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타벽제(難陁闢濟)

 

백제본기(百濟本記)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제15대 침류왕(枕流王) 즉위 갑신(甲申, 384)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 태원(太元) 9년에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陁)가 (晉)에서 왔는데, 맞이하여 궁중으로 맞아들이고 예우(禮)하였다. ≪승전(僧傳)≫에서는 14대라고 했으나 잘못이다. 이듬해 을유(乙酉, 385)에 절을 새 서울 한산주(漢山州)에 세우고, 승려 열 명을 두었으니, 이것이 백제(百濟) 불교의 시초이다. 또 아신왕(阿莘王)이 즉위한 태원(太元) 17년(392) 2월에 교령을 내려서 불법(佛法)을 신봉하여 복(福)을 구하라.
마라난타(摩羅難陁)는 번역하면 동학(童學)이라고 한다. 그의 특이한 행적은 ≪승전(僧傳)≫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찬(讚)하여 말한다.
천지가 개벽할 때는(天造從來草昧間)
대개 재주 부리기가 어려운 것인데(大都爲伎也應難)
차근차근 스스로 알면 노래와 춤 절로 나와(翁翁自解呈歌舞)
옆사람 끌어들여 보도록 하였다(引得傍人借眼看) 

 

+ Recent posts