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전교(義湘傳敎)


법사(法師) 의상(義湘)은 아버지가 한신(韓信)으로 김씨(金氏)인데, 나이 29세에 서울(亰師)의 황복사(皇福寺)에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얼마 있지 않아 서방으로 가서 불교의 교화(敎化)를 보고자 하였다. 드디어 원효(元曉)와 함께 요동(遼東)으로 갔다가 변방의 순라군에게 첩자(諜者)로 오인받아 수십 일 동안 갇혔다가 간신히 면하여 돌아왔다. 이 사실은 최후(崔候, 최치원)가 지은 본전(傳)과 원효(元曉)의 행장(行狀) 등에 실려 있다. 영휘(永徽) 초에 마침 (唐)나라 사신의 배가 서방으로 돌아가려고 하자 편승하여 중국(中國)으로 들어갔다. 처음 양주(楊洲)에 머물렀더니, 주장(州將) 유지인(劉至仁)이 청하여 관아 안에 머무르게 했는데 공양(供飬)이 지극하였다. 얼마 있지 않아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로 찾아가서 지엄(智儼)을 배알하였다. 지엄(智儼)의 전 날 밤 꿈에 큰 나무 하나가 해동(海東)에서 나서 가지와 잎이 널리 퍼져 중국(神州)에까지 와서 덮고, 위에는 봉황의 둥지(鳯巢)가 있는데, 올라가서 보니 마니보주(摩尼寶珠)가 하나 있어 광명(光明)이 멀리까지 비쳤다. 깨고는 놀랍고 이상히 여겨 청소를 하고 기다렸더니 의상(義湘)이 바로 왔다. 특별한 예의로 맞아 조용히 말하기를, “나의 어제 꿈은 그대가 나에게 올 징조였다”고 하고 제자가 됨(入室)을 허락하니,  ≪잡화경(雜花經)≫의 미묘한 뜻을 구석구석 분석하였다. 지엄(智儼)이 학문을 상의할 영특한 자질(郢質)을 만나 새 이치를 능히 발견해내어 가히 깊은 것을 파고 숨은 것을 찾아내니, 쪽과 꼭두서니(藍茜)가 본색(夲色)을 잃은 것과 같았다.

이미 본국(國)의 승상(承相) 김흠순(金欽純) 혹은 인문(仁問)이라고도 하는데 그와 양도(良圖) 등이 (唐)나라에 가서 구금되었고, 고(高宗)이 군사를 크게 일으켜 신라(新羅)를 치려고 하였다. 흠순(欽純) 등이 비밀리에 의상(義湘)에게 일러 앞질러 가게 하였다. 함형(咸亨) 원년 경오(庚午, 670)에 귀국하여 사정을 조정에 알렸다. 신인(神印) 대덕(大德) 명랑(明朗)에게 명하여 임시로 밀단법(密壇法)을 설치하고 기도하여 이를 물리치게 하니 이에 국난을 면하였다. 의봉(儀鳳) 원년(676)에 의상(義湘)태백산(太伯山)에 돌아와 조정의 뜻을 받들어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하고 대승(大乘)을 널리 펴니 영감(霊感)이 많이 나타났다.

