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년, 1905년에는...
2025년은 乙巳年(을사년)으로 육십간지(六十干支)의 마흔두 번째 해다. ‘乙’은 靑이므로 ‘푸른 뱀의 해’(靑蛇年)다.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5인 해가 해당한다. 120년 전인 1905년 을사년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그해에 일어난 주요 사건과 우편사에 대해 알아본다.
+ 1905년(大韓帝國 高宗 42년, 光武 9년, 단기 4238년)
ㆍ1월 15일 동학접주 조창식 등 73명, 교수형
ㆍ1월 18일 화폐조례 공포(일본 화폐의 유통 공인)
ㆍ1월 25일 한성법학교 설립 개교(교장 현채)
ㆍ1월 경부선(서울-부산) 철도 영업 개시
ㆍ2월 11일 양정의숙 설립(설립자 엄주익) 인가
ㆍ2월 15일 임진강 철교 준공
ㆍ2월 17일 최익현, 친일파 규탄 상소
ㆍ3월 6일 멕시코 이민 1,033명 인천항 출발(5.15. 유카탄주 상륙)
ㆍ3월 21일 도량형법 반포(법률 제1호)
ㆍ3월 25일 고종, 일본 견제 밀서를 상하이 러이사 소장 데시노에 전달
ㆍ3월 31일 영등포소학교 설립
ㆍ4월 1일 한일통신업무합동조약 강제 체결
우체사와 전보사를 우편국으로 개편
ㆍ4월 3일 보성전문학교 개교
ㆍ4월 28일 경의선(용산-신의주) 철도 개통
ㆍ4월 통신기관을 일본에 이양
ㆍ5월 12일 주영서리공사 이한응, 국권침탈에 런던에서 자결
ㆍ5월 26일 마산-삼랑진 철도 개통
ㆍ5월 28일 경부선 철도 개통식(서대문)
ㆍ7월 1일 일본, 한성우체사·전보총사를 인수, 경성우편국 설치
ㆍ7월 화폐조례에 의한 은화 및 백동화 발행
ㆍ8월 7일 한일은행 설립(은행장 조병택)
ㆍ9월 5일 러일강화조약(포츠머스조약) 체결(일본, 한국보호권 획득)
ㆍ9월 5일 보성전문학교(고려대 전신) 설립(설립자 이용익)
ㆍ9월 7일 최초 무선 전신 개시(인천 월미도-광제환)
ㆍ10월 3일 한영학원 설립(설립자 윤치호)
ㆍ10월 10일 대한적십자병원 개원
ㆍ10월 16일 친일단체 일진회, 한일보호조약 촉구 성명 발표
ㆍ11월 17일 을사늑약 체결
ㆍ11월 18일 장지연,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ㆍ11월 22일 미국인 헐버트, 고종의 밀지를 받고 미국무장관에게 일제 만행 진정
ㆍ11월 30일 민영환(고종 시종무관장), 을사보호조약 개탄 자결
ㆍ11월 30일 주한영국공사관 철수(다음해 2월까지 각국 공사관 철수)
ㆍ12월 1일 손병희,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
ㆍ12월 4일 일제침략자, 고려 공민왕릉 도굴
ㆍ12월 12일 베이징 청일조약 체결
ㆍ12월 21일 이토 히로부미, 초대 총감에 임명
ㆍ12월 29일 통감부 통신관리국 설치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어 외교권이 일본에 의해 박탈당하여 일본의 보호국이 된다. 한국통감부가 설치되고 伊藤博文(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통감으로 부임한다.
4월 한일통신업무합동조약이 강제로 조인되어 7월 일본에 우편업무가 강제 접수 당한다. 이로 인해 1909년 8월 31일까지 일본우표와 병용하였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근대사연표 한국우취용어해설집, 2018, 은종호, (사)한국우취연합 한국우편엽서회 출처. 인터넷우체국
'우표이야기 > 시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정치 철학과 미학이 담긴 경회루 (2) | 2025.02.12 |
---|---|
을사년, 1965년에는... (3) | 2025.01.23 |
한국인과 소나무 (1) | 2024.12.27 |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3) | 2024.12.27 |
고즈넉한 천년 고찰, 마곡사 (1)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