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복불언(蛇福不言)


서울(亰師) 만선북리(萬善北里)에 과부(寡女)가 있었는데, 남자와 관계하지 않고 아이를 잉태하여 낳았다. 나이가 열 두 살이 되어도 말을 하지도 못하고 일어나지도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사동(蛇童)이라고 불렀다. 아래에서 사복(虵卜) 또는 사파(虵巴) 또는 사복(虵伏)이라고 하였으니, 모두 동(童)을 말한다.
하루는 그 어머니가 돌아가니, 이때 원효(元曉)는 고선사(高仙寺)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원효(元曉)가 그를 보고 예를 갖춰 맞이하였다. 사복(福)은 답배하지 않고 말하기를, “그대와 내가 옛날에 경(經)을 실었던 암소(牸牛)가 지금 죽었으니 함께 장사지냄이 어떻겠소?”라고 하였다. 원효(元曉)가 말하기를. “좋다”고 하였다. 드디어 함께 집에 도착하였다. 원효(元曉)에게 포살(布薩)시켜 주게 하였다. 시체 앞에 이르러 고축하기를, “나지 말지니(莫生兮), 그 죽음이 괴롭다(其死也苦). 죽지 말지니(莫死兮), 그 남이 괴롭도다(其生也苦)”고 하였다. 사복福)이 말하기를, “말이 번거롭다(詞煩)”고 하였다. 이를 고쳐서 말하기를, “죽고 나는 것이 괴롭다(死生苦兮)”고 하였다.
두 분이 메고 활리산(活里山) 동쪽 기슭으로 갔다. 원효(元曉)가 말하기를, “지혜의 호랑이(智恵虎)를 지혜의 숲속(智恵林)에 장사지냄이 또한 마땅하지 않으리오?”라고 하였다. 사복(福)이 이에 게(偈)를 지어 말하기를,
“그 옛날 석가모니불은 사라수 사이에서 열반에 드셨다(徃昔釋迦牟尼佛裟羅樹間入涅槃).
지금 역시 그와 같은 이 있어 연화장세계에 들어가고자 한다(于今亦有如彼者欲入蓮花藏界寬)”고 하였다.
말을 마치고 띠풀을 뽑았다. 아래에 있는 세계는 황랑(晃朗)하고 청허(淸虛)하며 칠보(七寳)로 장식한 난간(欄楯)과 누각(樓閣)이 장엄(莊嚴)하여 인간세상이 아니었다. 사복(福)이 시체를 업고 함께 들어가니 그 땅이 갑자기 합쳐졌다. 원효(元曉)는 이에 돌아왔다.
후세 사람들이 그를 위해서 금강산(金剛山) 동남쪽에 절을 짓고 이름을 도량사(道場寺)라고 하여 해마다 3월 14일이면 점찰법회(占察會)를 여는 것을 항례(恒例)로 삼았다. 사복(福)이 세상에 나타난 것은 다만 이것뿐인데, 세간에서는 많은 황당한 얘기를 덧붙여 핑계했으니 웃을 만한 일이다.
(讚)하여 말한다.
깊이 잠든 용이라고 어찌 등한하리(淵默龍眠豈䓁閑)
떠나면서 읊은 한 곡조 간단도 하구료(臨行一曲没多般)
고통스러운 생사도 원래 고통 아니니(苦兮生死元非苦)
연화장에 부휴하니 세계는 넓도다(華藏浮休世界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