종남(終南) 문인(門人) 현수(賢首)수현소(搜玄疏)를 찬술하여 의상(義湘)에게 부본(副本)을 보내면서, 아울러 편지를 보내 은근하고 간절하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서경(西) 숭복사(崇福寺)의 (僧) 법장(法藏)해동(海東) 신라(新羅) 화엄법사(華嚴法師)의 시자(侍者)에게 글을 드립니다. 한 번 작별한 지 20여 년에 사모하는 정성이 어찌 마음에서 떠나리오마는, 구름이 자욱한 만 리 길에 바다와 육지가 천 겹으로 이 한 몸이 다시 만나 뵐 수 없음이 한스럽습니다. 그리운 회포를 어찌 가히 말로써 다 할 수 있겠습니까? 전생의 같은 인연으로 이 세상에 태어나 학업을 같이 했으므로, 이 과보를 얻어 함께 대경(大)에 목욕하고 특별히 돌아가신 스승으로부터 이 심오한 경전의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우러러 듣건대, 상인(上人)께서는 귀국 후에 화엄(華嚴)을 강의하고, 법계(法界)의 무진연기(無盡緣起)를 선양하며 겹겹의 제망(帝網)으로 불국(佛國)을 더욱 새롭게 하여,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한다고 하니 기쁨이 더욱 커집니다. 이로써 석가여래(如來)가 돌아가신 후에 불일(佛日)을 밝게 빛내고 법륜(法輪)을 다시 구르게 하여 불법(佛法)을 오랫동안 머물게 할 이는 오직 법사(法師)뿐입니다.
법장(法藏)은 매진하였으나 이룬 것이 없고, 활동하였으나 볼 만한 것이 적어 우러러 이 경전을 생각하니 돌아가신 스승에게 부끄럽습니다. 분수에 따라 받은 것은 능히 버릴 수 없으므로 이 업에 의지하여 내세(来世)의 인연을 맺기를 희망합니다. 다만 화상(和尙)의 장소(章疏)가 뜻은 풍부하나 문장은 간략하여 후인으로 하여금 뜻을 알게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으므로 화상(和尙)의 은밀한 말과 오묘한 듯을 적어 의기(義記)를 애써 완성하였습니다. 근래에 승전법사(勝詮法師)가 베껴서 고향에 돌아가 그 땅에 전하고자 하니, 청컨대 상인(上人)께서는 옳고 그른 것을 상세히 검토하여 가르쳐 주시면 다행이옵니다. 엎드려 원하옵건대, 마땅히 내세(来世)에는 이 몸을 버리고, 새 몸을 받음(捨身受身)에 서로 함께 노사나불(盧舍那) 앞에서 이와 같은 무진(無盡)한 묘법(妙法)을 받고 무량(無量)한 보현보살(普賢)의 원행(願行)을 수행한다면 나머지 악업(惡業)은 하루 아침에 굴러 떨어질 것입니다. 바라건대, 상인(上人)께서는 옛 일들을 잊지 마시고 어느 업의 세계(諸趣)에 있든지 간에 바른 길(正道)을 보이시고, 인편과 서신이 있을 때마다 생사를 물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만 갖추지 못합니다.” 글은 대문류(大文類)에 실려 있다.

의상(義湘)은 이에 열 곳의 절에 교를 전하게 하니 태백산(太伯山)의 부석사(浮石寺), 원주(原州)의 비마라사(毗摩羅), 가야산(伽倻)의 해인사(海印), 비슬산(毗瑟)의 옥천사(玉泉), 금정산(金井)의 범어사(梵魚), 남악(南嶽)의 화엄사(華嚴寺) 등이 그것이다. 또한 법계도서인(法界圖書印)을 저술하고 아울러 간략한 주석을 붙여 일승(一乘)의 요긴한 알맹이(樞要)를 모두 포괄하였으니 천 년을 두고 볼 귀감이 되어 저마다 다투어 보배로 여겨 지니고자 하였다. 나머지는 찬술한 것이 없으나, 한 점의 고기로 온 솥의 국물 맛을 알 수 있다. 법계도(法界圖)는 총장(總章) 원년 무진(戊辰, 668)에 이루어졌다. 이 해에 지엄(智儼)도 입적하였으니 공자(孔子)가 기린을 잡았다(獲麟)는 것에서 붓을 놓은 것과 같다. 세상에 전하기를 의상(義湘)은 금산보개(金山寶蓋)의 화신(化身)이라고 하였다.

그의 제자인 오진(悟지통(智通)·표훈(表訓)·진정(진장(藏)·도융(道融)·양원(良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 등 10대덕(十大徳)은 영수(領首)가 되었는데, 모두 아성(亞聖)이라고 하고 각각 전기(傳記)가 있다. 오진(悟)은 일찍이 하가산(下柯山) 골암사(鶻寺)에 거처하면서 매일 밤에 팔을 펴(伸臂) 부석사(浮石) 방의 등(燈)을 켰다. 지통(智通)추동기(錐洞記)≫를 저술했는데, 대개 친히 가르침을 받들었으므로 글이 오묘한 듯을 많이 지녔다. 표훈(表訓)은 일찍이 불국사(佛國寺)에 있으면서 항상 천궁(天宮)을 왕래하였다. 의상(義湘)이 황복사(皇福寺)에 있을 때 무리들과 함께 탑을 돌았는데, 매번 허공을 밝고 올라갔으며 계단으로 오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 탑에는 사다리가 설치되지 않았고 그 무리들도 층계에서 세 자나 떨어져 허공을 밝고 돌았다. 의상(義湘)이 돌아보며 말하기를, “세상 사람이 이를 보면 반드시 괴이하다고 할 것이니 세상에 가르칠 것은 못 된다”고 하였다. 나머지는 최후(崔侯, 최치원)가 지은 본전(夲傳)과 같다.

(讚)하여 말한다.
연진을 무릅쓰고 덤불을 헤쳐 바다를 건너니(披榛跨海冐烟塵)
지상사의 문이 열려 상서로운 보배를 접했도다(至相門開接瑞珎)
화엄을 캐와서 고국에 심으니(采采雜花我故國)
종남산과 태백산이 같은 봄을 이루었다(終南太伯一般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