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大城) 효이세부모(孝二世父母) 신문왕대(神文王代)
모량리(牟梁里) 혹은 부운촌(浮雲村)의 가난한 여자 경조(慶祖)에게 아이가 있었다. 머리가 크고 정수리가 평편하여 성(城)과 같아, 이로 인하여 이름을 대성(大城)이라 하였다. 집이 가난하여 키우는 것이 불가능하여, 이로 인하여 부자(貨殖)인 복안(福安)의 집에서 품팔이를 하였다. 그 집에서 밭 몇 묘(畝)를 나누어 주어, 입고 먹는 비용으로 하였다. 그 때 고승(開士) 점개(漸開)가 6륜회(六輪會)를 흥륜사(興輪寺)에서 베풀려고 하여, 복안(福安)의 집에 와서 감화시키고자(勸化)하였다. 복안이 베 50 필(疋)을 시주하니, 점개(漸開)가 축원하여 말하길, “시주(檀越)께서 보시(布施)를 좋아하니, 천신(天神)이 항상 보호하고 지킬 것이며, 하나를 보시(布施)하여 만 배를 얻을 것이고, 안락(安樂)하며 수명(壽命)이 장수할 것입니다.” 하였다. 대성(大城)이 그것을 듣고 뛰어 들어가, 그 어머니에게 일러 말하길, “제가 문에서 스님(僧)의 외우고 노래하는 것을 들으니, 하나를 보시(布施)하면 만 배를 얻는다 합니다. 생각건대 저는 지난 세상에서 닦은 착한 행실이 없어 지금 이로 인하여 모자란 것인데, 지금 또 보시(布施)하지 않으면 내세(來世)에 어려움을 얻을 것입니다. 제 품팔이 밭을 법회(法㑹)에 보시(布施)하여, 뒷날의 응보를 도모함이 어떻습니까?” 하였다. 어머니는 말하길, “좋다.” 하여, 이에 밭을 점개(漸開)에게 보시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대성(大城)이 세상을 떠났는데(物故), 이날 밤 재상(國宰) 김문량(金文亮)의 집에 하늘에서의 소리침(天唱)이 있어 이르길, “모량리(牟梁里) 대성(大城)이란 아이가 있어 지금 너의 집에 의탁한다.” 하였다. 그 집의 사람들이 놀라서 사람을 시켜 모량리(牟梁里)를 조사해보니, 대성(大城)이 과연 죽었는데, 그 날이 소리친 것과 같은 때였다. 임신하여 아이가 태어났는데, 왼 손을 쥐고 펴지 않았다가 7일째에 펼쳤는데, 금으로 만든 쪽지(金簡子)가 있어 ‘대성(大城)’이라는 두 자가 새겨져 있어, 또 이것으로 이름하고, 그 어머니를 맞이하여 집에서 함께 봉양하였다.
이미 장성하여 사냥을 좋아하였다. 하루는 토함산(吐含山)에 올라서, 곰 한 마리를 잡고, 산 밑의 마을에서 잤다. 꿈에 곰이 귀신으로 변하여, 꾸짖으며 말하길, “너는 어찌 나를 살해하였는가? 내가 도리어 너를 먹겠다.” 하였다. 대성(大城)은 두렵고 부끄러워 용서하기를 청하였다. 귀신이 말하길, “나를 위해 절을 창건할 수 있겠느냐?” 하였다. 대성(大城)이 맹세하여 말하길, “그렇게 하겠다.” 하였다. 이윽고 깨니 땀이 이불을 적셨다. 그 뒤로는 들판을 금하고, 곰을 위하여 그 잡았던 땅에 장수사(長壽寺)를 창건하였다.
이로 인하여 감동된 바가 있어, 자비의 대원(悲願)이 더 두터워졌다. 이에 현생(現生)의 양친(二親)을 위해 불국사(佛國寺)를 창건하고, 전세(前世)의 부모(爺孃)를 위해 석불사(石佛寺)를 창건하고, 신림(神琳)·표훈(表訓)의 두 성스러운 스님(二聖師)을 청하여 각각 머물게 하고, 거대한 불상을 설치하고, 또 양육한 노고를 갚았으니, 한 몸으로 두 세상의 부모에게 효도한 것은 옛날에도 또한 듣기 드물었다. 착하게 베푼 효과로 가히 믿지 않을 수 있겠는가! 장차 석불(石佛)을 조각하려고 큰 돌 하나를 감실의 뚜껑(龕蓋)으로 만들려고 하는데, 돌이 갑자기 셋으로 깨졌다. 분노하여 아무렇게나 잠들었다. 밤 중에 천신(天神)이 내려와서, 다 만들고는 돌아갔다. 대성(大城)은 잠자다가 일어나서 남쪽 고개로 쫓아가, 향나무를 불에 태워 천신(天神)에게 바쳤다. 까닭에 그 땅의 이름을 향령(香嶺)이라 하였다. 그 불국사(佛國寺)의 사다리(雲梯)와 석탑(石塔)은 돌과 나무에 새긴 업적이 동도(東都, 경주)의 여러 사찰 중 더한 것이 없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선(孝善) 손순매아(孫順埋兒) 흥덕왕대(興德王代) (0) | 2019.09.17 |
---|---|
효선(孝善) 향득사지(向得舍知) 할고공친(割股供親) 경덕왕대(景德王代) (0) | 2019.09.16 |
효선(孝善) 진정사(真定師) 효선쌍미(孝善雙羙) (0) | 2019.09.14 |
피은(避隱) 염불사(念佛師) (0) | 2019.09.13 |
피은(避隱) 포천산(布川山) 오비구(五比丘) 경덕왕대(景德王代) (0) | 201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