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계자(勿稽子)


제10대 나해왕(奈解王) 즉위 17년 임진(壬辰)보라국(保羅國)·고자국(古自國) 지금의 고성(固城)·사물국(史勿國) 지금의 사주(泗州, 사천) 등 8국(八國)이 힘을 합쳐 변경을 쳐들어왔다.
왕은 태자(大子) 날음(捺音)과 장군(将軍) 일벌(一伐) 등에게 명하여, 병사를 거느리고 그들과 겨루도록 하니, 8국(八國)이 모두 항복하였다. 이때 물계자(勿稽子)의 군공(軍㓛)이 제1이나, 태자(大子)의 미움을 받은 바, 그 공(㓛)에 대한 상(賞)을 받지 못하였다. 어떤 이가 물계자(勿稽子)에게 이르길, “이 전투의 공(㓛)은 오직 당신 뿐이다. 그런데 상(賞)이 당신에게 미치지 못하고, 태자(大子)가 미워하는 것이 자네는 원망스럽지 않은가?” 하니, 물계자(勿稽子)가 말하길, “임금이 위에 계시는데, 어찌 신하를 원망하겠는가.” 하였다. 어떤 이는 말하길, “그렇다면 임금에게 아뢰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니, 물계자(勿稽子)가 말하길, “공(㓛)을 얻으려고 목숨을 다투고, 몸을 드러내고 다른 사람을 가리는 것은 뜻있는 선비가 할 바가 아니니, 때를 기다릴 뿐이다.”

10년 을미(乙未)에 골포국(骨浦國) 지금의 합포(合浦) 등 3국(三國)의 왕이 각각 병사를 거느리고 갈화(竭火)를 공격해 왔다. 굴불(屈弗)이 의심되는데, 지금의 울주(蔚州)이다. 왕은 친히 병사를 거느리고 그것을 막자, 3국(三國)은 모두 패하였다. 물계자(勿稽子)가 머리를 밴 것이 수십 급(級)이였으나, 사람들은 물계자(勿稽子)의 공(功)을 말하지 않았다. 물계자(勿稽子)가 그의 부인에게 일러 말하길, “내가 듣기로 임금을 섬기는 도리는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다하며, 어려움에 임해서는 나를 잊고, 절개와 의리에 기대어 생사를 돌아보지 않는 것이 충성이다. 무릇 보라(保羅), 발라(發羅)가 의심되는데, 지금의 나주(羅州)다. 갈화(竭火)의 전쟁은 참으로 이 나라의 환란으로 임금이 위태로웠으나, 나는 일찍이 나를 잊고 목숨을 다하는 용기가 없었으니, 이는 충정이 깊지 못함이라. 이미 불충(不忠)하여 임금을 섬겼으니, 선대(先人)에 폐를 끼친 것이고, 어찌 효라 할 수 있겠는가? 이미 충효를 잃었으니, 무슨 면목으로 다시 조정과 저자(朝市)에서 웃을 수 있겠는가!” 이에 머리를 풀어 헤치고 거문고(琴)를 메고, 사체산(師彘山)에 들어갔다. 알 수 없다. 대나무(竹樹)같은 성질이 병임을 슬퍼하며, 그것에 기대어 노래(歌)를 짓고, 시냇물 소리를 본떠 거문고(琴)를 뜯어 곡조를 지으며, 숨어서 살면서 다시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