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산불영(魚山佛影)


<고기(古記)>에 말하기를
만어사(萬魚寺)는 옛 자성산(慈成山)이요, 또 아야사산(阿耶斯山)인데 마땅히 마야사(摩耶斯)로 써야 한다. 이는 물고기(魚)를 말한다. 그 곁에 가라국(訶囉國)이 있었다. 옛날에 하늘에서 알이 바닷가에 내려와 사람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으니 곧 수로왕(首露王)이다. 이때 경내에 옥지(玉池)가 있어  못 안에 독룡(毒龍)이 살고 있었다. 만어산(魚山)에 다섯 나찰녀(羅刹女)가 있어 왕래하고 서로 사귀었다. 때문에 때로 번개와 비를 내려 4년 동안 오곡(五穀)이 익지 않았다. 왕은 주술(呪)로 금하려고 했으나 능히 할 수 없게 되자 머리를 조아리며 부처(佛)께 청하여 설법(說法)을 한 후에야 나찰녀(羅刹女)가 오계(五戒)를 받고 그 뒤에는 재해가 없어졌다. 이로 인하여 동해(東海)의 어룡(魚龍)이 마침내 골짜기에 가득한 돌로 화하여 각기 종과 경쇠의 소리를 내었다.”라고 하였다. 이상은 고기(古記)이다.
또 생각건대 대정(大定) 20년 경자(庚子, 1180), 곧 명종(明宗) 10년에 처음으로 만어사(萬魚寺)를 창건하였다. 동량(棟梁) 보림(寶林)이 장계를 올린 글에, “산중의 기이한 자취가 북천축(北天竺) 가라국(呵羅國)의 부처 그림자(佛影) 사적과 꼭 부합하는 것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산의 곁 가까운 곳인 양주(梁州) 지경 옥지(玉池)에도 독룡(毒龍)이 숨어 산다는 것이요. 둘째는 때때로 강가(江邊)로부터 구름이 일어나 산정(山頂)에까지 이르는데 그 구름 가운데서 음악소리(音樂之聲)가 나는 것이요. 셋째로 그림자(影)의 서북쪽에 반석(盤石)이 있는데 항상 물이 고여 끊이지 않았는데, 말하기를 이곳은 부처(佛)가 가사(袈裟)를 빨던 곳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입니다.”고 하였다.
이상은 모두 보림(寶林)의 설이지만 지금 친히 와서 우러러 예배(瞻禮)하여 보니 더욱 분명히 공경하여 믿을 만한 것이 두 가지가 있다. 골짜기 안의 돌이 거의 3분의 2가 모두 금과 옥(金玉)의 소리를 내는 것이 그 하나요, 멀리서 보면 곧 나타나고 가까이서 보면 보이지 않으니 혹은 보이기도 하고 안보이기도 하는 것 등이 그 하나이다. 북천축(北天竺)의 글은 뒤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가함(可函)의 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 제7권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부처(佛)야건가라국(耶訶羅國) 고선산(古仙山) 담복화(薝葍花) 숲의 독룡(毒龍)이 사는 못 곁, 푸른 연꽃(青蓮花)이 핀 샘 북쪽 나찰혈(羅刹穴) 가운데 있는 아나사산(阿那斯山) 남쪽에 이르렀다. 이때 그 구멍에 다섯 나찰이 있어 여룡(女龍)으로 화하여 독룡(毒龍)과 교합하더니 용(龍)이 다시 우박을 내리고, 나찰(羅刹)은 난폭한 행동을 하므로 기근(飢饉)과 질역(疾疫)이 4년 동안 계속되었다. 왕은 놀라고 두려워서 신기(神祇)에게 빌며 제사하였으나 아무런 유익이 없었다. 이때 총명하고 지혜 많은 범지(梵志)가 왕에게 아뢰기를, “가비라국(迦毗羅) 정반왕(淨飯王)의 왕자가 지금 도를 이루어 이름을 석가문(釋迦文)이라고 합니다.”고 하였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마음에 크게 기뻐하여 부처(佛)가 있는 쪽을 향해 절하고 말하기를, “오늘날 불일(佛日)이 이미 일어났다고 하는데, 어찌하여 이 나라에는 이르지 아니하십니까?”고 하였다.
이때 여래(如來)는 6신통(六神通)을 터득한 비구(比丘)들에게 명하여 자기의 뒤를 따르게 하고, 야건가라(訶羅王) 불파부제(弗婆浮提)의 청을 들어주었다. 이때 세존(世尊)은 이마에서 광명(光明) 내비춰 1만이나 되는 여러 대화불(大化佛)이 되어 그 나라로 갔다. 이때 용왕(龍王)과 나찰녀(羅刹女)는 5체(五體)를 땅에 던져, 부처(佛)께 계받기를 청하였다. 부처(佛)는 곧 위하여 3귀(三歸) 5계(五戒)를 설하니, 용왕(龍王)이 다 듣고 나서 꿇어 앉아 합장(合掌)하고, 세존(世尊)에게 여기에 상주(常住)하기를 권청하면서 “부처님(佛)께서 만약 계시지 않으면 제가 악심이 생겨 아뇩보리(阿耨菩提)를 성취할 도리가 없습니다”고 하였다.
