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전교(義湘傳敎)
법사(法師) 의상(義湘)은 아버지가 한신(韓信)으로 김씨(金氏)인데, 나이 29세에 서울(亰師)의 황복사(皇福寺)에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얼마 있지 않아 서방으로 가서 불교의 교화(敎化)를 보고자 하였다. 드디어 원효(元曉)와 함께 요동(遼東)으로 갔다가 변방의 순라군에게 첩자(諜者)로 오인받아 수십 일 동안 갇혔다가 간신히 면하여 돌아왔다. 이 사실은 최후(崔候, 최치원)가 지은 본전(夲傳)과 원효(元曉)의 행장(行狀) 등에 실려 있다. 영휘(永徽) 초에 마침 당(唐)나라 사신의 배가 서방으로 돌아가려고 하자 편승하여 중국(中國)으로 들어갔다. 처음 양주(楊洲)에 머물렀더니, 주장(州將) 유지인(劉至仁)이 청하여 관아 안에 머무르게 했는데 공양(供飬)이 지극하였다. 얼마 있지 않아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로 찾아가서 지엄(智儼)을 배알하였다. 지엄(智儼)의 전 날 밤 꿈에 큰 나무 하나가 해동(海東)에서 나서 가지와 잎이 널리 퍼져 중국(神州)에까지 와서 덮고, 위에는 봉황의 둥지(鳯巢)가 있는데, 올라가서 보니 마니보주(摩尼寶珠)가 하나 있어 광명(光明)이 멀리까지 비쳤다. 깨고는 놀랍고 이상히 여겨 청소를 하고 기다렸더니 의상(義湘)이 바로 왔다. 특별한 예의로 맞아 조용히 말하기를, “나의 어제 꿈은 그대가 나에게 올 징조였다”고 하고 제자가 됨(入室)을 허락하니, ≪잡화경(雜花經)≫의 미묘한 뜻을 구석구석 분석하였다. 지엄(智儼)이 학문을 상의할 영특한 자질(郢質)을 만나 새 이치를 능히 발견해내어 가히 깊은 것을 파고 숨은 것을 찾아내니, 쪽과 꼭두서니(藍茜)가 본색(夲色)을 잃은 것과 같았다.
이미 본국(夲國)의 승상(承相) 김흠순(金欽純) 혹은 인문(仁問)이라고도 하는데 그와 양도(良圖) 등이 당(唐)나라에 가서 구금되었고, 고종(高宗)이 군사를 크게 일으켜 신라(新羅)를 치려고 하였다. 흠순(欽純) 등이 비밀리에 의상(義湘)에게 일러 앞질러 가게 하였다. 함형(咸亨) 원년 경오(庚午, 670)에 귀국하여 사정을 조정에 알렸다. 신인(神印) 대덕(大德) 명랑(明朗)에게 명하여 임시로 밀단법(密壇法)을 설치하고 기도하여 이를 물리치게 하니 이에 국난을 면하였다. 의봉(儀鳳) 원년(676)에 의상(義湘)이 태백산(太伯山)에 돌아와 조정의 뜻을 받들어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하고 대승(大乘)을 널리 펴니 영감(霊感)이 많이 나타났다.
의상(義湘)은 이에 열 곳의 절에 교를 전하게 하니 태백산(太伯山)의 부석사(浮石寺), 원주(原州)의 비마라사(毗摩羅), 가야산(伽倻)의 해인사(海印), 비슬산(毗瑟)의 옥천사(玉泉), 금정산(金井)의 범어사(梵魚), 남악(南嶽)의 화엄사(華嚴寺) 등이 그것이다. 또한 법계도서인(法界圖書印)을 저술하고 아울러 간략한 주석을 붙여 일승(一乘)의 요긴한 알맹이(樞要)를 모두 포괄하였으니 천 년을 두고 볼 귀감이 되어 저마다 다투어 보배로 여겨 지니고자 하였다. 나머지는 찬술한 것이 없으나, 한 점의 고기로 온 솥의 국물 맛을 알 수 있다. 법계도(法界圖)는 총장(總章) 원년 무진(戊辰, 668)에 이루어졌다. 이 해에 지엄(智儼)도 입적하였으니 공자(孔子)가 기린을 잡았다(獲麟)는 것에서 붓을 놓은 것과 같다. 세상에 전하기를 의상(義湘)은 금산보개(金山寶蓋)의 화신(化身)이라고 하였다.
그의 제자인 오진(悟真)·지통(智通)·표훈(表訓)·진정(真㝎)·진장(真藏)·도융(道融)·양원(良圎)·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 등 10대덕(十大徳)은 영수(領首)가 되었는데, 모두 아성(亞聖)이라고 하고 각각 전기(傳記)가 있다. 오진(悟真)은 일찍이 하가산(下柯山) 골암사(鶻嵒寺)에 거처하면서 매일 밤에 팔을 펴(伸臂) 부석사(浮石) 방의 등(燈)을 켰다. 지통(智通)은 ≪추동기(錐洞記)≫를 저술했는데, 대개 친히 가르침을 받들었으므로 글이 오묘한 듯을 많이 지녔다. 표훈(表訓)은 일찍이 불국사(佛國寺)에 있으면서 항상 천궁(天宮)을 왕래하였다. 의상(義湘)이 황복사(皇福寺)에 있을 때 무리들과 함께 탑을 돌았는데, 매번 허공을 밝고 올라갔으며 계단으로 오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 탑에는 사다리가 설치되지 않았고 그 무리들도 층계에서 세 자나 떨어져 허공을 밝고 돌았다. 의상(義湘)이 돌아보며 말하기를, “세상 사람이 이를 보면 반드시 괴이하다고 할 것이니 세상에 가르칠 것은 못 된다”고 하였다. 나머지는 최후(崔侯, 최치원)가 지은 본전(夲傳)과 같다.
'세상사는 이야기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해(意解) 진표전간(眞表傳簡) (0) | 2019.08.11 |
---|---|
의해(意解) 사복불언(蛇福不言) (0) | 2019.08.10 |
의해(意解) 원효불기(元曉不羈) (0) | 2019.08.08 |
의해(意解) 자장정률(慈藏㝎律) (0) | 2019.08.07 |
의해(意解) 이혜동진(二惠同塵)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