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선(孝善) 제9(第九)
진정사(真定師) 효선쌍미(孝善雙羙)
법사(法師) 진정(真定)은 신라인(新羅人)이다. 속인(白衣)이었을 때는 군대(卒伍)에 적을 두었는데, 집이 가난하여 장가(娶)들지 못하였다. 부역(部役)을 하고 남는 시간에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 홀어머니(孀母)를 봉양하였다. 집 안에 재산을 계산해보니, 오직 다리가 부러진 철 솥(鐺) 하나뿐이었다.
하루는 어떤 스님(僧)이 문 앞에 이르러 절을 지을 철물(䥫物)을 구하자, 어머니는 철 솥(鐺)으로 시주하였다. 이윽고 진정(真定)이 일을 하고 밖에서 돌아오자, 어머니는 그 일을 알리며, 아들의 뜻이 어떠한지 염려하였다. 진정(真定)은 기뻐하는 모습을 보이며 말하길, “불사(佛事)에 시주하였으니, 어찌 행운이지 않겠습니까! 비록 철 솥(鐺)이 없지만, 또 어찌 근심이겠습니까? 이에 질그릇 동이(瓦盆)로 솥(釡)을 삼아서, 음식을 익혀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일찍이 군대(行伍)에 있을 때, 사람들로부터 의상법사(義湘法師)가 태백산(太伯山)에서 불법을 설하고 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것을 듣고는, 곧 사모하는 뜻이 있었다. 어머니께 알려 말하길, “효를 마친 후에는 마땅히 의상법사(義湘法師)에게 의탁하여 머리를 깍고 도를 배우겠습니다.” 하였다. 어머니는 말하길, “불법(佛法)은 만나기 어려운데, 인생(人生)은 크게 빠르니, 효를 마치면 또한 늦지 않겠느냐! 어찌 네가 내가 죽기 전에 도를 들었다는 것을 듣는 것만 하겠느냐. 근심하여 미적거리지 말고, 속히 행하여라.” 하였다. 진정(真定)이 말하길, “어머니의 만년에 오직 저만이 옆에 있을 뿐인데, 버리고 출가(出家)하는 것이 어찌 감히 참을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어머니께서 말하길, “아! 내가 출가(出家)에 방해가 된다니, 나를 쉬이 지옥(泥黎)으로 떨어뜨리는구나. 오직 살아서 진수성찬(三牢七鼎)으로 봉양하는 것만이, 어찌 효라 할 수 있겠느냐! 나는 남의 문에서 옷과 음식(衣食)을 하더라도, 또한 타고난 수명을 지킬 수 있으니, 반드시 나에게 효를 하고자 하거든 그런 말은 하지 말라.” 하니, 진정(真定)은 오랫동안 깊게 생각하였다.
어머니가 즉시 일어나, 곡식주머니를 모두 털어내니, 쌀 7되가 있었다. 곧 그날로 밥을 짓고, 또 말하길, “네가 음식을 익혀 먹으면서 생각하면 늦게 되는 것이 걱정된다. 마땅히 내 눈 앞에서 그 하나는 먹고, 여섯은 싸서, 빨리빨리 가거라!” 하였다. 진정(真定)이 눈물을 삼키면서 거절하며 말하길, “어머니를 버리고 출가(出家)하면, 그 또한 사람이 참기 어려운 바입니다! 하물며 며칠 동안의 먹을거리를 다 싸서 가면, 하늘과 땅이 저를 무엇이라 하겠습니까?” 하며, 세 번 사양하고, 세 번 권하였다. 진정(真定)은 그 뜻을 거듭 어기다가, 밤이 되어 먼 길을 떠났다. 삼일만에 태백산(太伯山)에 도착하여 의상(義湘)에게 의탁하여, 머리를 깎고 제자(弟子)가 되어, 이름을 진정(真定)이라 하였다.
거처한지 3년 만에, 어머니의 부음(訃音)이 이르렀고, 진정(真定)은 가부좌(跏趺)를 하고 선정(禪定)에 들어가 7일 만에 일어났다. 설명하는 사람이 말하길, “추모와 슬픔이 지극하여, 거의 견디지 못할 지경이라, 까닭에 선정의 물(定水)로 그것을 씻은 것이다.” 하였고, 어떤 이는 말하길, “선정(禪定)에서 어머니의 환생한 곳을 보려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어떤 이는 말하길, “이것은 실제의 도리(實理)와 같이 명복(冥福)을 올린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윽고 선정(禪定)에서 나온 후에, 이 일을 의상(義湘)에게 알렸다. 의상(義湘)은 문도(門徒)를 거느리고 소백산(小伯山)의 추동(錐洞)으로 돌아와, 풀을 엮어 집으로 삼고, 무리 3천을 모아서 약 90일 간 화엄대전(華厳大典)을 강의하였다. 문하의 지통(智通)이 강연을 따라 그 중요한 것을 모아 두 권을 만들었고, 이름을 ≪추동기(錐洞記)≫라 하여 세상에 유통(流通)되었다. 강연을 마치자, 그 어머니가 꿈에 나타나 말하길, “나는 이미 하늘에 환생(生天)하였다.”라고 하였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선(孝善) 향득사지(向得舍知) 할고공친(割股供親) 경덕왕대(景德王代) (0) | 2019.09.16 |
---|---|
효선(孝善) 대성(大城) 효이세부모(孝二世父母) 신문왕대(神文王代) (0) | 2019.09.15 |
피은(避隱) 염불사(念佛師) (0) | 2019.09.13 |
피은(避隱) 포천산(布川山) 오비구(五比丘) 경덕왕대(景德王代) (0) | 2019.09.12 |
피은(避隱) 영여사(迎如師) (0) | 2019.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