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皇龍寺) 장육(丈六)


신라 제24대 진흥왕(興王) 즉위 14년 계유(癸酉, 553) 2월 장차 궁궐을 용궁(龍宮)의 남쪽에 지으려 하는데 황룡(黃龍)이 그 땅에 나타나서 이에 고쳐서 절을 짓고 황룡사(黃龍寺)라고 하였다. 기축년(己丑, 569)에 이르러 담을 두르고 17년 만에 바야흐로 완성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바다 남쪽에 큰 배가 하곡현(河曲縣) 사포(絲浦) 지금 울주 곡포(谷浦)에 정박하였다. 조사하여 보니 첩문(牒)이 있었는데 “서축(西竺)아육왕(阿育王)이 황철(黃鐵) 5만 7천근(五萬七千斤)과 황금(黃金) 3만푼(三萬分)을 모아 장차 을 모아 장차 석가삼존상(釋迦三尊像)을 주조하려고 하였으나 아직 이루지 못해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웠고 축원하여 ‘원컨대 인연이 있는 나라(國圡)에 이르러 장육존용(丈六尊容)을 이루어라’라고 하고, 아울러 일불이보살상(一佛二菩薩像)의 모형도 실었다.” 별전(別傳)에는 철(䥫) 40만 7천근(四十万七千斤), 금(金) 천냥(一千兩)이라고 하는데 잘못된 것인 듯하다. 혹은 3만 7천근(三万七千斤)이라고 한다.
현(縣)의 관리가 장계를 갖추어 왕에게 아뢰니 사자를 시켜 그 현(縣)의 성 동쪽 시원하고 높은 곳을 골라 동축사(東竺寺)를 창건하고 그 삼존(三尊)불을 맞아서 안치하였다. 그 금과 철(金䥫)은 서울로 옮겨와서 대건(大建) 6년 갑오(甲午, 574) 3월에 장육존상(丈六尊像)을 주성(鑄成)하여 한 번에 이루었다. 사중기(寺中記)에는 계사(癸巳, 573) 10월 17일이라고 한다. 무게는 3만 5천 7근(三萬五千七斤)으로 황금(黃金) 1만 1백 9십 8푼(一萬一百九十八分)이 들어갔고, 두 보살(菩薩)에는 철(䥫) 1만 2천 근(一萬二千)과 황금(黃金) 1만 1백 3십 6푼(一萬一百三十六分)이 들어갔다. 황룡사(皇龍寺)에 안치하였다.
다음해(575)에 장육존상(丈六尊像)이 눈물을 흘렸는데 발꿈치까지 이르러 땅 1척을 적셨다. 대왕이 승하할 조짐이었다. 혹은 존상이 진평왕(真平王) 대에 이루어졌다고 하기도 하는데 잘못이다.
별본(別本)에는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아육왕(阿育王)서축(西笁)대향화국(大香華國)에서 부처가 돌아가신 뒤 100년 사이에 태어났다. 진신(真身)을 공양하지 못한 것을 한스러워 하여 금과 철(金䥫) 약간 근을 모아 세 번 주성(鑄成)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그때 왕의 태자(太子)가 홀로 그 일에 참여하지 않자 왕이 사자를 보내 그를 꾸짖었다. 태자(太子)가 주청하기를 “혼자 힘으로는 이루지 못합니다. 일찍이 이루지 못할 것을 알았습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그렇게 여겨 이에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웠다. 남염부제(南閻浮堤) 16 대국(大國), 500 중국(中國), 1만 소국(小國), 8만 취락(聚落)을 두루 돌지 않은 곳이 없었지만 모두 주조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국(新羅國)에 이르자 진흥왕(真興王)이 그것을 문잉림(文仍林)에서 주조하여 불상을 완성하니 상호(相好)가 다 갖추어졌다. 아육(阿育)은 이에 무우(無憂)라고 번역되었다.
후에 대덕(大德) 자장(慈藏)이 당(唐)으로 유학하여 오대산(五山)에 이르러 문수보살(文殊菩薩)의 현신(現身)이 감응하여 비결(秘訣)을 주고 인하여 부탁하여 말하기를 “너희 나라(汝國)의 황룡사(皇龍寺)는 곧 석가(釋迦)와 가섭불(迦葉佛)이 강연하던 땅으로 연좌석(宴坐石)이 아직 있다. 그러므로 천축(天笁)무우왕(無憂王)이 황금(黄䥫) 약간 근(若干斤)을 모아 바다에 띄워 1300여 년(一千三百餘年)을 지난 연후에 곧 너희 나라에 도착하여 이루어져 그 절에 안치되었다. 대개 위덕의 인연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라고 하였다. 별기(別記)에 수록된 것과는 같지 않다.
불상이 조성된 후에 동축사(東笁寺)의 삼존(三尊) 또한 옮겨와 절 안에 안치하였다.
사기(記)에는 “진평(真平)왕 5년 갑진(甲辰, 584)에 금당(金堂)이 조성되었고, 선덕왕(善徳王) 대 절의 첫 주지(住持)는 진골(真骨)환희사(歡喜師)였고, 제2주지는 자장국통(慈藏國統)이고 그 다음은 국통혜훈(國統惠訓), 그 다음은 상률사(廂律師)이다”라고 하였다.
지금 병화(兵火)가 이미 있어서 큰 불상(大像)과 두 보살상(菩薩像)은 모두 녹아서 사라졌고 작은 석가(小釋迦)상은 아직 남아 있다.
찬(讚)하여 말한다.
속세의 어느 곳이 진향이 아니겠느냐만(塵方何處匪真郷)
향화의 인연은 우리나라가 으뜸이다(香火因縁最我邦)
이는 아육왕(阿育王)이 착수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不是育王難下手)
월성 옛터를 찾아온 것이다(月城來訪舊行藏).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