이때 범천왕(梵天王)이 다시 와서 부처(佛)께 절하고 청하기를, “바가바(婆伽婆)께서는 미래세의 여러 중생(衆生) 위하시므로 다만 편벽되게 이 작은 용(龍) 한 마리만을 위하지는 마소서”라고 하니, 백천(百千) 범왕(梵王)이 모두 이같이 청하였다. 이때 용왕(龍王)이 칠보대(七寶臺)를 내어 여래(如来佛)께 바치니, 부처(佛)가 용왕(龍王)에게 말하기를, “이 자리는 필요 없으니 너는 지금 다만 나찰(羅刹)의 석굴(石窟)만을 가져다 내게 시주하라”고 하니, 용왕(龍王)이 기뻐하였다.고 한다. 이때 여래(如来)가 용왕(龍王)을 위로하기를, “내가 네 청을 받아들여 네 굴 안에 앉아 1천 5백 세를 지내리라”고 하고 부처(佛)는 몸을 솟구쳐 돌 안으로 들어갔다. 마치 명경(明鏡)과 같아서 사람의 얼굴형상이 보이고, 여러 용(龍)들이 모두 나타나며, 부처(佛)는 돌 안에 있으면서 그 모습이 밖에까지 비쳐 나타났다.
이때 여러 용(龍)들은 합장(合掌)하고 기뻐하면서 그곳을 떠나지 않고 항상 불일(佛日)을 보게 되었다. 이때 세존(世尊)은 가부좌(結伽趺坐)를 하고 석벽(石壁)안에 있었는데, 중생(衆生)이 볼 때 멀리서 바라보면 나타나고 가까이서 보면 나타나지 않았다. 여러 천중(諸天)이 부처 그림자(佛影)에 공양(供養)하면 그림자가 또한 설법(說法)하였다.
또 이르기를, “부처(佛)가 바윗돌(嵓石) 위를 차면 곧 금과 옥(金玉)의 소리가 났다.”고 하였다.
고승전(高僧傳)≫에 이르기를, “혜원(惠遠)천축(天)에 부처 그림자(佛影)가 있다고 들었는데, 옛적에 용(龍)을 위하여 남겨둔 그림자로서 월지국(月支國) 나갈가성(那竭呵城)의 남쪽 옛 선인(古仙人)의 석실(石室) 안에 있다 고 한다.”고 하였다.
법현(法現)의 ≪서역전(西域傳)≫에 이르기를, “나갈국(那竭國) 지경에 이르면 나갈성(那竭城) 남쪽 반 유순(由旬)되는 곳에 석실(石室)이 있으니, 박산(博山)의 서남쪽이며 부처가 그림자를 남겨 두었다. 이 안에서 10여 보를 가서 이것을 보면 부처(佛)의 참모습(真形)처럼 광명이 찬란하나 멀어질수록 점점 희미해진다. 여러 나라 왕들이 화공을 보내 모사하게 했으나 비슷하게도 그릴 수 없었다. 나라 사람들이 전하기를, 현겁(賢劫)의 천불(千佛)이 모두 이곳에 그림자를 남겨 두게 된다고 하고, 그림자의 서쪽 백 보쯤 되는 곳은 부처가 세상에 있을 때 머리를 깎고 손톱을 잘랐던 자리가 있다. 고 한다.”고 하였다.
성함(星函) ≪서역기(西域記)≫ 제2권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옛날 여래(如來)가 세상에 있을 때 이 용(龍)은 소치는 사람으로 왕에게 유락(乳酪)을 공급하였는데, 진상하면서 잘못하여 견책을 받았다. 마음에 노여움과 원한을 품고 금전으로 꽃을 사서[부처께]공양하고, 솔도파(窣堵婆)에 수기(授記)하기를, “악룡(惡龍)이 되어 나라를 파괴하고 임금을 해치게 해 주소서”라고 하고, 곧 석벽(石壁)으로 달려가 몸을 던져 죽었다. 드디어 이 굴에 살면서 대용왕(大龍王)이 되어 마침 악한 마음을 일으켰다. 여래(如来)가 이를 알고 신통력(神通力)을 발하여 이르니, 이 용(龍)이 부처를 보자 독한 마음을 버리고 불살계(不殺戒)를 받고 청하기를, “여래(如来)께서 항상 이 굴에 계셔서 항상 저의 공양을 받으소서”라고 하였다. 부처가 말하기를, “나는 적멸(寂滅)할 것이므로 너를 위하여 내 그림자를 남겨 두리라. 네가 만약 독한 분심이 일거든 늘 내 그림자를 보고 독한 마음을 응당 버리도록 하여라.”라고 하고는 정신을 가다듬고 홀로 석실(石室)로 들어갔는데, 멀리서 바라보면 곧 나타나고 가까이 가면 나타나지 않았다. 또 돌 위를 발로 차면 칠보(七寶)가 되었다고 한다..
이상은 모두 경문(經文)으로서 대략 이와 같다. 해동(海東) 사람이 이 산을 아나사(阿那斯)라고 이름하였는데, 마땅히 마나사(摩那斯)라고 해야 한다. 이것을 번역하면 물고기(魚)이니, 대개 저 북천축(北天笁)의 사적을 취하여 그렇게 부른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