 굽다리가 3개이고, 뚜껑 중앙에 꼭지가 달려 있으며 향로에 비해 형태가 훨씬 소박하고 표면에 무늬가 없다.

 

영정 국가민속문화유산36-1호

소 재 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진충사길 121-8(대요리 740)

조선 중기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장군의 초상화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서산군 지곡면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당에 보관하고 있다. 족자 형태의 초상화로, 머리에는 검은색의 사모를 쓰고 관복을 입고 중국식 의자에 앉아있는 장군의 전신(全身)을 그렸다. 가슴에 두른 흉배에는 구름과 모란이 그려 있으며, 초상화에는 ‘금남군시충무정공유상(錦南君諡忠武鄭公遺像)’이라고 써 있어, 시호가 내려진 1685년 8월 11일 이후에 그려진 것을 알 수 있다.

 

갑옷 국가민속문화유산36-2호

소 재 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진충사길 121-8(대요리 740)

조선 중기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장군의 갑옷으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서산군 지곡면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당에 보관하고 있다. 이 갑옷은 1630년 5월 1일 가도에서 일어난 병란을 토벌할 때에 인조가 활과 화살, 검과 함께 하사한 것으로 그가 생전에 입었던 군복이다. 갑옷의 안에는 가죽을 누빈 3겹의 무명천이 들어 있고, 활동하기 편하게 양쪽 겨드랑이 밑에 다른 천을 대었다. 총길이는 116㎝이고, 등솔에서 소매끝까지의 화장길이는 60㎝로, 목둘레는 둥글게 파여있다. 앞쪽에는 지름 1.2㎝의 징을 어깨선에서 밑으로 11줄을 박고 그 밑으로 간격을 두고 아랫단까지 2줄을 더 박았다. 이 갑옷은 임진왜란 당시 갑옷의 모습이 제대로 고증(考證)되었는지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며, 특히 이순신 장군의 갑옷이 바르게 고증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자료가 되고 있다.

 

서군사명기 국가민속문화유산36-3호

소 재 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진충사길 121-8(대요리 740)

조선 중기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장군의 깃발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서산군 지곡면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당에 보관하고 있다. 이 깃발에는 ‘서군사명(西軍司命)’이라 써 있으며, 총길이 138㎝, 너비 55.5㎝이다. 가장자리에는 가로 19㎝, 세로 16.5㎝의 주황색 비단이 붙어있다.

 

향로 국가민속문화유산36-4호

소 재 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진충사길 121-8(대요리 740)

조선 중기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장군의 향로(香爐)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서산군 지곡면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당에 보관하고 있다. 향로(香爐)는 향을 피우기 위해 사용하던 기구로 놋쇠로 만들었다. 좌우 손잡이가 위를 향해 솟아 있고, 향로(香爐) 주변에는 산과 구름의 무늬가 새겨 있다. 동물 모양의 굽다리 3개가 달려 있고, 반원 모양의 뚜껑은 뚫어서 문양을 장식하였으며, 맨 위에는 뿔달린 용무늬 장식을 달아 꼭지 역할을 하게 했다.

 

향합 국가민속문화유산36-5호

소 재 지; 충남 서산시 지곡면 진충사길 121-8(대요리 740)

조선 중기의 무신인 정충신(鄭忠信, 1576∼1636) 장군의 향합(香盒)으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서산군 지곡면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당에 보관하고 있다. 향합(香盒)이란 향을 넣어두던 뚜껑 있는 작은 그릇을 말한다. 둥그런 형태에 3개의 삼각 다리가 달려 있으며, 뚜껑은 중앙이 약간 솟은 모양으로 한가운데 꼭지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그러나 향로에 비해 형태가 훨씬 소박하고 무늬가 없다.

 

'우리나라 유산 > 국가민속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민속문화유산 38호  (0) 2014.11.09
국가민속문화유산 37호  (0) 2014.11.09
국가민속문화유산 35호  (0) 2014.11.08
국가민속문화유산 34호  (0) 2014.11.07
국가민속문화유산 33호  (0) 2014.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