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불기(元曉不羈)
성사(聖師) 원효(元曉)의 속성은 설(薛)씨이다. 할아버지는 잉피공(仍皮公)으로 또는 적대공(赤大公)이라고도 한다. 지금 적대연(赤大淵) 옆에 잉피공(仍皮公)의 사당이 있다. 아버지는 담내(談㮈) 내말(乃末)이다.
처음에 압량군(押梁郡)의 남쪽 지금의 장산군(章山郡) 불지촌(佛地村) 북쪽의 율곡(栗谷) 사라수(裟羅樹) 아래에서 태어났다. 마을 이름은 불지(佛地)로 또는 발지촌(發智村)이라고도 한다. 속어로 불등을촌(佛等乙村)이라고 한다
사라수(裟羅樹)에 관해서는 민간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성사(聖師)의 집은 본래 이 골짜기의 서남쪽에 있었는데, 어머니가 아이를 가져 만삭이 되어 마침 이 골짜기 밤나무 밑을 지나다가 갑자기 해산하고 창황(倉皇)하여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우선 남편의 옷을 나무에 걸고 그 안에 누워 있었으므로 나무를 사라수(裟羅樹)라고 하였다. 그 나무의 열매도 보통 나무와는 달랐으므로 지금도 사라밤(裟羅栗)이라고 한다.
예부터 전하기를, 주지가 절의 종 한 사람에게 하루 저녁의 끼니로 밤 두 개씩을 주었다. 종은 관가에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를 이상하게 생각한 관리가 밤을 가져다가 조사해보았더니 한 개가 바루 하나에 가득 찼다. 이에 도리어 한 개씩만 주라는 결정을 내렸다. 이 때문에 이름을 율곡(栗谷)이라고 하였다.
성사(聖師)는 출가하고 나서 그의 집을 희사(喜捨)하여 절을 삼아 이름을 초개(初開)라고 하고, 밤나무 옆에도 절을 지어 사라(裟羅)라고 하였다. 성사(聖師)의 행장(行狀)에는 서울 사람이라고 했으나 할아버지를 따른 것이고, ≪당승전(唐僧傳)≫에서는 본래 하상주(下湘州) 사람이라고 하였다.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덕(麟德) 2년(665) 중에 문무왕(文武王)이 상주(上州)와 하주(下州)의 땅을 나누어 삽량주(歃良州)를 두었는데, 즉 하주(下州)는 지금의 창녕군(昌寧郡)이고, 압량군(押梁郡)은 본래 하주(下州)의 속현이다. 상주(上州)는 곧 지금의 상주(尙州)로 혹은 상주(湘州)라고도 한다. 불지촌(佛地村)은 지금의 자인현(慈仁縣)에 속해 있으니, 곧 압량군(押梁郡)에서 나뉜 곳이다.
성사(聖師)가 나서 아명(小名)은 서당(誓幢)이고, 제명(第名)은 신당(新幢)이다. 당(幢)은 속어로 털(毛)이다. 처음에 어머니가 유성(流星)이 품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태기가 있었는데, 해산하려고 할 때는 오색구름이 땅을 덮었다. 진평왕(真平王) 39년 대업(大業) 13년 정축년(丁丑歲, 617)이었다.
태어날 때부터 총명이 남달라 스승을 따라서 배우지 않았다. 그가 사방으로 다니며 수행한 시말(始末)과 널리 교화를 펼쳤던 크나큰 업적은 ≪당전(唐傳)≫과 행장(行狀)에 자세히 실려 있다. 여기서는 자세히 기록 할 수 없고, 다만 향전(鄕傳)에 실린 한두 가지의 특이한 사적만을 쓴다.
성사(聖師)는 일찍이 어느 날 상례에서 벗어나 거리에서 노래를 부르기를,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허락하려는가?(誰許没柯斧)
나는 하늘을 받칠 기둥을 다듬고자 한다(我斫支天柱).”고 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뜻을 알지 못했는데, 이때 태종(太宗)이 그것을 듣고서 말하기를,
“이 스님께서 아마도 귀부인(貴婦)을 얻어 훌륭한 아들을 낳고 싶어 하는구나(此師殆欲得貴婦産賢子之謂爾).
나라에 큰 현인(賢人)이 있으면 그보다 더한 이로움이 없을 것이다(國有大賢利莫大焉)”고 하였다.
