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왕(武王)
고본(古本)에는 무강(武康)이라고 했으나 잘못이다. 백제(百濟)에는 무강(武康)이 없다.
제30대 무왕(武王)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어머니가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 가(京師南池邊)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못의 용(龍)과 관계하여 낳고 어릴 때 이름을 서동(薯童)이라고 하였다. 재기와 도량이 커서 헤아리기 어려웠다. 항상 마를 캐어 팔아서 생업(生業)을 삼았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그 때문에 서동(薯童)이라고 이름하였다.
신라(新羅) 진평왕(真平王)의 셋째공주 선화(善花) 또는 선화(善化)가 아름답기 짝이 없다는 말을 듣고 머리를 깎고 서울로 갔다. 마(薯)를 동네 아이들에게 먹이니 아이들이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었다. 이에 노래를 지어 여러 아이들을 꾀어서 부르게 하니 그것은 이러하다.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사귀어 두고(善化公主主隠 他密只嫁良置古)
서동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薯童房乙夜矣卵乙抱遣去如).
동요(童謠)가 서울에 가득 퍼져서 대궐 안에까지 들리자 백관(百官)들이 임금에게 극력 간하여 공주(公主)를 먼 곳으로 귀양보내게 했다. 장차 떠나려 하는 데 왕후(王后)는 순금(純金) 한 말(一斗)을 주어 노자로 쓰게 했다. 공주(公主)가 장차 귀양지에 도착하려는데 서동(薯童)이 도중에 나와 절하면서 장차 모시고 가겠다고 했다. 공주(公主)는 비록 그가 어디서 왔는지는 알지 못했지만 우연히 믿고 좋아했다. 이로 말미암아 서동(薯童)을 따라가면서 몰래 정을 통하였다. 그런 뒤에야 서동(薯童)의 이름을 알았고, 동요(童謠)의 영험을 믿었다.
함께 백제(百濟)에 이르러 모후(母后)가 준 금(金)을 내어 장차 살아 나갈 계획을 의논하니 서동(薯童)이 크게 웃고 말했다. “이것이 도대체 무엇이오?” 공주(公主)가 말하기를, “이것은 황금(黄金)이니 백년의 부(百年之富)를 누릴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서동(薯童)이 말하기를, “나는 어릴 때부터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을 흙처럼 많이 쌓아 두었소”라고 하였다. 공주(公主)는 이 말을 듣고 크게 놀라면서 말했다. “이것은 천하의 지극한 보물입니다. 그대가 지금 그 금(金)이 있는 곳을 아시면 부모님이 계신 궁전(宫殿)으로 보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서동(薯童)은 “좋다.”고 말하였다. 이에 금(金)을 모아 언덕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의 지명법사(知命法師)에게 가서 금(金)을 실어 보낼 방법을 물으니 법사(法師)가 말하기를 “내가 신통(神通)한 힘으로 보낼 터이니 금(金)을 이리로 가져 오시오”라고 하였다. 공주(公主)는 편지를 써서 금(金)과 함께 사자사(師子寺) 앞에 가져다 놓았다. 법사(法師)는 신통(神通)한 힘으로 하룻밤 사이에 신라(新羅) 궁중(宫中)으로 보내어 두었다. 진평왕(真平王)은 그 신비스러운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서동(薯童)을 존경해서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薯童)은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서 왕위에 올랐다.
어느 날 무왕(武王)이 부인(夫人)과 함께 사자사(師子寺)에 가려고 용화산(龍華山) 밑의 큰 못가에 이르니 미륵삼존(彌勒三尊)이 못 가운데서 나타나므로 수레를 멈추고 절을 올렸다. 부인(夫人)이 왕에게 말하기를 “모름지기 이곳에 큰 절을 지어 주십시오. 그것이 제 소원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은 그것을 허락했다. 지명(知命)에게 가서 못을 메울 일을 물으니 신비스러운 힘으로 하룻밤 사이에 산을 무너뜨려 못을 메우고 평지를 만들었다. 이에 미륵(彌勒) 삼회(三會)를 법상(法像)으로 하여 전(殿)과 탑(塔)과 낭무(廊廡)를 각각 세 곳에 세우고, 절 이름을 미륵사(彌勒寺)라고 하였다. ≪국사(國史)≫에서는 왕흥사(王興寺)라고 했다. 진평왕(真平王)이 여러 공인(工人)들을 보내서 이를 도왔는데 그 절은 지금도 남아 있다. ≪삼국사(三國史)≫에는 이를 법왕 (法王)의 아들이라고 했는데, 여기에서는 과부의 아들이라고 했으니 자세히 알 수 없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이(紀異) 가락국기(駕洛國記) (0) | 2019.06.09 |
---|---|
기이(紀異)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0) | 2019.06.05 |
기이(紀異) 남부여(南扶餘) 전백제(前百濟) 북부여(北扶餘) (0) | 2019.06.03 |
기이(紀異) 김부대왕(金傅大王) (0) | 2019.06.02 |
기이(紀異) 경애왕(景哀王) (0) | 2019.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