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사석(良志使錫)

석(釋) 양지(良志)의 조상과 고향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선덕왕(善德王) 때 자취를 나타냈을 뿐이다. 석장(錫杖) 끝에 포대(布帒) 하나를 걸어놓으면 석장(錫杖)은 저절로 날아가 단월(檀越)의 집에 이르러 흔들면서 소리를 냈다. 집에서 이를 알고 재에 쓸 비용을 넣었고, 포대(布帒)가 차면 날아서 되돌아온다. 이 때문에 그가 머무는 곳을 석장사(錫杖寺)라고 하였다. 그의 신이함을 헤아리기 어려움이 모두 이와 같은 것들이다.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기예에도 통달하여 신묘(神妙)함이 비할 데가 없었다. 또한 필찰(筆札)에도 능하여 영묘사(靈庙)의 장륙삼존상(丈六三尊)과 천왕상(天王像)과 전탑(殿塔)의 기와, 천왕사(天王寺) 탑 밑의 8부신장(八部神將), 법림사(法林寺)의 주불삼존(主佛三尊)과 좌우 금강신(金剛神) 등은 모두 만든 것들이다. 영묘(霊庙寺), 법림(法林寺) 두 절의 현판도 썼으며, 또 일찍이 벽돌을 다듬어 작은 탑 하나를 만들고 아울러 3천 불상(三千佛)을 만들어 그 탑에 모시어 절 안에 두고 공경하였다. 그가 영묘사(霊庙寺)의 장륙상(丈六像)을 만들 때는 스스로 입정(入定)하여 정수(正受)의 태도로 대하는 것을 법식(揉式)으로 삼으니 이 때문에 성 안의 남녀가 다투어 진흙을 날랐다.

풍요(風謠)는 다음과 같다.

오다 오다 오다(來如來如來如)

오다 슬픔 많아라(來如哀反多羅)

슬픔 많은 우리 무리여(哀反多矣徒良)

공덕 닦으러 오다(㓛徳修叱如良来如)

지금도 그곳 사람들이 방아를 찧거나 다른 일을 할 때 모두 이 노래를 부르는데, 대개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장륙상(丈六像)을 처음 조성할 때 든 비용은 곡식 2만 3천 7백 섬이었다. 혹은 다시 도금할 때의 비용이라고도 한다.

평하건대, 스님은 재주가 온전하고 덕이 충족했으나, 대가로서 하찮은 재주에 숨었던 자라고 하겠다.

찬(讚)하여 말한다.

재 끝난 불당 앞엔 석장 한가로운데(齋罷堂前錫杖閑)

향로엔 전단향 조용히 피어나네(静装爐鴨自焚檀)

남은 경 읽고 나니 더 이상 할 일 없어(殘経讀了無餘事)

불상 조성하여 합장하며 보노라(聊塑圎容合掌看)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