그때 요석궁(瑤石宮)에 홀로 사는 공주(公主)가 있었다. 지금의 학원(學院)이 이곳이다. 궁중의 관리(宮吏)를 시켜 원효(賢人)를 찾아서 맞아들이게 하였다. 궁중의 관리(宮吏)가 칙명을 받들어 그를 찾으려고 하는데, 벌써 남산(南山)에서 내려와 문천교(蚊川橋)를 지나고 있어 만나게 되었다. 사천(沙川)이나, 세간에서는 연천(年川) 또는 문천(蚊川)이라고 하고, 또 다리 이름을 유교(楡橋)라고 한다. 일부러 물에 떨어져 옷을 적셨다. 관리는 스님을 궁으로 인도하여 옷을 벗어 말리게 하니, 이 때문에 묵게 되었다(留宿). 공주(公主)가 과연 태기가 있어 설총(薛聰)을 낳았다.
설총(薛聰)은 나면서부터 명민하여 경서와 역사서에 두루 통달하니 신라(新羅) 10현(十賢) 중의 한 분이다. 우리말로써 중국과 외이(華夷)의 각 지방 풍속과 물건 이름에 통달하고 6경(六経) 문학을 훈해하였으니, 지금까지 우리나라(海東)에서 경학을 공부하는 이들이 전수하여 끊이지 않는다.
원효(元曉)가 이미 실계(失戒)하여 설총(薛聰)을 낳은 이후로는 속인의 옷(俗服)으로 바꾸어 입고 스스로 소성거사(小姓居士)라고 하였다. 우연히 광대들이 놀리는 큰 박(大瓠)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괴이하였다. 그 모양대로 도구를 만들어 ≪화엄경(華嚴經)≫의 「일체(一切) 무애인(無㝵人)은 한 길로 생사를 벗어난다」는 이름을 무애(無㝵)라고 하고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일찍이 이것을 가지고 천촌만락(千村萬落)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고 음영하여 돌아오니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무리들까지도 모두 부처의 호를 알게 되었고, 모두 나무(南舞)를 칭하게 되었으니 원효(元曉)의 법화가 컸던 것이다.
그가 태어난 마을 이름을 불지(佛地)라고 하고, 절 이름을 초개(初開)라고 하며, 스스로 원효(元曉)라고 부른 것은 대개 부처를 처음으로 빛나게 하였다(初輝佛日)는 뜻이다. 원효(元曉)도 방언이니 당시 사람들은 모두 향언(鄕言)으로 그를 첫새벽(始旦)이라고 불렀다.
일찍이 분황사(芬皇寺)에 살면서 화엄소(華嚴疏)를 짓다가 제4 십회향품(十廻向品)에 이르자 마침내 붓을 놓았다. 또 일찍이 소송을 인해서 몸을 백 그루의 소나무(百松)로 나누었으므로 모두 위계(位階)를 초지(初地)라고 하였다.
또 해룡(海龍)의 권유에 따라 길에서 조서를 받아 삼매경소(三昧経䟽)를 지으면서 붓과 벼루(筆硯)를 소의 두 뿔 위에 놓아두었으므로 이를 각승(角乘)이라고 했는데, 또한 본각(夲覺)과 시각(始覺) 두 각의 숨은 뜻을 나타낸 것이다. 대안법사(大安法師)가 배열하여 종이를 붙인 것임을 알고 화창한 것이다.
입적하자 설총(薛聰)이 유해(遺骸)를 부수어 진용(眞容)을 빚어 분황사(芬皇寺)에 봉안하고, 공경·사모하여 지극한 슬픔의 뜻을 표하였다. 설총(薛聰)이 그때 옆에서 예배를 하니 소상이 갑자기 돌아보았는데, 지금도 여전히 돌아본 채로 있다. 원효(元曉)가 일찍이 살던 혈사(穴寺) 옆에 설총(薛聰)의 집터가 있다고 한다.
찬(讚)하여 말한다.
각승은 비로소 삼매경을 열고(角乗初開三昧軸)
표주박 가지고 춤추며 온갖 거리 교화했네(舞壷終掛萬街風)
달 밝은 요석궁에 봄잠 깊더니(月明瑶石春眠去)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해(意解) 사복불언(蛇福不言) (0) | 2019.08.10 |
---|---|
의해(意解) 의상전교(義湘傳敎) (0) | 2019.08.09 |
의해(意解) 자장정률(慈藏㝎律) (0) | 2019.08.07 |
의해(意解) 이혜동진(二惠同塵) (0) | 2019.08.06 |
의해(意解) 귀축제사(歸竺諸師)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